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키릴 문자)] [목차] == 개요 == {{{+1 Я я}}} [[키릴 문자]]의 마지막 문자. [[러시아어]]에서 일컫는 명칭은 я(야). /ja/ 발음을 표기하는 데 쓴다. == 상세 == 중세 키릴 문자 Ѧ/ѧ의 필기체에서 Я/я가 나왔다. 원래 ѧ는 비음이 들어간 ([[폴란드어]]의 ę 같은) 발음이었으나, 러시아어에서는 비음이 사라지면서 я 발음으로 변했고, 이후 [[표트르 대제]]가 철자법을 개혁하면서 이 발음에 해당하는 글자로 я만을 쓰게 했다. І와 А의 합자인 Ꙗ 역시 Я에 통폐합되었다. 러시아어에서는 강세가 안 들어가면 /jɪ/ 내지는 /jə/ 비슷하게 읽는다. [[라틴어]]에서 '~의 땅'을 의미하는 '-ia'의 a 부분을 러시아어를 비롯한 키릴 문자 사용 슬라브어파에서는 일괄적으로 я라고 옮겨쓴다. 그래서 '러시아'가 '로시야', '불가리아'가 '벌가리야'같은 식으로 발음된다. [[에스토니아어]], [[핀란드어]]의 Ä를 키릴 문자로 옮겨 적을 때 대개 Я로 적는다. [[라틴 문자]] [[R]]을 뒤집은 모양새라 [[테트리스|TETRIS]]를 TETЯIS로 표기하는 등 R을 장난스럽게 표기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 이런 걸 가짜 키릴 문자(Faux Cyrillic)라고 부른다.[* 정작 R에 해당되는 키릴 문자는 [[Р]]이다.] ~~[[토이저러스]]~~ [[카드파이트!! 뱅가드]]의 리버스도 이 부류에 속한다. 영문판 [[백괴사전]]에서는 --[[러시아|Russia]],--[*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제목이 'Я (Country)'로 바뀌었다.] [[테트리스|Tetris]], [[토이저러스|Toys R Us]] 문서의 R이 대부분 Я로 좌우반전되어 있다. [[필기체]]로는 고리 모양으로 쓰기도 하지만, E와 І를 합친 모습으로 쓰기도 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키릴 문자/목록, version=446, paragraph=2.34)] [[분류:키릴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