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交}}}사귈 교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亠|{{{#000,#fff 亠}}}]],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6급 한자|{{{#000,#fff 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まじ-わる, まじ-える, ま-じる, ま-ざる,[br]ま-ぜる, か-う, か-わす, {{{#c88 こもごも}}}}}}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iā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귈 교 사귀다 등의 뜻을 가진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사귀다 || || {{{-1 '''음'''}}} ||교 || ||<-3> || ||<|5>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jiāo || || {{{-1 '''[[광동어]]'''}}} ||gaau^^1^^ || || {{{-1 '''[[객가어]]'''}}} ||kâu || || {{{-1 '''[[민동어]]'''}}} ||gáu || || {{{-1 '''[[민남어]]'''}}} ||kau[*文 [[문독]]]/ ka[*白 [[백독]]] || ||<-3> || ||<|2> '''[[일본어]]''' || {{{-1 '''음독'''}}} ||コウ || || {{{-1 '''훈독'''}}} ||まじ-わる, まじ-える, ま-じる, ま-ざる,[br]ま-ぜる, か-う, か-わす, {{{#c88 こもごも}}} || ||<-3> || ||<-2> '''[[베트남어]]''' ||giao || [[유니코드]]에는 U+4EA4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CK(卜金大)로, [[주음부호]]로는 ㄐㄧㄠ로 입력한다. == 뜻 ==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 사귀다, 교제하다 * 교차하다, 엇갈리다 * 오가다 * 바꾸다, 교환하다 * 내다, 제출하다 == 모양 및 기원 == [[父]](아비 부) 위에 亠(돼지해머리)가 쓰워진 모양이다. 또는 [[六]](여섯 육) 밑에 [[乂]](벨 예)가 있는 모양이다. 허신이 설문해자에서 제시한 소전체와 그 해석에 따라 사람이 다리를 교차하여 앉은 모습([[양반다리]])을 본떠서 만든 상형자라는 설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추시구이(裘锡圭)가 이 글자에서 파생되었다고 여겨진 갑골문의 烄를 ⿱黃火로 새로 판독하고, 설문해자에 나온 交의 소전체는 사실 [[黃]](누를 황)의 고문이라고 주장한 것이 학계에서 유력하게 수용되면서 설문해자의 해석의 대안이 필요해졌다. 중국의 마서륜(馬敍倫)·계욱승(季旭昇)은 실뭉치의 상형으로 보고 [[玄]](검을 현)·[[絞]](맬 교)와 연관지었고, 한국의 김혁은 [[爻]](점괘 효)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했다. == 용례 == === [[단어]] === * [[교감]](交[[感]]) * [[교대]](交[[代]]) * [[교류]](交[[流]]) * [[교미]](交[[尾]]) * [[교배]](交[[配]]) * [[교부]](交[[付]]) * [[교부금]](交[[付]][[金]]) * 교부송달(交[[付]][[送]][[達]]) * [[교섭]](交[[涉]]) * [[단체교섭권]]([[團]][[體]]交[[涉]][[權]]) * 교신(交[[信]]) * [[교역]](交[[易]]) * [[교우]](交[[友]]) * [[교전]](交[[戰]]) * [[교점]](交[[點]]) * [[교차]](交[[叉]]) * [[교착]](交[[錯]]) * [[교체]](交[[替]]) * [[정권교체]]([[政]][[權]]交[[替]]) * [[교통]](交[[通]]) * 교통난(交[[通]][[難]]) * 교통비(交[[通]][[費]]) * [[교통사고]](交[[通]][[事]][[故]]) * 교통신호(交[[通]][[信]][[號]]) * 교통정리(交[[通]][[整]][[理]]) * [[도로교통법]]([[道]][[路]]交[[通]][[法]]) * [[교향곡]](交[[響]][[曲]]) * [[교환]](交[[換]]) * 교환비율(交[[換]][[比]][[率]]) * 객관적 교환비율([[客]][[觀]][[的]] 交[[換]][[比]][[率]]) * 주관적 교환비율([[主]][[觀]][[的]] 交[[換]][[比]][[率]]) * [[국교]]([[國]]交) * [[단교]]([[斷]]交) * 사교([[社]]交) * 사교성([[社]]交[[成]]) * 사교적([[社]]交[[的]]) * [[성교]]([[性]]交) * [[수교]]([[修]]交) * [[외교]]([[外]]交) * [[외교관]]([[外]]交[[官]]) * [[절교]]([[絶]]交) * 직교([[直]]交) * 친교([[親]]交) === [[인명]] === * [[이토시키 마지루]]([[糸]][[色]] 交) === [[지명#s-2]] === === [[창작물]] === * [[Raison d'être 〜交差する宿命〜]] * [[西馬込交通曲]] * [[交わる季節]] * [[人質交換]]([[인질교환]]) == 유의자 == * [[畃]](사귈 순) * [[爻]](사귈/가로그을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