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특수문자]] 중 하나. 한국어 입력기 기준으로 ㅁ→[[한자 키]]→6을 차례로 입력하면 된다. == 명칭 == [[파일:당구장표시.jpg]] 한국에서는 흔히 '[[당구장]] 표시'(혹은 기호)라는 표현으로 쓰이는데, 당구장 [[간판]] 등에 이 기호를 그대로 쓰거나 구도가 똑같이 생긴 그림을 표시하기 때문에 그렇다. X표는 [[큐대]](당구채), 점은 [[당구공]]과 비슷하다. 한국의 정식 명칭은 '참고표'이다. [[일본]]에서는 [ruby(米印, ruby=こめじるし)](코메지루시)라고 부른다. 직역하면 [[쌀]] 표시. 米(쌀 미) 자와 비슷하게 생겨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한편 중국에서 米字는 보통 [[*]]를 의미한다.] 때문에 쌀집 간판에 이 기호를 그리는 경우도 있다고. 일본어 입력기에서 こめ를 치고 변환하면 마지막에 이 기호가 뜬다. [[진나이 토모노리]] 개그에서는 米マーク라는 표현도 쓰였다.[* [[https://youtu.be/swN5jiGSNF8|관련 영상]]] [[영어]]로는 Reference mark라고 부른다. 다만 아래에서 다루듯 서양권에서는 이 기호를 잘 쓰지 않는다. == 용도 == 주로 [[한국]]과 [[일본]]에서 주석의 용도로 쓰인다. 서양에서는 이 용도로 *를 쓰고 이 기호는 잘 쓰지 않는다. [[*]]와의 차이점이라면 서양에서는 주석을 본문 옆이 아닌 별도의 공간(주로 하단)에 표시하는게 일반적이다. [[2ch]] 등에서 자주 보인다. 패션, 다이어트 고백해서 차인 일 등의 스레드에서 자주 보이는 편이다. 원문은 "※단 미남에 한한다."이다. 우연히도 [[케로로장재미슴]] 만화에서 유래한 "※이렇게 생겼다면 시도하지 마세요"와 일맥상통한다. 시끄럽고 정신사나운 소리를 표현할 때 다른 특수문자들과 함께 종종 이 기호도 쓰이곤 한다. == 여담 == [[응코 문자]]에서는 '߷( 그바쿠루넌/Gbakurunen)'이라는 문자를 비슷한 용법으로 사용한다. 그 모양 때문에 '[[피젯 토이|피젯 스피너]]' 글자라는 별명이 붙었고 심지어 피젯 스피너를 뜻하는 [[이모지]]로도 쓰이고 있다. [[서멀 그리스]]를 바를 때 이 모양으로 바르곤 한다. 눌렀을 때 □ 모양의 표면에 고루 퍼지게 하기 위함이다. [[분류:특수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