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other1=숫자,rd1=3)] [include(틀:키릴 문자)] [목차] == 개요 == {{{+1 З з}}} [[러시아어]] [[키릴 문자]]의 9번째 글자. 초기 키릴 문자 이름은 제믈랴(ꙁємл҄ꙗ). 대부분의 언어에서 /z/ 발음을 나타내는 데 쓴다. [[몽골어]]에서는 /ts/ 발음을 낸다. 유래는 그리스 문자 [[제타]]([[Ζ]]/ζ). == 상세 == 초기 키릴 문자 시절만 해도 그리스 문자나 라틴 문자 비슷하게 적었는데 현대 들어서 자형이 변해 정착했다. 초기 키릴 문자의 형태 [[유니코드]] Cyrillic Extended에 옛 이름인 '제믈랴(Zemlya)'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다. 다만 학자들은 제믈랴가 단순히 З의 다른 표기라 유니코드에 수록될 가치가 없고, 덤으로 '제믈랴'라는 호칭조차 정확하지 않다며 유니코드 측의 실수라고 지적하기도 한다. 문제는 유니코드 특성상 한 번 등록된 글자를 삭제하거나 정보를 수정하는 게 불가능한지라 이 문제는 지속될 예정. [[http://www.synaxis.info/azbuka/ponomar/font_families/styleguide_1.htm|관련 문서]] [[숫자]] [[3]]과 [[닮은꼴 문자]]이다. == З́ з́ == [[몬테네그로어]]에서만 쓰이는 키릴 문자로 /ʑ/ 발음을 나타내는 데 쓴다. 다만 유니코드에 정식으로 등록된 글자는 아니라 글자와 악센트가 깨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애초에 [[몬테네그로어]]가 [[세르비아어]]와는 다름을 강조하기 위한 목적 단 하나 때문에 탄생한 글자라서(...) 결국 2017년 몬테네그로 의회에서는 이 문자를 공문서에서 배제키로 하면서 사실상 폐지되었다. == Ӟ ӟ == [[우드무르트어]]에서 /dʑ/ 발음을 나타내는 데 쓴다. == Ӡ ӡ == [[압하스어]]에서 /dz/ 발음을 나타내는 데 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키릴 문자/목록, version=446, paragraph=2.8)] [[분류:키릴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