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문장 부호, rd1=고리점)] [목차] == 개요 == [[각도]]나 [[온도]]의 단위. [[유니코드]]는 U+00B0이다. == 상세 == 각도의 경우 더 작은 단위는 [[분]]과 [[초(단위)|초]]로, 하위 단위로 가면 [[시간]]과도 단위 이름이 같아지게 된다. 영어로도 각각 minute와 second. 기호는 각각 ′과 ″(이 역시 마찬가지로 ㄹ+한자에 있다[* 다만 도 기호 자체는 자음+한자로 입력할 수 없다(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다룬다). [[알트 코드]] Alt+176이나 [[Windows 10]] 이상의 경우 {{{Win}}}+{{{.}}} 입력법으로 입력해야 한다.]). 시간과 마찬가지로 60진법을 따라서 3600초 = 60분 = 1도이다. 참고로 각도의 [[국제단위계|표준 단위]]는 [[라디안]]이며 이것도 ° 를 붙이지 않으며 심지어는 단위도 쓰지 않는다.[* 라디안의 정의가 [[무차원량|길이÷길이]]이기 때문. 그래서 [[함수]]나 [[미적분]]에서 라디안은 그냥 숫자 취급이다.] 온도에 관해 얘기할 때 0.1도 단위를 '부'라고 읽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테면 "아이의 체온이 36도 5부( [math(=\rm36.5\,\degree\!C)])이다."라고 표현하는 식.] 이는 일본어에서 쓰이는 단위 [ruby(分,ruby=ぶ)](부)[* 分는 보통 ふん 혹은 연탁이 적용된 ぷん으로 읽지만 온도의 단위로 쓰였을 때에는 ぶ로 읽는다.]가 그대로 넘어온 것이다. 사전적으로 1도의 1/10에 해당하는 단위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있지 않다. 그 유래를 따져보면 본질적으로 기준값의 1/10을 의미하는 단위 [[푼]]과 유사하다. [[위상수학]]에서는 [[위상 공간]]의 [[https://en.wikipedia.org/wiki/Interior_(topology)|안쪽]]을 나타내는 기호로도 쓴다. == 완성형의 특수 문자 중에서 유일하게 (자음) + [[한자 키]]로 입력할 수 없는 문자 == KS X 1001 [[완성형]]에 있는 [[완성형/특수 문자|특수 문자]]들 중에서 유일하게 (자음) + [[한자 키]]로 입력할 수 없는 문자가 바로 이 °이다.[* 그래서 ㅁ + 한자에 있는 º(첨자 O) 혹은 ㄱ + 한자에 있는 [[다이어크리틱#s-5.12|◌̊]] 등의 [[닮은꼴 문자]]로 잘못 쓰는 경우도 보인다.] 다른 버그들과 달리 이쪽은 --고칠 의지가 없어-- 현재도 발생하고 있다. ㄹ + 한자의 네 번째에 생뚱맞게 F(전각 F)가 있는데, 실제로는 이 자리에 °가 들어가야 하는 게 아닌가 추정된다. * F는 ㅍ + 한자(전각 로마자 전용)에 있기 때문에 굳이 ㄹ + 한자에 또 들어갈 이유가 없다. * KS X 1001에서 F는 0xA__3__C6이고 °는 0xA__1__C6이다. 둘의 코드 값이 상당히 비슷하다. 유니코드 시대 이전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자음) + [[한자 키]] 변환 후보 목록을 만들 때 알 수 없는 이유로 이 문자의 첫 번째 바이트가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 ㄹ + 한자의 F 바로 뒤에 ′(prime)과 ″(double prime)이 있는 것으로 보아, ㄹ + 한자의 F는 실제로는 °를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 [[알트입력법]]을 이용해서 왼쪽 Alt + 176 혹은 왼쪽 Alt + 0176으로 입력이 가능하다. [[Windows 10]]/[[Windows 11]]에서는 [[윈도우 키|{{{Win}}}]]+{{{.}}} 또는 {{{Win}}}+{{{;}}}로 특수 문자 입력이 가능한데, 여기서는 ° 입력이 가능하다.[* < 탭에서 6번째 줄의 맨 왼쪽에 있다.] == 기타 == 온도와 각 모두 '도'로 쓰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개그도 있다. 영어로도 degree로 동일하다. >아들: 아빠 추워요. 집이 18도예요! >아빠: 그럼 집의 모서리로 가렴. >아들: 왜요? >아빠: 모서리는 [[특수각#직각|90도]]니까. --바닥은 180도다.-- --춥다고 데굴데굴 구르면 360도나 되네-- 이런 식으로 헷갈리지 않기 위해서 온도에는 ° 다음에 [[섭씨온도]], [[화씨온도]] 등을 나타내는 C나 F를 붙여 ℃, ℉로 쓴다. 예외적으로 [[절대온도]]는 °를 붙이지 않고 그냥 K라고만 쓴다. 절대온도 문서에 가보면 알겠지만 켈빈은 영칭도 degree(도)를 붙이지 않는다. == 관련 문서 == * [[각도]] * [[온도]] * [[섭씨온도]] * [[화씨온도]] * [[절대온도]] * [[옹스트롬]]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도, version=141, paragraph=11)] [[분류:특수 문자]][[분류:도량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