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십음도)] [목차] == 개요 ==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 '''{{{#!html }}}''' || '''{{{#!html }}}''' || ||<-2> || || '''국립국어원 표기법''' || 헤 (베/페[* 탁음 べ일 경우 베로, 반탁음 ぺ일 경우 페로 표기한다.]) || || '''라틴 문자 표기''' || he/be/pe || || '''IPA''' || [he̞][* [[성문음#s-2.2|무성 성문 마찰음]] + [[중모음#s-2.1|전설 평순 중모음]]], [be̞][* [[양순음#s-2.3|유성 양순 파열음]] + [[중모음#s-2.1|전설 평순 중모음]]], [pe̞][* [[양순음#s-2.3|무성 양순 파열음]] + [[중모음#s-2.1|전설 평순 중모음]]] || || '''히라가나 자원''' || [[部]]의 [[초서]] || || '''가타카나 자원''' || [[部]]의 [[약자(한자)|약자]] || || '''일본어 통화표''' || [[평화|[ruby(平和, ruby=へいわ)]]]のヘ(헤이와노 헤)[* へ만 해당된다.] || || '''유니코드''' || U+307(D)8 || || '''일본어 모스 부호''' || ・ || は행 え단 글자다. == え단 모두에 해당되는 사항 == え단의 모음은 [[중모음#s-2.1|전설 평순 중모음]]. 한국어의 ㅐ(/ɛ/)와 ㅔ(/e/)의 중간 정도의 발음이지만 현재 한국어에서 [[ㅐ와 ㅔ의 구분|ㅐ와 ㅔ가 합쳐지는 식으로 변하고 있기 때문에]]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え단 모음의 [[장음 표기#s-2|장음]]은 히라가나에서는 え를 쓰기도 하지만 주로 [[い]]를 써서 표현한다. 가타카나로는 다른 모음과 마찬가지로 장음 기호 ー를 쓴다. 자세한 설명은 [[일본어 장음 판별법#s-2|일본어 장음 판별법의 '기본' 부분]] 참고 == 발음 == [[は]]와 마찬가지로 [[성문음#s-1.1.2|성문 마찰음]](/h/)이다. 모음은 다른 え단과 마찬가지로 [[중모음#s-2.1|전설 중모음]]이고 미리 문서가 만들어진 [[て]]에도 썼듯이 한국어의 ㅔ와 ㅐ가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라 현 한국어의 ㅔ와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は]]행을 전부 스치고 지나간 [[순음퇴화]]에 へ 역시 영향을 받았지만 へ 자체가 は행의 다른 글자보다는 덜 쓰이기 때문에 변화한 예를 찾기는 조금 더 어렵다. 조사 へ를 /e/로 읽는 것이 그 흔적이다. == 모양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1%B8-bw.png|width=15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E3%83%98-bw.png|width=150]] 둘 다 한자 [[部]]에서 따 왔다.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모습이 거의 동일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も]] - モ, [[か]] - カ처럼 조금 비슷한 것들은 꽤 있지만 이 정도로 비슷하게 생긴 것은 へ가 유일하다. 다만 이 글자도 약간은 다르다. '''{{{+5 へ}}}'''(히라가나)와 '''{{{+5 ヘ}}}'''(가타카나). 가타카나 쪽이 오른쪽 부분이 조금 더 위로 올라가 있고 뾰족하다. 모양뿐만 아니라 문자 코드도 다르다. 물론 정말 약간의 차이라서 손글씨로는 거의 차이를 두는 게 불가능한 수준이다. >へヘへヘヘヘヘヘへヘ 이 중 뭐가 히라가나일지 찾아보자. (정답 3개)[*정답 1, 3, 9번째가 히라가나이다.] 눈썹 모양을 닮아서 [[헤노헤노모헤지]]에서는 눈썹 역할을 하기도 하며 입의 역할로도 쓰인다. == 쓰임 == 조사로 쓰인다. 상술했듯이 이 때는 발음이 '에'. 한국어 '(으)로'와 용법이 유사하다. 완전히 그렇다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의역이 필요하다. 일례로 '未来'''へ'''の遺産', 未来'''へ'''の逆転'은 주로 미래로의 유산, 미래로의 역전이 아닌 [[미래를 위한 유산]], [[미래를 향한 역전]] 등으로 번역된다. '(에)게'와 용법이 겹칠 때도 있다. [[이로하 노래]]에서는 イロハニホヘ로 6번째이다. 음악에서는 바(F). [[모스 부호]]로는 점 하나로 [[일본]] 가나 중에서 제일 간단하다. 감탄사로 'へえ' 라는 표현이 쓰이기도 한다. 무언가 이야기를 듣고서 '아~ 그렇구나' 싶을 때 쓰는 감탄사. 한국어에선 쓰이지 않기 때문에 [[번역체 문장/일본어#s-2.2.2|번역체 문장]]에서 그냥 '헤에'라고 써버리기 쉽다. へ, べ, ぺ 합쳐서 둘 다 별로 안 쓰이는 가나 중에 하나이다. 누군가가 약 11만 7433 글자의 [[일본어]]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글자 중에서 へ는 고작 270자 가량 쓰인다. 0.2%밖에 차지하지 않는 것이다. べ를 합쳐도 0.4%... [[http://d.hatena.ne.jp/satzz/20080124/1201140115|링크]]. 한자로 표기된 것도 가나로 치환했을 때의 결과이다. 참고로 제일 많이 쓰이는 것은 い로, 5.6% 가량이다. [[차량 번호판/일본|일본 자동차 번호판]]에서는 へ가 [[방귀]]를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へ를 안 쓴다. == 한자 == === 음독 === ||
'''日''' || '''韓''' || '''한자''' || '''韓''' || '''한자''' || '''특수''' ||<|100> || '''日''' || '''韓''' || '''한자''' || '''韓''' || '''한자''' || '''특수''' || ||ヘイ[br](14) || 병 ||丙__兵__併並柄[br]塀餅病[* 疾病(しっぺい, [[질병]])에서만. 대개는 [[ひ|ビョウ]]이다.] || 폐 ||陛閉幣弊蔽 ||평(__平__) ||ベイ || 미 ||__米__ || || || || ||<-6> ||<-6><|3> || ||ヘキ || 벽 ||壁璧癖 || || || || ||<-6><|3> || ||ベツ || 멸 ||蔑 || 별 ||別 || || ||<-6> || ||<|2>ヘン[br](9) || 변 ||辺変 || 편 ||片偏遍編 ||<|2> ||<|2>ベン[br](3) || 변 ||弁 || 편 ||便 ||<|2> || || 반 ||返[* 음부 反은 ハン이다.] || || || 면 ||勉 || || || へ로 읽는 독음은 6종이며 한자 수는 32자이다. ハ행에서 제일 적다. 보통은 행에서 ウ단이 제일 적은데 ハ행은 エ단인 ヘ가 제일 적어 이례적이다. 밑줄은 오음으로도 읽는 것들이다. ヘイ의 오음은 ヒョウ/ビョウ이며 ベイ의 오음은 マイ이다. 반탁음 ぺ로 읽는 글자는 없지만 단어 중 っ, ん 뒤에 올 때는 반탁음으로 나타난다. [[겐페이 전쟁]](源平合戦), 완벽(完璧, かんぺき) 등. 규칙적으로 나타나므로 [[상용한자표]]에서는 이때의 ぺ 독음을 따로 실어두고 있지 않다. 병사 병(兵)은 [[일본어]]로 보통 ヘイ나 ヒョウ로 읽지만[* [[폭탄병]]은 ボム兵라고 쓰고 ぼむへい라고 읽는다.] 뒤에 衛가 붙으면 ベ라고 읽을 때가 있다. [[타케나카 한베에]]나 [[야규 쥬베]] 등이 그 예. 이 때는 ベ와 エ를 가리키는 兵과 衛가 각각 다른 글자이기 때문에 장음처럼 보여도 한글로는 '베에'라고 따로 적는 게 맞다. 장음은 한 형태소 내에서만 성립하기 때문. === 훈독 === * へだてる/へだたる(隔てる): 사이를 띄우다 * へる(経る): 거치다 * へる/へらす(減る): 줄다/줄이다 * へび(蛇): 뱀 * べに(紅): 연지 * べ(辺): 변. 渡辺([[와타나베]]) 등 성명에도 자주 들어간다. 표 외로 유래가 된 部 역시 [[훈독|훈 읽기]]로 여전히 へ라고 읽는다. 部屋(へや;방)가 대표적인 예. [[방귀]]를 屁로 쓰고 へ라고 읽기도 한다. == 관련 문서 == * [[헤노헤노모헤지]] [[분류:가나(문자)]][[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