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리듬 게임 음악]][[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분류:태고의 달인의 수록곡]][[분류:GROOVE COASTER의 수록곡]]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fun.taito.co.jp/mrjacket_b.jpg|width=200, height=200]]}}}|| ||<:>'''ミュージック・リボルバー[br]뮤직 리볼버'''||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xT6d5aPJc)]}}}|| ||<:>'''ミュージック・リボルバー (GCZ Edition)'''|| 타이토의 리듬슈팅 게임 [[뮤직 건건!]]2의 수록곡으로, [[Tatsh|제아미]]가 작곡하였다. 후에 [[남코]]와의 교류를 통해 [[태고의 달인 시리즈]]에 수록되었으며,[* 태고의 달인 측에서는 [[사이타마2000]]을 주었다.] iOS용 리듬게임인 Groove Coaster Zero에서도 DLC곡으로 들어가 있으며, 이후에 아케이드판에도 수록되었다. 이후 그루브 코스터 OST CD3[* 초회 한정으로 준 CD. 타 타이토 게임의 악곡들을 모아 수록하였다. [[ZUNTATA]] 25주년 기념 컴필레이션 앨범 COZMO에 수록된 곡도 두 곡 존재.]에 게임판 원곡이 수록되었다.[* 뮤직 건건 2 OST와 태고에 달인에 실린 버전은 일부 효과음이 제거되어 있어서 게임판에 비하면 좀 심심한 편.] 상단에 실린 그루브 코스터 버전은 원본 버전에서 어레인지가 되었다. 중간 신스음 부분의 킥 부분이 강화되고, 후반부엔 총의 발사음 샘플링을 추가하였다. 후속곡으로 [[グルーヴ・リボルバー]]가 그루브 코스터에 수록되었다. == [[뮤직 건건!]] == [youtube(R1-EiCsAuBg)] 1인용 플레이 [youtube(o-47ONh5ej8)] 2인용 플레이 난이도는 1인용 HARD 19 VERYHARD 31 2인용 HARD 18 VERYHARD 31 노트수는 1인용 VERYHARD 444 2인용 VERYHARD 1P 366 2P 360 [[Extreme MGG★★★]]가 1인용 최고난이도곡이라면 이쪽은 2인용 최고 난이도 곡이다. 익스트림MGG가 높은 bpm으로 ~~사람을 미치게~~ 박자를 놓치고 다른 곳을 쏘게 만든다면, 이 곡은 순수히 기차 노트로 이루어져 있어, 박자를 잘 잡지 못한다면 순식간에 MISS 및 ESCAPE가 늘어나버린다. 또한 1인용 채보를 거의 그대로[* 물론 2인용인 만큼 한 부분을 서로 협력하는 구간은 존재하지만] 2인용에 넣었다는 것도 특징이다. 중반부 곡이 조용해지기 전에는 별다른 난점이 보이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어려운 절정부에서는 두 플레이어의 노트가 '''겹친다'''. 때문에 테두리 색깔을 잘 못 보면 바로 ESCAPE. 두명이서 하기에는 애로사항이 꽃피는 일이 벌어진다. 여담으로 [[태고의 달인 시리즈]]에서의 노말 보면, Groove Coaster Zero에서의 하드보면에서도 본 게임의 Very Hard 보면과 비슷한 양상을 띈다. == [[GROOVE COASTER 2 Original Style]] == ||
<:><-2>'''곡명'''||<-12><:>'''ミュージック・リボルバー'''|| ||<:><-2>'''아티스트 명의'''||<-12><:>[[Tatsh|世阿弥]]|| ||<:><-2>'''수록 버전'''||<-12><:>'''[[GROOVE COASTER ZERO|{{{#FF007F GROOVE COASTER Zero}}}]]''' || ||<:><-2>'''[[BPM]]'''||<-12><:>168|| ||<:><-2> '''AC 채보 유무'''||<-12><:>'''O'''|| ||<:><-14>'''[[GROOVE COASTER ZERO|{{{#BCE55C GROOVE COASTER 2 Original Style}}}]]''' || ||<:><-2>난이도||<-4><:> EASY ||<-4><:> NORMAL ||<-4><:> '''HARD''' || ||<:><|2>'''레벨'''||<:>APP||<-4><:>5||<-4><:>8||<-4><:>'''10'''|| ||<:>AC||<-4><:>5||<-4><:>8||<-4><:>'''10'''|| ||<:><|2>'''노트 수'''[br]{{{-2 AD-LIB 포함}}}||<:>APP||<-4><:>260||<-4><:>352||<-4><:>'''440'''|| ||<:>AC||<-4><:>260||<-4><:>352||<-4><:>'''440'''|| ||<:><|2>'''AD-LIB'''||<:>APP||<-4><:>57||<-4><:>23||<-4><:>'''17'''|| ||<:>AC||<-4><:>57||<-4><:>23||<-4><:>'''17'''|| ||<:><|2>'''MAX 체인'''||<:>APP||<-4><:>603||<-4><:>794||<-4><:>'''996'''|| ||<:>AC||<-4><:>1,017||<-4><:>1,436||<-4><:>'''1,848'''||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rjAOp_0wnA, width=480, height=480)]}}}|| ||<:>'''{{{#FF0000,#f5898e HARD}}} FULL CHAIN 영상'''|| [clearfix] 첫 수록된 Zero에서의 난이도는 10으로, [[호소에 신지]]의 [[Wacky dance ethnic]]과 함께 Zero 최초의 보스곡이었다. DLC 곡이므로 상점에서 돈을 주고 사야 한다. 상기한 대로 뮤직 건건!의 패턴을 그대로 복붙한 듯해 박자 잡기는 그리 어렵지 않지만, 슬라이드가 자비없이 나오기 때문에 이쪽에 약하면 클리어가 거의 불가능하고, 끝부분에 가면 고속노트도 나오는 등 제정신이 아니다. * [[GROOVE COASTER ZERO/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GROOVE COASTER 4MAX DIAMOND GALAXY]] == [include(틀:GROOVE COASTER AC/채보 ,엑스트라= ,곡명=ミュージック・リボルバー ,작곡= ,작곡표기=世阿弥 ,작곡링크=Tatsh ,문단명= ,작곡틈= ,작곡2= ,작곡표기2= ,작곡링크2= ,문단명2= ,버전AC= ,폴더명=리듬 게임 ,BPM=168 ,SIMPLE레벨=5 ,NORMAL레벨=6 ,HARD레벨=10 ,EXTRA레벨=14 ,SIMPLE노트수=260 ,NORMAL노트수=352 ,HARD노트수=440 ,EXTRA노트수=588 ,SIMPLE애드립=57 ,NORMAL애드립=23 ,HARD애드립=18 ,EXTRA애드립=18 ,SIMPLE체인=1\,015 ,NORMAL체인=1\,457 ,HARD체인=1\,888 ,EXTRA체인=2\,874 ,주소=Bv9ljOaxZvo ,퍼펙트= ,타난이도영상or채보공략영상or리뉴얼전영상= ,보충주소X= ,OO영상or공략= ,보충퍼펙트or보충풀체인= )] 후반부 슬라이드 배치가 [[GENOCIDE|X 형태로 되어있다(...).]] 이 X자 슬라이드에 난이도가 집중적으로 몰려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이 X자 슬라이드 패턴이 인상적이었는지, 다른 고 난이도 곡에서도 이런 패턴이 종종 나타나곤 한다. [[환부에서 멈춰서 바로 녹는다]] EXTRA나, [[Good Night, Bad Luck.]]이 대표적인 예시. 곡에 대한 평가를 한 단어로 요약하자면 전형적인 '''[[후살]]'''곡. '의외로 하드도 나름 할만하네?' 라고 생각했다가 난해하게 나오는 슬라이드 무더기를 보고 패닉에 빠져 [[초고속즉시삭제|초고속즉시끔살]]이 될 수 있으므로 첫 플레이 시에는 총 소리가 나오는 후반부에 대한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엑스트라 난이도에서는 하드 보면에서는 히트였던 타겟이 모조리 크리티컬과 듀얼 슬라이드로 바뀌어버린 건 둘째치고 '''16비트 크리티컬-히트 연타''' 외에도 슬라이드 트릴 등으로 무장하였다. 특히 크리티컬-히트 연타는 한손은 8비트로 처리하고 다른 한손은 두 손가락으로 16비트로 처리하는 식이라 연습이 많이 필요하다. * [[GROOVE COASTER AC/수록곡#리듬 게임|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타 [[리듬 게임]] 수록 == === [[태고의 달인 시리즈]] === ||<-6> ミュージック・リボルバー[br]MUSIC REVOLVER || ||<-3> [[BPM]] ||<-3> 168 || ||<-6> NAC NIJIIRO 기준 || ||<|2> 난이도 || {{{#white 쉬움}}} || {{{#white 보통}}} || {{{#white 어려움}}} || {{{#white 귀신}}} || {{{#white 귀신}}} || || {{{#f22c00 3}}} || {{{#8eb853 3}}} || {{{#2d789b 3}}} || {{{#d91882 4}}} || {{{#692ee8 10}}} || || 노트 수 || {{{#f22c00 153}}} || {{{#8eb853 222}}} || {{{#2d789b 283}}} || {{{#d91882 443}}} || {{{#692ee8 777}}} || || 수록 버전 ||<-5> [[신 태고의 달인|NAC]][br]3DS3DL[br]PS Vita1DL || || 비고 ||<-5> [[뮤직 건건!]]2 콜라보[br]SORAIRO [[단위도장]] 8단({{{#692ee8 귀신}}})[br]MOMOIRO 단위도장 8단({{{#692ee8 귀신}}}) || 2012년 4월 17일 일본판 [[신 태고의 달인]] 초대 버전에서 [[EXTREME MGG★★★]]와 함께 태고의 달인에 이식되었다. 아시아판에서는 일본판보다 훨씬 늦은 RED 버전에 수록되었다. ==== 귀신 ==== [youtube(n7HFEo_zS6o)] '''동더풀콤보(전량)''' 영상 귀신 난이도는 [[뮤직 건건!]]의 VERYHARD 보면을 그대로 옮겨온 듯하지만, 두 손으로 치는 태고의 달인 특성상 난이도가 매우 낮아졌다. =====# 채보 #===== [[파일:뮤직 리볼버(앞).png]] ==== 귀신(우라) ==== [include(틀:태고의 달인 10렙 중위)] [youtube(1GPR1nqORBo)] '''동더풀콤보(전량)''' 영상 우라 난이도는 10레벨 중에서 중위권으로, 난이도에서부터 본작의 위엄을 재현한다. 또한 노트수는 777개로 10렙 치곤 많지 않은 물량과 밀도[* 현재 화이트 버전 기준 아케이드에 수록된 10레벨 보면들 중 뒤에서 6등이다. (5.937타/초, 메탈호크 보통 및 현인 보면 포함, 2인용 보면 제외)]지만 실제 보면은 [[旋風ノ舞|旋風ノ舞【天】]]의 강화판이라 볼 수 있다. 일단 극초반의 동 한 개의 소프란[* 실제로 이 곡의 1불가는 대부분 여기서 발생한다.....]을 빼면 초반에는 그렇게 어렵다는 느낌이 들지 않겠지만, 중반부터 서서히 기차가 보이더니 기차 중간에 24비트를 넣고 마지막은 24비트 동 러시로 마감짓는다. 후반부에는 피아노 선율에 맞춰서 기차노트가 지나가는데 旋風ノ舞【天】보다 강화된 기차패턴으로 플레이어를 압박한다. BPM이 빠르지 않아 체력을 그리 소진하지는 않으나 익히지 않으면 힘든 패턴들이기때문에 난이도가 올라간다. 게다가 노트 자체의 물량도 많아 여기서 노르마게이지를 까먹는 것이 대부분. 초반에는 수록 당시 게임 뮤직 장르의 최고 난이도곡이었던 [[Doom Noiz]]의 자리를 뺏으려나 싶지만, 이런 보면의 특성상 외우면 난이도가 하락하기 때문에 Doom Noiz와는 서로 호각을 이루는 형태로 바뀌었다. 이 곡이 체력이 덜 든다는 것도[* 둠노이즈의 노트수는 961개이다.] 이유이기도 하다. 다만 WHITE 버전 가동 당시에는 [[VERTeX]]나 BLAZING VORTEX 우라 등의 곡에 밀린다고 평가받고 있다. =====# 채보 #===== [[파일:뮤직 리볼버(뒤).png]] === [[CHUNITH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