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링크시 주의, 링크=[[[REC.]#]] 또는 [[[REC.\\]]] 또는 [[REC.]])] [include(틀:유주)] ||<-5> [[유주/음반 목록|{{{#ffffff '''유주의 음반 (발매일순)'''}}}]] || || {{{#ffffff '''디지털 싱글'''}}}[br][[Love Rain|{{{-3 {{{#fff '''Love Rain'''}}}}}}]][br]{{{-2 {{{#ffffff (2018.06.29)}}}}}} || {{{+1 →}}} || {{{#fff '''미니 1집'''}}}[br][[[REC.]|{{{-3 {{{#fff '''[REC.]'''}}}}}}]][br]{{{-2 {{{#fff (2022.01.18)}}}}}} || {{{+1 →}}} || {{{#fff '''디지털 싱글'''}}}[br][[이브닝 (Feat. BIG Naughty)|'''{{{-3 {{{#fff 이브닝}}}}}}''']][br]{{{#fff {{{-2 (2022.07.28)}}}}}} || ||<-5> [[파일:Yuju_REC._Logo.png|width=130]][br]{{{#fff '''The 1st Mini Album'''}}} || ||<-5>{{{#!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주 미니 1집.jpg|width=100%]]}}} || || {{{#fff '''발매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월 18일]] || || {{{#fff '''가수'''}}} || [[유주|[[파일:유주 REC. 로고.svg|width=35]]]] || || {{{#fff '''기획사'''}}}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5px" [[커넥트 엔터테인먼트|[[파일:커넥트 엔터테인먼트 로고.svg|width=100]]]]}}} || || {{{#fff '''레이블'''}}}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5px" [[워너 뮤직 그룹|[[파일:워너 뮤직 코리아 로고.svg|width=70]]]]}}} || || {{{#fff '''곡 수'''}}} || 5곡 || || {{{#fff '''재생시간'''}}} || 15:10 || || {{{#fff '''타이틀곡'''}}} || [[놀이(Play)|[[파일:Yuju_Play_Logo.png|width=90]]]] || [목차] [clearfix] == 개요 == 2022년 1월 18일 18시에 발매된 [[유주]]의 첫 번째 미니 앨범이다. == 상세 == ||{{{#ffffff ‘독보적인 여성 솔로아티스트로서 자리매김 할 유주의 [REC.]가 시작 된다.’ 유주의 미니 앨범 [REC.]은 솔로 아티스트로서의 새로운 삶을 기록해 나아가는 출발점이 될 앨범이다. 첫 시작을 알리는 미니 앨범 [REC.] 전곡에 작사, 작곡으로 참여하며 싱어송라이터라 칭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열정을 쏟아 그 의미 또한 깊은 앨범이다.}}}|| == 프로모션 일정 == || '''《REC.》 프로모션 일정''' || ||<^|1><#fff,#1f202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날짜''' || '''시간''' || '''내용''' || '''링크''' || || '''2022. 01. 03.''' || 00:00 || 티저 포스터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77655923258802182, 크기=20)] || || '''2022. 01. 04.''' || 00:00 || RELEASE SCHEDULE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78018314999717893, 크기=20)] || ||<|2> '''2022. 01. 05.''' || 00:00 || COVER ART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78380702634692608, 크기=20)] || || 14:00 || Pre-Order Notice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78592093446553601, 크기=20)] [[https://cafe.daum.net/officialyuju/Y5iw/8?svc=cafeapi|[[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width=20]]]] || || '''2022. 01. 06.''' || 00:00 || CONCEPT FILM || [[https://youtu.be/_MfXl9Y9az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www.vlive.tv/video/273908|[[파일:V LIVE 아이콘.svg|height=20]]]] || || '''2022. 01. 07.''' || 00:00 || TRACK LIST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79105482040102921, 크기=20)] || ||<|3> '''2022. 01. 08.''' || 00:00 ||<|3> CONCEPT PHOTO #1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79467866466496517, 크기=20)] || || 00:0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79469121381171202, 크기=20)] || || 00:1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79470379001278467, 크기=20)] || ||<|3> '''2022. 01. 09.''' || 00:00 ||<|3> CONCEPT PHOTO #2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79830257255387136, 크기=20)] || || 00:0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79831508898631684, 크기=20)] || || 00:1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79832766745251841, 크기=20)] || || '''2022. 01. 10.''' || 00:00 || LYRIC POSTER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80192647096582147, 크기=20)] || || '''2022. 01. 12.''' || 00:00 || M/V TEASER #1 || [[https://youtu.be/HUnRdj23aPY|[[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www.vlive.tv/video/274398|[[파일:V LIVE 아이콘.svg|height=20]]]] || || '''2022. 01. 14.''' || 00:00 || ALBUM SAMPLER || [[https://youtu.be/63tQOpWOH8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www.vlive.tv/video/274627|[[파일:V LIVE 아이콘.svg|height=20]]]] || || '''2022. 01. 16.''' || 00:00 || SPECIAL GIFT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82366969932251139, 크기=20)] [[https://youtu.be/WqbKg9CwU9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www.vlive.tv/video/274791|[[파일:V LIVE 아이콘.svg|height=20]]]] || || '''2022. 01. 17.''' || 00:00 || M/V TEASER #2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onnect_YUJU/status/1482729361463603201, 크기=20)] [[https://youtu.be/jEOD_7o4L5c|[[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www.vlive.tv/video/274832|[[파일:V LIVE 아이콘.svg|height=20]]]] || ||<|2> '''2022. 01. 18.''' || 17:00 || 《REC.》 COUNTDOWN LIVE || [[https://youtu.be/pptYPUrf6C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 18:00 || READY ACTION! 《REC.》 || [[https://youtu.be/d_SpreHLsYE|[[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www.vlive.tv/video/274943|[[파일:V LIVE 아이콘.svg|height=20]]]] || }}}}}}}}} || || {{{#ffffff '''PRESS CONFERENCE (온라인 간담회)'''}}}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VNy_futAec)]}}} || == 수록곡 == [[파일:YUJU(유주) FIRST MINI ALBUM [REC.] : TRACK LIST.jpg|width=100%]] ||<-6>
{{{#ffffff '''REC.''' }}} || ||<-6> 2022. 01. 18. (화) 18:00 발매 || || {{{#ffffff '''트랙''' }}} || {{{#ffffff '''제목''' }}} || {{{#ffffff '''BPM''' }}} || {{{#ffffff '''작사''' }}} || {{{#ffffff '''작곡''' }}} || {{{#ffffff '''편곡''' }}} || || '''1''' || Bad Blood (Intro) || 94 || [[유주]], [[Chancellor|챈슬러]] || Musikality, Celine Svanbäck, Ferras Alqaisi, Jeppe London || Musikality, Jeppe London || || '''2''' || '''[[놀이(Play)]]^^{{{-2 TITLE}}}^^''' || 98 || [[유주]], [[Chancellor|챈슬러]] || Amelia Moore, Kyle Buckley, Charles Nelsen, MZMC, [[유주]], [[Chancellor|챈슬러]] || Pinkslip, inverness, MZMC || || '''3''' || 겨우, 겨울 (Feat. [[매드클라운]]) || 110 || [[유주]], [[Chancellor|챈슬러]], [[매드클라운]] || [[유주]], [[Chancellor|챈슬러]] || 허인국(GALLERY), 유제혁(GALLERY) || || '''4''' || 데킬라 (The Killa) || 98 || [[유주]], [[Chancellor|챈슬러]], Knave || [[유주]], [[Chancellor|챈슬러]], Purple, 장성일 || [[Chancellor|챈슬러]], Purple || || '''5''' || Blue Nostalgia || 170 || [[유주]] || Amelia Moore, JBACH, Leroy Sanchez, Kyle Buckley, Charles Nelsen, Kyle Scherrer, MZMC, [[유주]] || Pinkslip, inverness, Dry Kyle, MZMC || === Bad Blood (Intro) === ||{{{#ffffff Bad Blood는 [REC.] 앨범의 포문을 여는 Intro 곡으로 유주 보컬에 포커스를 맞춘 프로덕션이 일품인 미니멀한 기타 팝 트랙이다. 코러스에서 반복되는 기타 리프가 곡의 중심을 잡아주며 보컬과 잘 어우러져 짧지만 강렬한 느낌을 준다.}}}|| ||
{{{#ffffff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NZ-DE8f1f4)]}}} || || {{{#!folding [ 가사 ] '''^^{{{#67d8d6 유주}}}^^''' {{{#67d8d6 난 목이 타 in this silence 칼이 된 말은 violence 이건 내가 너에게 남기는 Recording 이 기분은 sweet sour 기다려지는 hour 내 안을 돌고 도는 blood is like new power 검은 어둠 속에 다시 빨간 불을 비추고 So if you ready Let the cameras roll I got bad blood baby 온몸에 흐르고 깊이 번져갈 거야 I got bad blood baby 날카로운 말이 점점 파고들 거야 I got bad blood I got bad blood}}} }}} || * [[유주]] 솔로 데뷔 후 첫 인트로 트랙이다. * [[https://youtu.be/_MfXl9Y9azU|[REC.] CONCEPT FILM]]에 배경음악으로 사용되었다. * 2022년 7월 23일 진행된 행사에서 처음으로 안무와 함께 무대를 공개하였다. === [[놀이(Play)]] === ||{{{#ffffff ∵ 놀이라는 단어는 장난스럽고 유쾌한 분위기를 품고 있지만, 사람과의 관계를 표현할 때 사용하기엔 어딘가 모르게 가볍고 허무하다고 생각했었다. 진심이라 여기며 온 마음을 다했던 사랑이 상대에겐 그저 하나의 놀이에 불과했을 때, 한 쪽의 감정은 스쳐 지나가는 재미에 그치는 반면 다른 한쪽은 그 반대의 감정에 휩싸이게 된다. 놀이(Play)는 미디엄 템포의 감성 팝 트랙으로, 국악기인 가야금 사운드와 서양의 킥, 스네어 드럼, 스트링 사운드가 조화로운 곡이다. 경쾌한 트랙과 반대되는 애절한 가사의 조합이 마치 의미심장한 놀이 같다.}}}|| || {{{#ffffff '''〈놀이 (Play)〉'''}}}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h5O27ZSCXU)]}}} || || {{{#!folding [ 가사 ] '''^^{{{#67d8d6 유주}}}^^''' {{{#67d8d6 찢겨진 마음을 태우고 수도 없이 되 뇌이다 뜸 들이던 말 한마디 뱉고서 없던 일처럼 떠나가 어지러이 휘날리듯이 가슴 깊이 맺힌 너와의 노노노노놀이 같은 사랑에 온 몸 맘 바쳐 모두 드렸는데 곱게 피어나 붉은 꽃이 물들어갈 때 날 꺾고서 저 멀리 떠나시네 떠나시네 조각난 시간을 꿰매어 몇 번을 돌이켜봐도 반짝이다 꺼지는 불꽃놀이 같은 사이일 뿐 한 톨의 재가 되어 가 oh 눈시울이 붉어지듯이 가슴 깊이 맺힌 너와의 노노노노놀이 같은 사랑에 온 몸 맘 바쳐 모두 드렸는데 곱게 피어나 붉은 꽃이 물들어갈 때 날 꺾고서 저 멀리 떠나시네 떠나시네 아무 의미도 없던 이 놀이가 난 너무 지쳐서 마지막 남은 잎을 떼고 날아가 So long 노노노노놀이 같은 사랑에 이 사랑에 온 몸 맘 바쳐 모두 드렸는데 곱게 피어나 붉은 꽃이 물들어갈 때 날 꺾고서 저 멀리 떠나시네 떠나시네}}}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놀이(Play))] === 겨우, 겨울 (Feat. [[매드클라운]]) === ||{{{#ffffff ∵ 3년 전 늦가을, 연습실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던 중 갑작스레 새어들어온 찬바람의 향기에 이끌려 이 곡을 만들게 되었다. '겨울 향'이라는 가제목을 붙여두었던 녹음본을 오랜만에 다시 꺼내어 제목에 대해 고민하던 중, 유독 이번 겨울은 무거운 시간을 지나 조금 숨차게 겨우겨우 맞이했다는 생각이 들어 '겨우, 겨울'이라는 제목을 지어주었다. 매드클라운 선배님의 몽환적이고 또렷한 랩핑이 곡의 완성도를 더해주었다. 매년 겨울이 다가올 때마다 마음 한구석 홀로 흥얼거리던 이 노래가 잘 다듬어져 세상에 태어나게 되어 감사하고 벅찬 마음이다. 한겨울의 풍경을 담은 어쿠스틱 피아노 선율과 피치카토 스트링. 포근하게 안아주는 듯한 스트링 사운드, 떨어지는 눈꽃들을 표현한 일렉기타, 무거운 겨울을 헤쳐온 발걸음과 닮은 투박한 톤의 드럼 사운드가 풍부하게 담겨있다.}}}|| || {{{#ffffff '''〈겨우, 겨울 (Feat. 매드클라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jLeh8ioa7w)]}}} || || {{{#!folding [ 가사 ] '''^^{{{#67d8d6 유주}}}^^ ^^{{{#406eec 매드클라운}}}^^''' {{{#67d8d6 어디로든 데려가 줘 그때의 외로움 설렘 다 좋아 안되거든 이 향기에 나 그냥 취하게 내버려 둬 하늘 가득히 차가운 공기가 나를 스치면 바람을 타고 온 너의 향기가 머릴 스친다 스치듯 피어난 기억이 또다시 날 눈물짓게 하고 멀어진 너를 다시 안고서 또 겨울이 다시 찾아오면 어디로든 데려가 줘 그때의 외로움 설렘 다 좋아 안되거든 이 향기에 나 그냥 취하게 내버려 둬 }}} {{{#406ecc 넌 지금 보여 느리게 내려오는 눈처럼 아무런 망설임 하나 없이 너에게 내려앉아 겨울 내 찬바람 튼 얼굴 어루만져 주고 싶은 내 마음이야 어디로든 데려가 줄게 이제 곧 다음이야 말이 되지 않는 것들을 넌 말이 되게 해 난 너의 자음이고 넌 내 영원한 모음이야 }}} {{{#67d8d6 많이 온 거 같은데 }}} {{{#406ecc 춥다면 깍지를 껴 줄게 }}} {{{#67d8d6 보이지가 않아 }}} {{{#406ecc 널 감싸는 벙어리장갑이 돼줄게 어디로든 데려가 지난 짐들 전부 다 내려놔 따뜻하던 춥던 모든 계절을 거치고 우린 그때 첨 그대로야 }}} {{{#67d8d6 어디로든 데려가 줘 그때의 외로움 설렘 다 좋아 안되거든 이 향기에 나 그냥 취하게 내버려 둬 I'll be alright }}} {{{#406ecc 괜찮아 손잡아 줄게 }}} {{{#67d8d6 even if you go away }}} {{{#406ecc Don’t go away }}} {{{#67d8d6 I'll be okay }}} {{{#406ecc 괜찮아 손잡아 줄게 }}} {{{#67d8d6 even if you run away }}} {{{#406ecc Don’t run away }}} {{{#67d8d6 어디로든 데려갈게 그때의 설렘 온기 다 좋아 안되거든 이 마음에 녹지 않는 눈꽃이 되어줘 }}} {{{#406ecc 네가 내 옆이었으면 해 짧은 연필로 네가 적는 것들 맨 위에 I wanna see my name When I wake up 우리 좁은 집안에 소중한 것들 이젠 꽤 많이 쌓였고 and we know }}} }}} || * 2023년 2월 10일 진행된 [[한터뮤직어워즈#s-3|30주년 한터뮤직어워즈 2022]]에서 처음으로 무대를 공개하였다. === 데킬라 (The Killa) === ||{{{#ffffff ∵ 그동안 설렘, 벅차오름, 아련함, 당당함 등 다양한 감정을 노래해 보았다. 내가 표현해 보지 않은 감정은 무엇이 있을까 고민하던 중, ‘악감정’이라는 키워드가 떠올랐다. 자칫 어둡고 매서워 보이지만 누구나 한 번쯤은 품어봤을 어지러운 이 감정을 독한 술 ‘데킬라’에 비유하여 매력적으로 풀어보고 싶었다. ‘삼킬수록 더 독 같은’ 쓰라릴 것을 뻔히 알면서도 몇 번이고 삼켜보게 되는 독한 말들. 데킬라 한 모금과 가장 잘 어울리는 소절이다. 중독적인 기타 리프와 묵직한 베이스라인, 그리고 화려하면서도 슬픈 감정이 느껴지는 라틴풍 사운드가 곡의 분위기를 한층 더 고조시킨다.}}}|| || {{{#ffffff '''〈데킬라 (The Kill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KbmpPEoXqE)]}}} || || {{{#!folding [ 가사 ] '''^^{{{#67d8d6 유주}}}^^''' {{{#67d8d6 이게 아닌데 왜 내려앉는 기분 자꾸 Up and down 뭔가 잘못된 듯 엎질러진 물이 내 눈물 같아 왜 쏟으려고 쏟아진 게 아닌데 뜨겁게 번져 내 안에 안에 안에 더 따갑게 느껴질까 왜 Not my way not my way 익숙하지 않아 몇 번을 반복해도 it's true 제자리만 맴도네 My crazy valentine 상처만 남긴 Lover 짙은 향기 속에 You're my 데킬라 삼킬수록 더 독 같은 lie lie lie lie 이젠 아름다운 말은 바라지 않아 My 데킬라 일라 일라 You're the killa killa killa killa yeah 나풀거리는 꽃잎 같던 내 마음이 얼어 너를 만나 더 더 굳어버리지 네 모난 기억 모두 꺼내어 더욱 쓴맛으로 다 덮어버릴게 yeah 차갑게 넘겨 내 안에 안에 안에 더 따갑게 느껴질까 왜 Not my way not my way 반복하지 않아 몇 번을 돌이켜도 it's true 네게 벗어나려 해 My crazy valentine 희미해진 My lover 짙은 향기 속에 You're my 데킬라 삼킬수록 더 독 같은 lie lie lie lie 이젠 아름다운 말은 바라지 않아 My 데킬라 일라 일라 You're the killa killa killa killa 차디찬 이 새벽의 공기가 쓸쓸한 이 밤에 감겨오네 짙은 향기 속에 You're my 데킬라 삼킬수록 더 독 같아 이젠 아름다운 말은 바라지 않아 My 데킬라 일라 일라 You're the killa killa killa killa Dear my Valentine Dear my Lover Dear my Valentine Dear my Dear my Valentine Dear my Lover Dear my Valentine Dear my killa killa killa killa yeah}}} }}} || * 2022년 1월 20일 진행된 [[꿈꾸는 라디오]]에서 해당 앨범의 [[놀이(Play)|타이틀곡]]과 함께 처음으로 라이브를 선보였다. ==== 관련 영상 ==== ||
{{{#ffffff '''2022. 01. 20 꿈꾸는 라디오 <데킬라>'''[* 3분 21초부터]}}}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5MCNIYrz8)]}}} || ||
{{{#ffffff '''2022. 07. 17 Live Clip <데킬라>'''}}}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1mBqgU8q4g)]}}} || === Blue Nostalgia === ||{{{#ffffff ∵ 나는 과거에 대한 회상을 자주 하는 편이다. 이러한 습관이 재밌고 즐거울 때도 있지만 가끔은 조금 버겁기도 하다. 간혹 그리워하던 순간을 꿈속에서 생생하게 다시 경험하곤 하는데, 깨어난 직후 모든 것이 허상이었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 그 여파가 조금 오래가기 때문이다. 이 곡의 가사는 그 꿈에서 깨어난 후, 아침과 초저녁을 지나 잠들기 전 깊은 밤까지의 시간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내용을 담았다. 혹여나 비슷한 경험을 겪어본 누군가에게 작은 공감이 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Blue nostalgia는 태어나 처음 리본 마이크로 녹음을 한 곡이다. 우연히 리본 마이크에 대해 호기심을 갖게 된 후 언젠가 꼭 시도를 해보고 싶었는데, 그 소망을 이루게 되어 더욱 소중한 곡이 되었다. 미니멀리즘 팝 발라드 트랙과 부드러운 기타리프, 스트링 섹션, 퍼커시브 리듬이 향수를 불러일으키며, 사운드의 조화가 그리움을 강조해 몽환적인 발라드의 절정을 이룬다.}}}|| || {{{#ffffff '''〈Blue Nostalgi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FBic5SN0nM)]}}} || || {{{#!folding [ 가사 ] '''^^{{{#67d8d6 유주}}}^^''' {{{#67d8d6 그 꿈에서 난 익숙한 공기 낯익은 소리 속 너를 찾아 늦은 인사를 서로 나누고 맞닿은 순간 다시 눈을 떠 oh Over & over & over & over again again 시간은 홀로 저 멀리 흘러 돌아갈 수가 없어 난 알고 있지만 멀리 가진 마 Cause you're my blue blue butterfly 텅 빈 하루를 보내 5PM to 6PM 노을이 지듯 맑은 네 모습 점점 바래져 기억을 쥐고 있는 두 손에 힘을 풀어서 놓아주려 해 oh Over & over & over & over again again 시간은 홀로 저 멀리 흘러 돌아갈 수가 없어 난 알고 있지만 멀리 가진 마 Cause you're my blue blue butterfly 텅 빈 하루를 지나 오늘을 끄고 내일을 켜는 게 내겐 참 쉽지가 않아 꼭 감은 눈이 너로 가득해 it's you 시간은 홀로 저 멀리 흘러 이젠 널 볼 수가 없어 알고 있지만 멀리 가진 마 Cause you're my blue blue butterfly I need u before the dawn}}} }}} || * 2022년 7월 23일 진행된 행사에서 처음으로 무대를 공개하였다. == 앨범 사양 == [[파일:372431779.jpg]] == 활동 == === 음악방송 활동 === || {{{#ffffff '''<놀이 (Play)> 음악방송'''}}} || ||<^|1><#fff,#1f202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fff 날짜}}}}}}''' || '''{{{-1 {{{#fff 방송}}}}}}''' || '''{{{-1 {{{#fff 무대 영상}}}}}}''' || '''{{{-1 {{{#fff 비고 및 기타 영상}}}}}}''' || || {{{#ffffff '''1월 20일''' }}}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50]]]] || [[https://youtu.be/bxcOi1wXPX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m.tv.naver.com/v/24712555|[[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waTec9LsHSQ|'''직캠''']] [[https://youtu.be/SVTgepThqoQ|'''직캠 (Horizontal Ver.)''']] [[https://youtu.be/yyyK1jCZrGg|'''입덕직캠''']] || || {{{#ffffff '''1월 21일''' }}}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50]]]] || [[https://youtu.be/uh-MJKimJg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tv.naver.com/v/24731536|[[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jMnfFPiJRGc|'''직캠''']] [[https://youtu.be/UYrZmwQsJ04|'''인터뷰캠''']] || || {{{#ffffff '''1월 22일''' }}} || [[쇼! 음악중심|[[파일:쇼! 음악중심 로고(2019).svg|width=40]]]][* 2019년 7월 [[FEVER SEASON]] 활동 이후로 약 2년 반 만의 [[쇼! 음악중심]] 출연이기도 해서 더욱 뜻깊었다.] || [[https://youtu.be/yyeXBP8mD10|[[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m.tv.naver.com/v/24742478/list/766520|[[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MagpfKD1BwA|'''직캠''']] [[https://youtu.be/7f67SC4WJhE|'''세로캠''']] || || {{{#ffffff '''1월 23일''' }}} ||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18.png|width=40]]]] || [[https://youtu.be/voNOwzyJ0l8|[[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m.tv.naver.com/v/24753059|[[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9kfgJAzTEH8|'''풀캠''']] [[https://youtu.be/bMFwzZl5-JE|'''안방1열 직캠''']] [[https://youtu.be/anXMuuQlLIg|'''페이스캠''']] || || {{{#ffffff '''1월 25일''' }}} || [[더 쇼|[[파일:더 쇼 로고(2018-2023).svg|width=50]]]] || [[https://youtu.be/oCtcFB7UWn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m.tv.naver.com/v/24789960|[[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tq4L_pFWgpQ|'''Fancam''']][* 채널 가입을 해야만 시청이 가능하다.] [[https://youtu.be/V-BMZnSJSgU|'''비하인드''']] || || {{{#ffffff '''1월 26일''' }}} || [[쇼챔피언|[[파일:쇼 챔피언 2019 로고.png|width=50]]]] || [[https://youtu.be/To9i8oKnZmU|[[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m.tv.naver.com/v/24811719|[[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Fa2nvx9hLQU|'''세로캠''']] [[https://youtu.be/46EhdxJgH2U|'''원픽캠''']] [[https://youtu.be/f4l2u1-1lKo|'''쇼챔직캠''']] [[https://youtu.be/3cLbpmBucnU|'''덕질캡처용''']] [[https://youtu.be/7bWw3U9fyrc|'''백스테이지''']] || || {{{#ffffff '''1월 27일''' }}} || [[엠 카운트다운|[[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width=50]]]] || [[https://youtu.be/9LhiFdeeFb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tv.naver.com/v/24833760|[[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5]]]] || || || {{{#ffffff '''1월 28일''' }}} || [[뮤직뱅크|[[파일:뮤직뱅크 로고 2019.png|width=50]]]] || [[https://youtu.be/bUIR-xngxS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tv.naver.com/v/24850848|[[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wrxSpTdjElw|'''타워캠''']] || || {{{#ffffff '''1월 30일''' }}} || [[인기가요|[[파일:SBS 인기가요 로고 2018.png|width=40]]]][* 막방] || [[https://youtu.be/gtoID8XTSL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tv.naver.com/v/24872511|[[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width=25]]]] || [[https://youtu.be/TJnfbl7obuo|'''풀캠''']] [[https://youtu.be/9gbifIlYa8U|'''안방1열 직캠''']] [[https://youtu.be/y2TNWcTqZGU|'''페이스캠''']] || }}}}}}}}} || == 성적 == === 음반 판매량 === ||<-3>
'''{{{#fff '''초동 판매량'''[* [[한터차트]] 참고.]}}}''' || || '''{{{-1 {{{#fff 날짜}}}}}}''' || '''{{{-1 {{{#fff 일간 판매량}}}}}}''' || '''{{{-1 {{{#fff 누적 판매량}}}}}}''' || || {{{#ffffff '''1월 21일''' }}} || 11,3** || 11,3** || || {{{#ffffff '''1월 22일''' }}} || 8* || 11,4** || || {{{#ffffff '''1월 23일''' }}} || 7** || 12,2** || || {{{#ffffff '''1월 24일''' }}} || 1,9** || 14,2** || || {{{#ffffff '''1월 25일''' }}} || 3,5** || 17,7** || || {{{#ffffff '''1월 26일''' }}} || 4** || 18,2** || || {{{#ffffff '''1월 27일''' }}} || 4,3** || 22,5** || || {{{#ffffff '''총 판매량''' }}} ||<-2> 22,5** || === 음원 === ||<-3><#b6211d> '''{{{#white 〈놀이(Play)〉 주요 음원 차트 최고 순위}}}''' || || '''음원 서비스''' || '''차트 종류''' || '''순위''' || ||<|5> [[멜론(음원 서비스)|[[파일:멜론 로고.svg|width=100]]]] || TOP100 || || || 실시간 차트 || 74위 || || 일간 차트 || 164위 || || 주간 차트 || || || 월간 차트 || || ||<|4> [[지니뮤직|[[파일:지니뮤직 로고.svg|width=80]]]] || 실시간 차트 || 109위 || || 일간 차트 || || || 주간 차트 || || || 월간 차트 || || || [[FLO|[[파일:FLO 로고.svg|width=70]]]] || FLO 24시간 차트 || || ||<|3> [[벅스(음원 서비스)|[[파일:벅스 로고.svg|width=80]]]] || 실시간 차트 || 3위 || || 일간 차트 || 11위 || || 주간 차트 || 74위 || || [[네이버 VIBE|{{{#!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color: #ffffff" [[파일:네이버 VIBE 로고.svg|width=100]]}}}]] || 일간 차트 || || ||<-3> {{{-1 [[https://xn--o39an51b2re.com/melon/song/34544101|주요 음원 서비스의 〈놀이(Play)〉 차트 순위 추이]]}}} || === 음악 방송 순위 === ||<|2>
'''{{{#ffffff 방송명}}}''' ||<-2> '''{{{#ffffff 〈놀이(Play)〉 순위}}}'''[* 활동기간 순위 진입 주차까지만 기재] || || {{{#ffffff '''1주차'''}}} || {{{#ffffff '''2주차'''}}} || || [[더 쇼]] ||<|2> - || 데뷔, TOP 3 미진입 || || [[쇼챔피언]] || 데뷔, TOP 5 미진입 || || [[엠 카운트다운]] ||<|4> 데뷔주 || [[엠 카운트다운/차트/2022년#s-3.4|12위]] || || [[뮤직뱅크]] || [[뮤직뱅크/K-차트/2018년 8월 이후#s-3.5.1.4|24위]] || || [[쇼! 음악중심]] || 미집계[* 설 연휴 및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베이징 동계올림픽]]으로 인해 1월 29일부터 4주간 결방.] || || [[SBS 인기가요]] || TOP 30 미진입[* 활동 마지막 음악방송.] || == 여담 == * 유주는 전곡 작사에 참여했고, 인트로 한 곡을 뺀 모든 곡에 작곡가로 이름을 올려 놓고 있다. 밴드가 아닌 아이돌 걸그룹에서 솔로로 독립한 가수 중 첫 앨범부터 모든 곡에 참여하는 일은 선례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특성상 가사를 스스로 쓰고 선율을 붙이는 래퍼 제외.] *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멤버들이 소속사를 옮긴 이후 처음으로 발매되는 정식 음반이다.[* 남은 주자인 [[VIVIZ]]도 2월 9일에 데뷔를 하며 여자친구 멤버 6명이 전부 활동을 다시 시작하게 되었다.] 이는 2020년 11월 [[回:Walpurgis Night]] 이후 약 1년 2개월 만이다. * 전 곡 코러스까지 참여했는데, 대여섯 시간을 서서 녹음하느라 힘들고 멤버들이 보고 싶었다고. * 1월 20일 [[심야괴담회]] 출연과 1월 22일 [[쇼! 음악중심]] 출연을 확정지으면서 [[MBC 일부 프로그램 HYBE 불화 의혹|2019년 여름 이후 출연하지 않던]] [[MBC]] 지상파에 약 2년 반만에 출연하게 되었다.[* 다만 음악중심이 설날 연휴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올림픽]]이 겹치면서 1월 22일을 끝으로 한 달 동안 장기 결방에 들어가면서 사실상 첫 방이 마지막 방송이 되는 아쉬움이 남게 되었다.] 데뷔 주에는 유튜브 제시의 숏터뷰(제목은 제시의 윶터뷰)에도 출연 예고가 올라와서, 활발히 프로모션 활동을 할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 여담으로 레코딩프로듀서이자 거의 모든 곡 작업에 같은 소속사인 [[Chancellor]]가 참여했는데, Chancellor는 이전에 [[이단옆차기]]3의 명의로 여자친구의 여름앨범 타이틀곡인 [[여름여름해 (Sunny Summer)]]를 만든 경력이 있다. 재미있게도 이 앨범 발매 후 1개월도 채 안되어서 재데뷔한 여자친구 멤버인 은하, 신비, 엄지로 구성된 [[VIVIZ]]의 [[Beam Of Prism|데뷔 미니앨범]]도 이단옆차기2로 마찬가지로 여름여름해에 참여했던 박장근이 프로듀서로 참가했고, [[이단옆차기]]가 뮤직프로듀서를 담당하였다. == 티저 == === 영상 === ||
{{{#ffffff '''CONCEPT FILM'''}}}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_MfXl9Y9azU)]}}} || ||
{{{#ffffff '''놀이(Play) M/V TEASER #1'''}}}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UnRdj23aPY)]}}} || ||
{{{#ffffff '''ALBUM SAMPLER'''}}}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63tQOpWOH8A)]}}} || ||
{{{#ffffff '''SPECIAL GIFT'''}}}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qbKg9CwU9U)]}}} || ||
{{{#ffffff '''놀이(play) M/V TEASER #2'''}}}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EOD_7o4L5c)]}}} || === 이미지 === ||
'''{{{#ffffff RELEASE SCHEDULE}}}'''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유주REC_ReleaseSchedule.jpg|width=100%]]}}}}}} || ||
'''{{{#ffffff TRACK LIST}}}'''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YUJU_REC_TRACKLIST.jpg|width=100%]]}}}}}} || ||
'''{{{#ffffff LYRIC POSTER}}}''' || || {{{#!wiki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5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YUJU_REC_LYRICPOSTER.jpg|width=100%]]}}}}}} || ||
{{{#ffffff '''티저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UJU_REC._IMAGE.jpg|width=100%]]}}} || ||
{{{#ffffff '''CONCEPT PHOTO #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UJUREC1.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UJUREC2.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UJUREC3.jpg|width=100%]]}}} || ||
{{{#ffffff '''CONCEPT PHOTO #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UJUREC4.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UJUREC5.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UJUREC6.jpg|width=100%]]}}} || == 정보 == ||
'''{{{#ffffff 앨범 구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YUJU_REC_ALBUMINFO.jpg|width=100%]]}}} || === 소개문 === '독보적인 여성 솔로아티스트로서 자리매김 할 유주의 [REC.]가 시작 된다.' 유주의 미니앨범[REC.]은 솔로 아티스트로서의 새로운 삶을 기록해 나아가는 출발점이 될 앨범이다. 첫 시작을 알리는 미니앨범[REC.] 전곡에 작사, 작곡으로 참여하며 싱어송라이터라 칭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열정을 쏟아 그 의미 또한 깊은 앨범이다. 01 Bad Blood(Intro) Bad Blood는 [REC.] 앨범의 포문을 여는 Intro 곡으로 유주 보컬에 포커스를 맞춘 프로덕션이 일품인 미니멀한 기타 팝 트랙이다. 코러스에서 반복되는 기타 리프가 곡의 중심을 잡아주며 보컬과 잘 어우러져 짧지만 강렬한 느낌을 준다. 02 놀이(Play) ∵ 놀이라는 단어는 장난스럽고 유쾌한 분위기를 품고 있지만, 사람과의 관계를 표현할 때 사용하기엔 어딘가 모르게 가볍고 허무하다고 생각했었다. 진심이라 여기며 온 마음을 다했던 사랑이 상대에겐 그저 하나의 놀이에 불과했을 때, 한 쪽의 감정은 스쳐 지나가는 재미에 그치는 반면 다른 한쪽은 그 반대의 감정에 휩싸이게 된다. 놀이(Play)는 미디엄 템포의 감성 팝 트랙으로, 국악기인 가야금 사운드와 서양의 킥, 스네어 드럼, 스트링 사운드가 조화로운 곡이다. 경쾌한 트랙과 반대되는 애절한 가사의 조합이 마치 의미심장한 놀이 같다. 03 겨우, 겨울(Fea. 매드클라운) '어디로든 데려가 줘. 그때의 외로움 설렘 다 좋아' ∵ 3년 전 늦가을, 연습실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던 중 갑작스레 새어들어온 찬바람의 향기에 이끌려 이 곡을 만들게 되었다. '겨울 향'이라는 가제목을 붙여두었던 녹음본을 오랜만에 다시 꺼내어 제목에 대해 고민하던 중, 유독 이번 겨울은 무거운 시간을 지나 조금 숨차게 겨우겨우 맞이했다는 생각이 들어 '겨우, 겨울'이라는 제목을 지어주었다. 매드클라운 선배님의 몽환적이고 또렷한 랩핑이 곡의 완성도를 더해주었다. 매년 겨울이 다가올 때마다 마음 한구석 홀로 흥얼거리던 이 노래가 잘 다듬어져 세상에 태어나게 되어 감사하고 벅찬 마음이다. 한겨울의 풍경을 담은 어쿠스틱 피아노 선율과 피치카토 스트링. 포근하게 안아주는 듯한 스트링 사운드, 떨어지는 눈꽃들을 표현한 일렉기타, 무거운 겨울을 헤쳐온 발걸음과 닮은 투박한 톤의 드럼 사운드가 풍부하게 담겨있다. 04 데킬라(The Killa) ∵ 그동안 설렘, 벅차오름, 아련함, 당당함 등 다양한 감정을 노래해 보았다. 내가 표현해 보지 않은 감정은 무엇이 있을까 고민하던 중, '악감정'이라는 키워드가 떠올랐다. 자칫 어둡고 매서워 보이지만 누구나 한 번쯤은 품어봤을 어지러운 이 감정을 독한 술 '데킬라'에 비유하여 매력적으로 풀어보고 싶었다. '삼킬수록 더 독 같은' 쓰라릴 것을 뻔히 알면서도 몇 번이고 삼켜보게 되는 독한 말들. 데킬라 한 모금과 가장 잘 어울리는 소절이다. 중독적인 기타 리프와 묵직한 베이스라인, 그리고 화려하면서도 슬픈 감정이 느껴지는 라틴풍 사운드가 곡의 분위기를 한층 더 고조시킨다. 05 Blue Nostalgia ∵ 나는 과거에 대한 회상을 자주 하는 편이다. 이러한 습관이 재밌고 즐거울 때도 있지만 가끔은 조금 버겁기도 하다. 간혹 그리워하던 순간을 꿈속에서 생생하게 다시 경험하곤 하는데, 깨어난 직후 모든 것이 허상이었다는 것을 깨닫는 순간 그 여파가 조금 오래가기 때문이다. 이 곡의 가사는 그 꿈에서 깨어난 후, 아침과 초저녁을 지나 잠들기 전 깊은 밤까지의 시간을 순차적으로 나열한 내용을 담았다. 혹여나 비슷한 경험을 겪어본 누군가에게 작은 공감이 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Blue nostalgia는 태어나 처음 리본 마이크로 녹음을 한 곡이다. 우연히 리본 마이크에 대해 호기심을 갖게 된 후 언젠가 꼭 시도를 해보고 싶었는데, 그 소망을 이루게 되어 더욱 소중한 곡이 되었다. 미니멀리즘 팝 발라드 트랙과 부드러운 기타리프, 스트링 섹션, 퍼커시브 리듬이 향수를 불러일으키며, 사운드의 조화가 그리움을 강조해 몽환적인 발라드의 절정을 이룬다. === 크레딧 === YUJU 1st MINI ALBUM [REC.] Credits 01 Bad Blood(Intro) 작사 유주, 챈슬러 작곡 Musikality, Celine Svanbäck, Ferras Alqaisi, Jeppe London 편곡 Musikality, Jeppe London Recording Producer by 챈슬러 Recording Engineer by KayOne Recording Studio by Vibe Music Mixed by Chris Godbey at Earflower Mastered by 권남우 at 821 Sound Martering 02 놀이(Play) 작사 유주, 챈슬러, Amelia Moore, MZMC 작곡 MZMC, 유주, 챈슬러 편곡 Pinkslip, inverness, MZMC Recording Producer by 챈슬러 Recording Engineer by KayOne Recording Studio by Vibe Music Mixed by 구종필 at KLANG Studio Mastered by 권남우 at 821 Sound Mastering Choreography by Monroe Lee, Winzy Park 03 겨우, 겨울(Feat. 매드클라운) 작사 유주, 챈슬러, 매드클라운 작곡 유주, 챈슬러 편곡 허인국(GALLERY), 유제혁(GALLERY) All Programming by 허인국(GALLERY) Drums, Strings, Keys, Synthesizers by 허인국(GALLERY) E.Guitar by 이예동 Piano by 금명식 Bass by 박종현 Recording Producer by 챈슬러 Recording Engineer by KayOne Recording Studio by Vibe Music Mixed by 홍성준 at GaeNaRi sound Mastered by 권남우 at 821 Sound Mastering 04 데킬라(The Killa) 작사 유주, 챈슬러, Knave 작곡 유주, 챈슬러, Purple, 장성일 편곡 챈슬러, Purple Chorus by 챈슬러 Guitar by 장성일 Synth by Purple String Synth by Purple Piano by Purple, 챈슬러 Drum by 챈슬러, Purple Bass by Purple, 챈슬러 Recording Producer by 챈슬러 Recording Engineer by KayOne Recording Studio by Vibe Music Mixed by 구종필 at KLANG Studio Mastered by 권남우 at 821 Sound Mastering 05 Blue Nostalgia 작사 유주, Amelia Moore, JBACH, Leroy Sanchez, Kyle Scherrer, MZMC 작곡 MZMC, Leroy Sanchez, Kyle Scherrer, 유주 편곡 Pinkslip, inverness, Dry Kyle, MZMC Recording Producer by 챈슬러 Recording Engineer by KayOne Recording Studio by Vibe Music Mixed by 구종필 at KLANG Studio Mastered by 권남우 at 821 Sound Mastering 발매사 워너뮤직코리아 기획사 KONNECT ENTERTAINMENT == 둘러보기 == [include(틀:유주의 노래)] [[분류:유주/음반]][[분류:2022년 데뷔 음반]][[분류:한국의 음반]][[분류:제목이 특수 문자인 문서]][[분류:커넥트 엔터테인먼트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