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제목이 옛한글인 문서]] || [[파일:아래아 한.svg|width=80%&theme=light]][[파일:아래아 한 화이트.svg|width=80%&theme=dark]] || || {{{-1 글자 이미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름이 'ᄒᆞᆫ'인 단어들을 정리한 문서. '흐언'을 빨리 말하는 것과 비슷한 발음이다. == 순우리말 == === 관형사 [[한]]\[[[一]]]의 옛말 === >왼녀긔 '''ᄒᆞᆫ''' 點을 더으면 ᄆᆞᆺ 노ᄑᆞᆫ 소리오.[* 해석하자면 "왼쪽에 '''한''' 점을 더하면 가장 높은 소리이고."이다. 여기서 언급하는 한 점은 성조를 표기하는 방점으로 방점이 하나만 있다면 위로 올라가는 소리였다.] >---- >- <[[훈민정음 언해본]] 13> '[[한]](一)'의 옛말. == 한자어 == === 접미사 [[한#한[漢], 접미사]]\[[[漢]]]의 옛말 === >그 ᄢᅴ 大衆이 '''ᄒᆞᆫ''' 소리로 摩耶ᄅᆞᆯ 讚嘆ᄒᆞᅀᆞᄫᅩᄃᆡ 됴ᄒᆞ 실쎠 摩耶ㅣ 如來ᄅᆞᆯ 나ᄊᆞᄫᆞ실쎠.[* 그때 대중이 '''한''' 소리로 마야를 찬탄하시되 좋으시므로 마야가 여래를 나아가시므로.] >---- >- <석상-중 11:24> 접미사 '-한(漢)'의 옛말. === 기한의 옛말 === >限期 '''ᄒᆞᆫ''' >---- >- <동해 하:30> 기한을 뜻하는 옛말. == [[한컴오피스 한글]]을 뜻하는 글자 == [[한컴오피스 한글]]의 '한글'을 [[아래아]]로 써서 'ᄒᆞᆫ글'([[파일:아래아 한.svg|width=12&theme=light]][[파일:아래아 한 화이트.svg|width=12&theme=dark]]글)로 쓴 것이다. 한컴오피스의 프로그램들을 뜻하기도 하며, 이는 [[ᄒᆞᆫ글]]([[파일:아래아 한.svg|width=12&theme=light]][[파일:아래아 한 화이트.svg|width=12&theme=dark]]글), [[ᄒᆞᆫ셀]]([[파일:아래아 한.svg|width=12&theme=light]][[파일:아래아 한 화이트.svg|width=12&theme=dark]]셀), [[ᄒᆞᆫ쇼]]([[파일:아래아 한.svg|width=12&theme=light]][[파일:아래아 한 화이트.svg|width=12&theme=dark]]쇼), [[ᄒᆞᆫ워드]]([[파일:아래아 한.svg|width=12&theme=light]][[파일:아래아 한 화이트.svg|width=12&theme=dark]]워드) 등에 해당된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혼글, version=16, paragraph=1)] == '[[혼]]'을 예스럽게 쓴 것 == [[ㆍ]](아래아)를 사용하면 예스러운 느낌이 있기 때문에, 아래아가 있었을 때도 원래 '혼'이였던 단어를 'ᄒᆞᆫ'이라고 쓰는 경우들이 있다. 다만, 전산망에는 옛한글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ㅏ, ㅗ로 대체해서 등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