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기서부터 복사하면 됩니다. [목차] == 개요 == [youtube(O5T2S_5ap-8)] MV [youtube(__3tAuiTiFc)] [[燐舞曲]] 1st LIVE <[Re] incarnation ─甦生─> 공식 라이브 MV (FULL Ver.) ##[youtube(이 문장을 지우고 음원의 영상을 첨부합니다)] [[D4DJ]]의 유닛 [[燐舞曲|[ruby(燐舞曲, ruby=RONDO)]]]의 오리지널 곡. == [[D4DJ Groovy Mix]] == [include(틀:D4DJ Groovy Mix의 14 수록곡)] * [[D4DJ Groovy Mix/수록곡]] ||||<:><#48d1cc,#004c4c>{{{+1 {{{#4b0082,#violet [}}}Re] termination}}}[br]{{{#!wiki style="margin:-9px -10px auto;margin-bottom:-7px"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border-right:1px solid;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left: -10px;float:left" {{{#373a3c,#afeeee BPM}}}}}} {{{#373a3c,#afeeee 19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border-left:1px solid;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margin-right: -10px;float:right" {{{#373a3c,#afeeee 02:16}}}}}} ||}}}{{{#!wiki style="margin:0px -12px -16px" ||<-4> [[파일:%28Re%29termination_Groovy_Mix_Cover_Art.jpg|width=100%]] || || [[파일:d4dj_Easy.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blu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4)] 264 [br] (NTS) || [[파일:d4dj_Normal_2.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darkGree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8)] 381 [br] (DNG) || [[파일:d4dj_Hard.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hocolate;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0+)] 550 [br] (EFT) || [[파일:d4dj_Expert.png]][include(틀:글배경r, 배경색=Crimson;display:block;, 곡률=1em, 사이즈=0.8em; margin: 3px -5px 2px, 글자색=#fff, 내용=14)] 878 [br] (DNG) ||}}}|| ## 노트수가 1000이상일 경우 '''볼드체''' 처리합니다. ## 채보 경향은 NTS / DNG / SCR / EFT / TEC 중 레이더 차트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가지는 수치를 적습니다. 높은 수치가 세 개 이상일 경우 ALL을 적습니다. || 수록 || 2021년 4월 30일 || || 유닛 ||<:> [[燐舞曲|[[파일:logo_rondo.png|width=30%]]]] || || 해금 방법 ||<:> 기본 플레이 가능 || || 카테고리 ||<#00bfff,#4169e1><:> 오리지널 || || 기타 || MV 있음 '''[단위인정]''' [[D4DJ Groovy Mix/단위인정/'22 Summer#s-1.4|'22 Summer 2급]] 과제곡 (NORMAL) || |||| {{{#!folding [ 레이더 차트 & 채보 디자이너 ] [[파일:레이더 차트.png|align=center]] || [[파일:d4dj_Easy.png]] || [[파일:d4dj_Normal_2.png]] || [[파일:d4dj_Hard.png]] || [[파일:d4dj_Expert.png]] || ||<-4> Yamajet || }}} || === 채보 === [youtube(-imBfU-7JTg)] HARD PFC 영상. [youtube(t3iXSHTlCFQ)] EXPERT PFC 영상. == 가사 == * 역시 가사가 없거나 원곡 항목의 하위 항목으로 들어가는 경우 지웁니다. * 외국어 가사가 곡에 등재되어있는 경우 외국어 파트에 '''볼드체'''를 처리합니다. || '''원어 가사''' 해석 '''この胸に抱いた存在の理由は''' 이 가슴에 품은 존재의 이유는 '''無用な感情吸い込む度に消えた''' 쓸모없는 감정을 빨아들일 때마다 사라졌어 '''もう一度だけ白紙に戻せるのなら''' 한 번만 더 백지로 돌아갈 수 있다면 '''君が好きだった昏い絵具で塗り潰すんだ''' 네가 좋아했던 어두운 물감으로 빈틈없이 칠하는 거야 '''無意な日々を殺めたこの手は''' 무의미한 날들을 죽인 이 손은 '''これ以上穢したって、構わないだろう''' 이 이상 더럽혀도 상관없겠지 '''君を塞いで闇に差す[ruby(哀歌,ruby=エレジー)]''' 너를 가로막고 어둠에 밀려오는 [ruby(애가,ruby=에레지)] '''例え全てへの叛逆だとしても''' 설령 모든 것에 대한 반역이라고 해도 '''痛みがあるなら 僕は歌える''' 아픔이 있다면 난 노래할 수 있어 '''[Re] incarnation''' '''次の次の[ruby(終点,ruby=終わり)]へと''' 다음 다음의 [ruby(종점,ruby=끝)]으로 '''孤独を映した心象の泉は''' 고독을 비춘 심상의 샘은 '''行き交う人の波に呑まれて揺れた''' 오가는 사람의 물결에 휩쓸려 흔들렸어 '''"ねえいつからこんな世界を望んでいたんだっけ?"''' "저기, 언제부터 이런 세상을 원했더라?" '''虚ろな問いは影を孕んで冷たくなった''' 허무한 물음은 그림자를 품고 차가워졌어 '''その奈落に意味があるのなら''' 그 나락에 의미가 있다면 '''この音に[ruby(業,ruby=カルマ)]を背負うのも厭わない''' 이 소리에 [ruby(업,ruby=카르마)]을 짊어지는 것도 마다하지 않아 '''([ruby(破滅,ruby=終わ)]ッテシマウヨ)''' ([ruby(파멸,ruby=끝나)](해)버려) '''([ruby(破壊,ruby=壊)]シテモイイノ?)''' ([ruby(파괴,ruby=부숴)](해)도 되는 거야? '''目を醒ました鼓動が、廻り出す''' 눈을 뜬 고동이 돌기 시작해 '''世界の果てに歪んだ[ruby(讃歌,ruby=メルシー)]''' 세상의 끝에서 일그러진 [ruby(찬가,ruby=메르시)] '''神が赦さぬとしても''' 신이 용서치 않는다 하더라도 '''楽園でまた二人"うたおう"''' 낙원에서 다시 둘이서 "노래하자" '''[Re] termination''' '''誓うよ''' 맹세할게 '''君を塞いで闇に差す[ruby(哀歌,ruby=エレジー)]''' 너를 가로막고 어둠에 밀려오는 [ruby(애가,ruby=에레지)] '''例え世界への叛逆だとしても''' 설령 세계에 대한 반역이라고 해도 '''痛みがあるなら 僕ら歌える''' 아픔이 있다면 우리는 노래할 수 있어 '''[Re] incarnation''' '''次の次の未来でも''' 다음 다음의 미래에도 || == 기타 == D4DJ와 관련된 곡의 기타사항을 적습니다. 오리지널곡 이외의 카테고리의 곡일 경우 생략 ## 여기까지 복사하면 됩니다. [[분류:D4DJ Groovy Mix의 수록곡]][[분류:D4DJ/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