[목차] == 개요 == 접미사 '-량'은 앞에 '''[[한자어]]'''가 왔을 때 붙고, '-양'은 앞에 '''[[고유어]]·[[외래어]]'''가 왔을 때 붙는다. 즉 한자어를 제외하면 양이라고 써야한다. 이게 말이 한자어지 한자어를 다 외울수가 없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량으로 쓰는 단어를 외워야한다. 아니면 일일히 검색을 해서 한자어면 양으로 쓰거나 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 예 == * -량이 적절한 경우. * 물질양 (X) → 물질'''량''' (O) * 가사양 (X) → 가사'''량''' (O) * 노동양 (X) → 노동'''량''' (O) * -양이 적절한 경우. * 나트륨량 (X) → 나트륨'''양''' (O) * 마진량 (X) → 마진'''양'''[* 영어 margin에서 유래됐다. ] (O) * 고무량 (X) → 고무'''양'''[* 프랑스어 gomme 에서 유래됐다. ] (O) * 포도량 (X) → 포도'''양'''[* 페르시아어 badawa 에서 유래됐다. ] (O) || 문제 || || 1. 가사양/가사량 2. 노동양/노동량 3. 칼로리양/칼로리량 4. 강수양/강수량 5. 작업양/작업량 6. 알칼리양/알칼리량 7. 일조양/일조량 8. 할당양/할당량 9. 증가양/증가량 {{{#!folding [ 정답 ] 1. 가사량 2. 노동량 3. 칼로리양 4. 강수량 5. 작업량 6. 알칼리양 7. 일조량 8. 할당량 9. 증가량 }}} || == 같은 사례 == * '-란'과 '-난' * 피'''란''': '피난'이 아니라 '피란'으로 적으며 '피란하다', '피란길' 등이 옳다. == 혼동 사례 == [['-률'과 '-율'의 구별]]은 [[두음 법칙]]에 의해 접미사의 형태가 달라진다. [[분류:X와 X의 구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