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권 - 강)] [include(틀:대한민국의 하천)] [include(틀:경순왕)] ||<-2> {{{+2 '''형산강'''}}} [br] '''兄山江''' | '''Hyeongsan Riv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형산강.jpg|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경주 형산강.jpg]] [[대한민국]]의 [[광역시]]인 [[울산광역시]]의 [[울주군]]에 있는 [[두서면]]에서 발원하여 [[경주시]]와 [[포항시]] 도심을 관통하여 [[영일만]]을 통해 [[동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이다. 유역면적은 1,139.96㎢, 유로연장이 61.95km로써 남한 땅에서 본류 기준으로 유역면적 9위, 유로연장은 8위의 하천이다. 강줄기가 형산강 [[지구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강 줄기는 동남쪽으로 흐르면서 [[건천읍]]과 경주시내 동 지역을 지난다. 이 때 동 지역 남쪽(율동, 탑동 경계)에서 남천이, 경주시내에서 [[보덕동]] 발원, 덕동호에서 나오는 하천과 합류한다. 이 후 경주시내를 지나 [[현곡면]]과 천북면 사이를 지난다. 그 이후 [[안강읍]]에서 칠평천이 합류하며, 이 후 진로를 북동쪽으로 꺾고, [[강동면(경주)|강동면]] 인동리에서는 기계천이 합류 한다. 이 후, [[포항시]] 남구 연일읍을 거친다. 그리고 포항시 동 지역에서 영일만으로 흘러든다. [[경상북도]] [[경주시]] [[서면(경주)|서면]] 도리에서 발원한 하천은 처음에는 '심곡천'으로 명명되다가 심곡저수지를 지난 후 아화초등학교 앞에서 합류해 들어오는 지류 하천의 이름을 따라 '대천' 으로 불리며 흘러가고 '나정교'에서 울산 백양골못이 발원지인 '복안천' 과 합류한 이후 정식으로 '형산강' 이 되어 흘러가는 듯하다. 그러나 실제 지도 맵에는 백양골못 발원지를 기준으로 하여 흘러가는 지류를 '형산강' 으로 이름 붙이고 있으며 심지어는 명계저수지 인근에서 발원하는 지천까지도 형산강으로 이름을 붙이고 있다. 현재 다른 강들과 마찬가지로 많은 취수로 인해 유량이 현저하게 감소한 하천 중 1곳이다. 특히 주변을 보면 경주에는 경주평야, 포항에는 포스코가 있으며 기본적으로 이 지역 인구가 많은 편인 지라[* [[포항시]] 51만 명+[[경주시]] 25만 명. 특히 포항은 경북에서 인구가 가장 많으며, 경주도 경북에서 네 번째로 인구가 많다.] 취수량이 많은 반면 대한민국 주요 10대 하천 중 강수량은 가장 적다. 한 때 취수량이 전체 유량에서 71%[* 당시 가장 많은 취수량을 기록한 [[동진강]](85%)바로 다음이다.]라는 기록을 세웠다. == 연혁 == 형산이라는 이름은 경주시와 포항시의 접경에서 제산(弟山)과 마주하고 있는 형산(兄山)에서 유래됐다. [[7번 국도]] 경주와 포항 경계 지점의 유강터널이 지나는 산이 제산이며[* 그래서 옛 [[7번 국도]]의 경주-포항 경계 도로도 [[제산로]]인 것.] 강 건너편에 있는 산이 형산이다. 형산과 제산이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후삼국시대]] [[경순왕]]과 [[마의태자]]의 전설이 얽혀있다.[[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5704|#]] 당시에는 형산과 제산이 하나로 합쳐져 있었는데 남천, 기계천 등에서 나오는 물로 지금의 [[안강읍]] 지역에 큰 호수가 있었다고 한다. 이 때문에 물난리가 잦아 치수가 어려웠는데, 이를 위해서는 용으로 승천하여 그 산을 갈라야 했다. 그 때문에 경순왕이 기도를 드려 승천을 했는데,[* 용으로 변한 것이 마의태자라고도 한다.] 이 때 용이 되기 위한 조건이 바로 누군가가 승천한 왕을 용으로 불러야 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 때 승천한 왕이 뱀처럼 보여 사람들이 모두 다 큰 뱀이라고 불렀으나, 유금이라는 이름의 어린 아이 한 명만이 뱀이 아니라 용으로 불러주었고, 그제서야 용으로 승천할 수 있었다. 그 덕택에 산이 갈라지고 물이 빠져 나가게 되었으며, 물이 빠져 나간 뒤에 생긴 들판을 그 어린 아이의 이름을 빌어 유금이라고 불렀다. 현재 지명으로 [[강동면(경주)|강동면]] 유금리가 존재하는데, 유금이라는 명칭이 여기서 유래되었다. 실제로 이와 관련하여 형산 쪽에는 경순왕과 마의태자를 모시는 절과 사당이 있는데, 대표적인 곳이 형산 정상에 있는 왕룡사이다. 이 곳에는 다른 절에서는 보기 어려운 왕장군용왕전에 경순왕과 태자를 상징하는 목각이 있다. 이와 같은 전설은 당시 이 쪽 근방에서 있었던 신라부흥운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시대에는 포항시 연일읍~경주시 강동면 일대에 부조장터라는 큰 규모의 시장이 구한말 무렵까지 존재했고 현재까지도 각종 지명과 도로명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또한 포항시에서도 부조장터의 전통을 계승하기 위해 테마공원을 조성하고 2008년부터 연일읍 생지리 강변 둔치에서 매년 축제를 진행하고 있다. 포항시 하류에서 강을 따라 조성된 대략 10미터 높이의 강둑은 1930년대에 축조 되었다고 알려져있고 1950년대 초반까지는 경주 시내까지는 거뜬히 중소형 선박과 배가 하류에서부터 올 수 있을 정도로 수량이 많았다고 한다. 그리고 20세기 중반까지 포항[* 1950~1960년대까지 포항에 염전이 있었다.]에서 소금장수가 걸어서 경주까지 와서 소금을 팔고, 다 팔면 형산강의 배를 타고 하류의 집으로 돌아갔다고 한다. 1950년 9월에는 6.25 전쟁이 진행되던중 북한군의 남하로 이곳을 방어선 삼아 일주일간 교전이 일어나기도 했다. 2000년대에는 하천정비를 실시하면서 퇴적물들로 형성된 불규칙한 지형이 반듯해지고 강을 따라 콘크리트 제방이 건설되었다. 2010년대 이후엔 강둑 위로는 자전거 도로가. 강둑 아래로는 주차장과 공원 및 정원이 대거 조성되면서 황량했던 강변에 캠핑과 산책을 즐기는 시민들이 늘어났다. == 지류 == * [[북천]] * [[남천(경주)]] * 소현천 * 이조천 * 사방천 * 기계천 * 칠평천 * 중리천 * 모래쇠천 * 복안천 * 건천 * 고천 * 재내천 * 화곡천 * 자명천 * 칠성천 * 구무천 * 신당천 == 생태 == 계류형 하천으로 많은 회귀성 어류가 분포하며 다양한 종들이 분포했지만 현재는 많은 보들[* 총 53개의 보가 있다. 이는 유로연장이 비슷한 하천 중에서는 현저히 많은 편이다.]로 인하여 정수형 생태계가 되었으며 배스, 블루길 같은 외래 어종이 유입되면서 종의 다양성이 큰 타격을 입었다. 분포하는 물고기는 잉어, 붕어, 큰입 배스, 파랑 볼우럭, 납자루, 가물치, 잔가시고기, 각시붕어, 수수미꾸리, 중고기, 누치 등이 분포한다. 포항시를 가로지르는 하류 부근에서 다양한 조류가 많이 발견된다. 참새, 까치 등 흔히 볼 수 있는 텃새부터 청둥오리와 같은 겨울 철새까지 수많은 조류가 자생한다. 한겨울에는 [[흰꼬리수리]], [[검은머리갈매기]] 등을 목격할 수 있다. 동계에 강변을 따라가다보면 철새를 찍으러 온 사진 작가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을 정도. 몇 년 전에는 포항시에서도 이를 인식하고 연일읍 중명리 도로변에 철새를 주제로 한 전망대를 건설하였다. 공업도시의 하천이 대부분 그렇듯 하류로 갈 수록 수질이 영 좋지 않다. 경주와 포항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야 처리장에서 어느 정도 정화되어 나오지만 진짜 문제는 공업단지에서 방류되는 폐수다. 공업지구로 이어진 하천에서는 퇴적물로 인한 토양 및 수질 오염이 심각한데 2016년에는 오염도 조사를 한 결과 공업단지와 인접한 하천의 퇴적물과 어패류에서 기어코 [[수은]]과 [[카드뮴]]을 비롯한 중금속이 적게는 기준치의 수십배에서 많게는 수천~1만배 이상(!) 초과 검출되었다. 허나 시에서는 낚시 및 어패류 채취를 금지한다는 공고 외에는 별 다른 조치를 내놓지 못 하고 6년 넘게 상황을 방치하고 있어 지역 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런 상황이 장기간 지속된다면 최악의 경우 [[일본|이웃나라]]에서 발생한 [[미나마타병|무서운]] [[이타이이타이병|병]]이 포항에서도 보고될 가능성이 있다. == 교량[anchor(교량)] == * 상류부터 하류로 내려가는 순서로 작성하였다. * 주요 교량만 작성. ||<-6><#33CDFF><:> '''[[동해]]에 합류''' || ||<:>해도근린공원[br]방면||←||<#C8C8C8><:><-2>구형산교(인도교) ||→||<:>포스코[br]방면|| ||<:><|2>[[희망대로]][br][[포스코대로]]||<|2>←||<#C8C8C8><:><-2>'''[[형산큰다리]]'''([[동해안로]]) ||<|2>→||<:><|2>포스코[br]방면[br]([[동해안로]])|| ||<#C8C8C8><:><-2>'''[[포스코대교]]'''([[동해안로]]) || ||<:>[[희망대로]][br][[상대동(포항)|상대동]],[[대도동]][br]방면||←||<#C8C8C8><:><-2>섬안큰다리([[섬안로]]) ||→||<:>포항철강산단[br]방면|| ||<-2> ||<-4><#33CDFF><:> '''[[칠성천]]''' 합류부 || ||<:>[[포항터미널]][br]방면||←||<#C8C8C8><:><-2>연일대교([[연일로]]) ||→||<:>[[연일읍]][br]방면|| ||<:>[[효자역(포항)|효자역]][br]방면||←||<#F772D8><:><-2>{{{#fff 형산강철교([[괴동선|{{{#fff 괴동선}}}]])}}} ||→||<:>[[괴동역]][br]방면|| ||<:>[[청송군]],[[기계면|기계]][br]방면||←||<#C8C8C8><:><-2>유강대교([[31번 국도]]) ||→||<:>[[경주시]],[[오천읍|문덕]][br]방면|| ||<:>[[강동면(경주)|강동면]][br]방면||←||<#C8C8C8><:><-2>국당교([[945번 지방도]]) ||→||<:>경주[br]방면|| ||<-2> ||<-4><#33CDFF><:> '''[[왕신천]]''' 합류부 || ||<:>[[강동IC]][br]방면||←||<#C8C8C8><:><-2>강동대교([[7번 국도]]) ||→||<:>경주[br]방면|| ||<-4><#33CDFF><:> '''[[기계천]]''' 합류부 ||<-2> || ||<-4><#33CDFF><:> '''[[칠평천]]''' 합류부 ||<-2> || ||<:>[[영천시]],[[건천읍|건천]][br]방면||←||<#C8C8C8><:><-2>형산강교([[20번 국도]]) ||→||<:>[[북경주IC]][br]방면|| ||<-4><#33CDFF><:> '''[[사방천]]''' 합류부 ||<-2> || ||<-2> ||<-4><#33CDFF><:> '''[[신당천]]''' 합류부 || ||<:>[[현곡면|현곡]][br]방면||←||<#C8C8C8><:><-2>~~황금대교~~[BR]{{{#red (건설중)}}}||→||<:>용강산업단지[br]방면|| ||<:>~~[[나원역]][br]방면~~||~~←~~||<|2><#F772D8><:>~~{{{#fff 형산강철교}}}~~||<#F772D8><:>~~([[동해선|{{{#fff 동해선}}}]])~~ ||<|2>~~→~~||<|2><:>~~[[경주역]][br]방면~~[* 2021년 12월 28일 선로 이설]|| ||<:>~~[[서경주역(중앙선)|서경주역]][br]방면~~||~~←~~||<#F772D8><:>~~([[중앙선|{{{#fff 중앙선}}}]])~~ || ||<-4><#33CDFF><:> '''[[소현천]]''' 합류부 ||<-2> || ||<:>[[현곡면|현곡]][br]방면||←||<#C8C8C8><:><-2>금장교([[용담로(경주)|용담로]]) ||→||<:>[[황성동(경주)|황성동]][br]방면|| ||<-2>||<-4><#33CDFF><:> '''[[북천]]''' 합류부 || ||<:>[[동국대학교/WISE캠퍼스|동국대학교]][br]방면||←||<#C8C8C8><:><-2>동대교([[동대로(경주)|동대로]]) ||→||<:>[[성건동]][br]방면|| ||<:>석장동[br]방면||←||<#C8C8C8><:><-2>장군교(인도교) ||→||<:>[[성건동]][br]방면|| ||<-4><#33CDFF><:> '''[[충효천]]''' 합류부 ||<-2> || ||<:>[[경주역]],[[충효동(경주)|충효동]][br]방면||←||<#C8C8C8><:><-2>서천교([[태종로(경주)|태종로]]) ||→||<:>[[경주고속버스터미널|경주터미널]][br]방면|| ||<-2>||<-4><#33CDFF><:> '''[[남천(경주)|남천]]''' 합류부 || ||<-4><#33CDFF><:> '''[[대천]]''' 합류부 ||<-2> || ||<:>[[경주IC]][br]방면||←||<#C8C8C8><:><-2>나정교([[서라벌대로]]) ||→||<:>경주 시내[br]방면|| ||<-4><#33CDFF><:> '''[[화곡천]]''' 합류부 ||<-2> || ||<:>[[언양읍]][br]방면||←||<#C8C8C8><:><-2>용장교([[35번 국도]]) ||→||<:>포항,경주[br]방면|| ||<:>[[경주역]],[[건천읍]][br]방면||←||<#C8C8C8><:><-2>형산강교([[7번 국도]]) ||→||<:>내남IC[br]방면|| ||<-4><#33CDFF><:> '''[[이조천]]''' 합류부 ||<-2> || ||<:>[[언양]][br]방면||←||<#C8C8C8><:><-2>노곡교([[35번 국도]]) ||→||<:>포항,경주[br]방면|| ||<-6><#6AAD78><:> '''[[울산광역시|{{{#black 울산광역시}}}]] [[울주군|{{{#black 울주군}}}]] [[두동면|{{{#black 두동면}}}]] {{{#black 묵장산에서 발원}}}''' || == 기타 == * [[울산광역시]]-[[경주시]] 구간은 [[경부고속도로]], [[35번 국도]] 등의 교통로와 경로가 유사하다. [[경주시]]-[[포항시]] 구간은 [[동해선]], [[7번 국도]], [[68번 지방도]] 등의 교통로와 경로가 유사하다. * 영남 동해안 지역에 살지 않는 사람한테는 그리 잘 알려지지 않은 강이지만, 19대 대선 과정에서 [[홍준표]] 후보가 한강·제주 앞바다·낙동강과 함께 형산강을 언급하여 매스컴을 탔다. * 남한에서 동해안으로 흘러드는 하천 중 가장 큰 하천이다. *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포항시 소재 학교들의 교가에 단골로 등장한다. [[포항공과대학교]]의 교가에도 있다. * 남한에서 낙동강과 함께 삼각주가 형성된 하천으로 가끔 소개되기도 한다. 동해안에서는 가장 큰 규모인 영일만으로 흘러들고 강의 규모도 큰 편에 속해 삼각주 형성에 꽤 유리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삼각주의 크기는 대략 9㎢ 정도로 포항시내 일부(3분의 1 정도)가 해당되어 현재 포항시민의 삶의 터전을 만들어준 셈. * 과거 지명에서 알 수 있듯 상도, 죽도, 해도, 송도는 과거 바다였던 곳에 형산강이 실어날은 토사로 형성된 삼각주 도시이다. 현재는 칠성천, 송림천 복개 및 일부 매립 등으로 모두 육지가 되었으나 포항운하 개통으로 송도는 유일하게 현존하는 형산강 삼각주가 되었다. * 또한 죽도동의 동빈내항은 형산강의 구하도로, 삼각주가 만들어 지던 당시 형산강에 형성된 두 물줄기 중 본류에 해당하였으나 형산강을 지금의 포항제철소 방향으로 물길을 돌리는 공사를 진행하여 사실상 샛강으로 전락하고 그마저도 칠성천 복개 및 샛강 매립 등으로 물길이 단절되고 고립된 하천이 되었다. 이를 살리기 위한 일환으로 포항운하를 개통하여 형산강과 상통하는 샛강으로 되살아났다. [[분류:형산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