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십음도)] [목차] == 개요 ==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 '''{{{#!html }}}''' || '''{{{#!html }}}''' || ||<-2> || || '''국립국어원 표기법''' || 사/자[* 탁음 ざ일 경우 자로 표기한다.] || || '''라틴 문자 표기''' || sa/za || || '''IPA''' || [sä][* [[치경음#마찰|무성 치경 마찰음]] + [[저모음#중설평순|중설 평순 저모음]]], [zä][* [[치경음#마찰|유성 치경 마찰음]] + [[저모음#중설평순|중설 평순 저모음]]] || || '''히라가나 자원''' || [[左]]의 [[초서]] || || '''가타카나 자원''' || [[散]]의 [[약자(한자)|약자]] || || '''일본어 통화표''' || [[벚꽃|[ruby(桜 , ruby=さくら)]]]のサ(사쿠라노 사) || || '''유니코드''' || U+305(B)5 || || '''일본어 모스 부호''' || -・-・- || さ행 あ단 글자이다. == さ행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 영어 등 대다수 언어의 [s]발음이 대부분 'ㅆ'에 가까운 강한 소리로 발현되는 것과 달리, 일본어의 さ행 자음은 한국인이 들었을 때 대부분 평음 'ㅅ'에 가까운 소리로 발현된다. さ행의 탁음은 じ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성 치경 마찰음 /z/로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이지만 그나마 가까운 [[ㅈ]]으로 표기한다. ㅅ으로 표기한 사례도 있다. 예를 들어 상처를 의미하는 きず를 기스로 표기하였다. 실제로는 ㅅ에서 성대를 울린 것이므로 ㅈ보다 더 가깝다고 한다. [[치경음#파찰|유성 치경 파찰음]] /d͡z/으로 읽는 사람들도 있다고 한다. 일본 내에서도 이를 구분해서 들을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한다.[* 한편 [[첩해신어]]나 [[왜어유해]]처럼, [[옛 한글]]에서는 이 발음을 [[ㅿ]]로 표기했다.] == あ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 모음은 중설 평순 저모음(/ä/)으로 중설 평순 근저모음인 한국어 ㅏ(/ɐ/)보다 약간 혀가 더 내려간다. 다만 NHK에서 펴낸 한국어 교재에는 'ㅏ'의 발음이 'あ'와 같은 발음이라고 표기됐다. 사실상 구분하지 않아도 될 정도의 차이라는 것. 일본어에는 '어' 계열 발음이 없기 때문에 외래어에서 '어'와 유사한 발음이 나는 발음들은 일본어에 들어올 때 주로 あ단으로 적는다. 그리고 영어의 er, or, ar을 모두 あ단으로 적는다. ex) peanut[ˈpiː'''nʌ'''t] → ピー'''ナ'''ッツ. 다만 한국어를 가나로 표기 할 때에는 ㅓ가 원순모음의 경향이 많기 때문에 お단으로 쓴다. ex) 선 → ソン == 모양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1%95-bw.png|width=225]]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2%B5-bw.png|width=225]] 두 글자 모두 음에서 가져왔다. 과거에는 [[헨타이가나]]의 일종으로 히라가나 역시 散을 변형한 꼴을 쓰기도 했다. 히라가나 さ는 [[き]]와 비슷하게 보이기도 한다. き와 마찬가지로, 아랫부분을 떼어서 쓸 때도 있고 붙여서 쓸 때도 있다. [[사이타마시]]에서는 시 __공식__ 표기로 이어서 쓰는 걸로 통일했다고 한다. 사이타마는 지명을 [[https://ko.wikipedia.org/wiki/%EA%B0%80%EB%82%98_%EC%A7%80%EB%AA%85|가나로만 적는]] 지역이라서 굳이 이런 것도 정해놓은 것. 하지만 공식적으로는 3획으로 쓰는 게 맞고 일본인들도 히라가나 배울 때 3획으로 배운다. 일본 내 공적인 자리에서 2획으로 쓰면 상사에게 한소리 들을 수 있다. [[ち]]에도 적혀있지만 ち와 거의 거울대칭형이라 처음 히라가나를 접했을때 굉장히 헷갈릴 수 있다.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96617&cid=41708&categoryId=41715|네이버에 さ]]를 쳐보면 소설 〈[[토지]]〉 용어 사전에서 '토리우치(鳥打ち)'라는 단어가 '토리우사(鳥打さ)'로 나온다. 일본어 입력기로 입력하면 이렇게 입력하기가 오히려 어려운데, 한자는 한글을 통해 따로 변환하고 히라가나만 눈으로 보고 타이핑한 듯하다. 호조 츠카사의 만화 [[엔젤하트(만화)|엔젤하트]]에서도 에피소드가 나오는데, 그 주인공 [[엔젤하트(만화)/기타 등장인물#s-1.5|린종]]은 대만 출신이라 일본어를 쓰는데 서툴러서 자기 딸의 이름을 사히로(さひろ)라고 적어서 놀림받았다고 한다. 그 글씨체를 보고 수녀가 된 치히로가 뒤늦게 친아버지가 린종이 맞다는 사실을 확신한다. 히라가나 さ는 [[주음부호]] ㄜ(e)와 닮았다. 대칭형 ㄘ(c)[* 이쪽은 [[ち]](치)와 더 닮았다. 발음까지 비슷하다!]도 주음부호에 있다. 같은 행의 せ와 닮은 ㄝ(ye/e)도 있다. 가타카나 サ는 굳이 비슷한 모양을 찾자면 취소선을 그은 {{{#!html }}}와 닮아보일 수 있다. 左에서 따온 글자이긴 하지만 左는 뜻이 많은 탓인지 근래에는 음차의 용도로는 佐를 쓸 때가 많다. [[우사미]](宇佐美) 등. [[사사키]](佐々木) 역시 음차일 가능성이 좀 있다. [[http://myoji-yurai.net/searchResult.htm?myojiKanji=%E4%BD%90%E3%80%85%E6%9C%A8|#]] [[보좌]](補佐)처럼 의미에 따라 쓰는 단어도 있기는 하다. [[시가현]] 쿠사츠(草津) 시의 마크는 가타카나 サ를 모티프로 한 것이다. == 한글 표기 == 무난하게 '사'로 적는다. == 쓰임 == === 형용사의 명사형 접미사 === い형용사, な형용사의 어간에 さ를 붙이면 명사형으로 쓰인다. 美しさ(아름다움), 厳粛さ(엄숙함) 등. 한국어로 치면 -[[ㅁ]] 명사형 접미사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 サ행 변격 동사 === する를 일본어 문법 용어로 'サ행 변격 활용 동사(サ行変格活用動詞)라고 부른다.[* 외국인용 교재에서는 보통 来る와 함께 3류 동사, 3형 동사 식으로 부른다.] する가 {[[せ]]・[[し]]・[[す]]} 등 サ행에서 어간이 불규칙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현대 일본어에 '변격 동사'라고 이름붙이는 것 중 남아있는 건 来る를 뜻하는 [[カ]]행 변격 동사가 있다. 자립어 + する가 들어간 동사는 한국어의 '자립어' + '[[하다]]'와 마찬가지로 する의 변화형을 띠므로 모두 サ행 변격 동사이다. 여기에 자동사/타동사인지를 구분하여 自サ変, 他サ変 등의 줄임말을 [[사전(책)|사전]] 같은 데 이따금 볼 수 있다. === 말 끝에 붙는 말 === 주로 대화체에서 많이 쓰인다. ex) あのさ 어조를 나타내는 종조사가 다 그렇듯이 기계적으로 번역하기는 조금 곤란할 때가 많다. 경우에 따라 번역시엔 생략되기도 한다. 거의 비슷한 뜻은 '-말이야'. ex1) 'あのさ。'→ '저기 말이야.' ex2) 'これさ。' → 이거 말이야. === 기타 === '그러하다'라는 뜻의 そう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는 さう였었다. 그 외에 '~인 것 같다', '~라고 하다'의 そうだ 역시 동일하다. == 한자 == === 음독 === ||
'''日''' || '''韓''' || '''한자''' || '''韓''' || '''한자''' || '''특수''' ||<|100> || '''日''' || '''韓''' || '''한자''' || '''韓''' || '''한자''' || '''특수''' || ||サ[br](10) || 사 ||沙査砂唆詐 || 좌 ||左佐 ||쇄(鎖)[br]작(作)[* 作業(さぎょう, [[작업]]), 作用(さよう, [[작용]]), 動作(どうさ, 동작)에서. 그 외에 サク로도 읽는다.][br]차(差) ||ザ[br](2) || 좌 ||座挫 || || || || ||<-6> ||<-6> || ||<|3>サイ[br](24) || 세 ||細歳 || 제 ||済祭際 ||<|3>새(塞)[* 한국 한자음으로 '색'에 해당하는 독음은 [[ソ]]ク이다.][br]처(妻)[br]체(切)[* 一切(いっさい, 일체)에서. 부정문일 때에는 '일절'(いっせつ)가 되는 양상은 한국어/일본어에서 동일하다. 다만 いっせつ는 IME에서 一切로 잘 변환되지 않으며, 부정문일 때도 いっさい로 읽은 예가 꽤 많이 보인다.] ||ザイ[br](5) || 재 ||在材財 || || ||제(剤)[br]죄(罪) || || 재 ||才再栽裁載[br]災宰 || 채 ||采彩採菜債 ||<-6><|6> || || 쇄 ||砕殺[* 相殺(そうさい, 상쇄)에서. 한국 한자음에서는 '쇄'로 읽는 殺到(さっとう, 쇄도)는 サツ이다.] || 최 ||最催 || ||<-6> || ||<|2>サク[br](10) || 작 ||作昨 || 착 ||搾錯[* '착'으로 읽는 다른 글자인 着은 チャク(간혹 ジャク)이다.] ||<|2>초(酢) || || 삭 ||削索[* 한국 한자음은 '삭막'에서만. 대체로 '색'으로 읽는다.] || 책 ||策柵冊[* 短冊(たんざく)에서. サツ로도 읽는다.] || ||<-6> || ||サツ[br](9) || 찰 ||札刹拶察擦 || || ||살(殺)[* '살'로 읽는 다른 한자인 撒은 サツ이긴 하나 표에서 제외되어 현대 일본어에서는 대개 [[散]](サン)으로 대체한다.][br]쇄(刷)[br]책(冊)[* 冊子(さっし, [[책자]]), 別冊(べっさつ, 별책)에서. サク로도 읽는다.][br]촬(撮) ||ザツ[br](1) || 잡 ||雑 || || || || ||<-6> ||<-6> || ||サン[br](12) || 산 ||山産傘散算[br]酸 || 참 ||惨[* 惨劇(さんげき, 참극), 悲惨(ひさん, 비참), 陰参(いんさん, 음산)에서. 그 외에 ザン으로도 읽는다.]参[* '셋'이라는 뜻일 때에는 サン으로 읽는다. 三의 이체자로 처리해 따로 적지 않았다.] ||삼(三)[* '삼'으로 읽는 다른 글자인 杉은 サン이지만 표 외이며, 森은 シン으로 읽는다.] [br]잔(桟)[br]잠(蚕)[* '잠'으로 읽는 다른 글자인 暫은 오른쪽에서 보듯 탁음 ザン이며, 潜은 セン이다.][br]찬(賛) ||ザン[br](4) || 참 ||残惨[* 惨死(ざんし, 참사), 惨殺(ざんさつ, 참살)에서. サン으로도 읽는다.] || || ||잔(残)[br]잠(暫) || さ로 시작하는 독음은 9종이며 한자 수는 약 70여 자 정도 된다. 가장 많은 한자가 배당된 독음은 サイ로 24자이며 한국 한자음의 수는 9종이다. さ행 중 특이하게도 탁음 글자는 한국 한자음으로 모두 ㅈ/ㅊ에 대응되며 ㅅ로 읽는 것은 없다. [[분류:가나(문자)]][[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