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他}}}다를 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人|{{{#000,#fff 人}}}]],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タ{{{#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ほか, {{{#c88 あだ}}}}}}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tā{{{#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남, 다를 타(他)'''. '다른', '다른 것', '남'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남, 다르다 || || {{{-1 '''음'''}}} ||타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tā || || {{{-1 '''[[광동어]]'''}}} ||taa^^1^^ || || {{{-1 '''[[객가어]]'''}}} ||thâ || || {{{-1 '''[[민동어]]'''}}} ||tă || || {{{-1 '''[[민남어]]'''}}} ||tho[*文 [[문독]]] / thaⁿ[*白 [[백독]]]|| || {{{-1 '''[[오어]]'''}}} ||ta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タ || || {{{-1 '''훈독'''}}} ||ほか || ||<-3> || ||<-2> '''[[베트남어]]''' ||tha || [[유니코드]]에는 U+4ED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PD(人心木)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소리를 나타내는 [[也]](어조사 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他의 '다르다'는 같지 않다는 뜻이 아니라 '다른 사람'과 같이 '그밖의 것'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뜻의 '다르다'는 '같지 않다'로 바꾸어 쓸 수 없다. 他는 현재 [[표준중국어]]에서 3인칭 대명사, 즉 '그'라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쓰인다. 이 글자는 [[춘추전국시대]] 때부터 쓰인 글자로, 원래 무정대사로서 '다른'이라는 의미를 나타냈다. 그러다 [[한나라]] 말에서 [[남북조시대]]에 이르면 他는 '다른'에서 파생되어 '다른 사람'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다. [[당나라]] 초기에는 여기서 더 나아가 3인칭 대명사로서 사용되다가 완전히 정착했다. 원래 이 글자는 근대 이전에는 남녀 구분 없이 쓸 수 있는 대명사였다. 그러나 1920년에 중국의 언어학자 류반농(劉半農)이 '教我如何不想'''她'''(내가 어찌 그녀를 생각하지 않을 수 있는가)'라는 시를 발표하면서, 여성 3인칭 대명사로서의 她를 새로 만들어 널리 퍼뜨렸다. 그 이후 他는 주로 남성을, 她는 여성을 나타내는 데 쓰여 용법이 분리되었다. 이런 양상은 [[한국어]]의 '그'와 '그녀'에서도 똑같이 나타나며, 양국 모두 서양권에서의 3인칭 구별(he/she)을 모방한 것이다. 여기에 중국의 경우 한술 더 떠서, 남성(他), 여성(她), 사물(它), 동물(牠), 신적 존재(祂)를 모두 구별해서 표현한다. == 용례 == === [[단어]] === * [[나머지|기타]]([[其]]他) * 배타([[排]]他) * 배타적([[排]]他[[的]]) * [[배타적 경제수역]]([[排]]他[[的]] [[經]][[濟]][[水]][[域]]) * 여타([[餘]]他) * 이타([[利]]他) * 이타적([[利]]他[[的]]) * 자타([[自]]他) * 출타([[出]]他) * [[타계]](他[[界]]) * 타급(他[[給]]) * 타도(他[[道]]) * 타동(他[[動]]) * [[타동사]](他[[動]][[詞]]) * 타문(他[[聞]]) * [[타살]](他[[殺]]) * 타색(他[[色]]) * 타생(他[[生]]) * 타서(他[[書]]) * 타의(他[[意]]) * [[타인#s-1|타인]](他[[人]]) * [[타자#s-4]](他[[者]]) * 타자화(他[[者]][[化]]) * 타주(他[[州]]) * [[타지#s-1|타지]](他[[地]]) === [[고사성어]]/[[숙어]] === * [[아시타비]]([[我]][[是]]他[[非]])[* 유래가 불분명하나 2020년 올해의 사자성어에 채택되었다.] :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과 같은 말. * 자타공인([[自]]他[[共]][[認]]) * [[타산지석]](他[[山]][[之]][[石]]) === [[인명]] === * [[키하라 나유타]]([[木]][[原]] [[那]][[由]]他) === [[지명#s-2]] === === [[창작물]] === == 유의자 == * [[別]](다를 별) * [[它]](다를 타) == 상대자 == * [[己]](몸 기) * [[自]](스스로 자)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𥝀]]^^[⿰禹也]^^(뱀 사) * [[灺]](불똥 사/타) * [[虵]](긴뱀 사)[* [[蛇]](긴뱀 사)의 [[속자]]] * [[𤜣]]^^[⿰犭也]^^(이리 시, 뱀 사) * [[釶]](짧은창 시) * [[吔]](음역자 야) * [[祂]](흙탕물 야) * [[貤]]/[[𥃸]](거듭할 이) * [[𤖪]]^^[⿰片也]^^(국 이) * [[酏]](기장술 이) * [[杝]](나무이름 이, 쪼갤 치) * [[弛]]/[[𧿇]]^^[⿰𧾷也]^^(늦출 이) * [[衪]](옷선 이) * [[䄬]](옮길 이)[* [[移]](옮길 이)의 [[속자]]] * [[訑]](자랑할 이, 방탕할 탄) * [[肔]](찢을 이/치)[* [[胣]](찢을 이/치)의 [[동자#s-2]]] * [[𤕮]]^^[⿰爿也]^^(횃대 이)[* [[椸]](횃대 이)의 [[동자#s-2]]] * [[毑]](어머니 자/저) * [[她]](아가씨 저) * [[地]](땅 지) * [[池]](못 지) * [[𩚉]]^^[⿰𩙿也]^^(엿 지) * [[𦧇]](핥을 지)[* [[舐]](핥을 지)의 [[본자]]] * [[䪧]](함지 지) * [[䊶]](쇠고삐 진)[* [[紖]](쇠고삐 진)의 [[동자#s-2]]] * [[馳]](달릴 치) * [[䶔]](드러날 치) * [[阤]](비탈 치, 허물어질 타/시, 경사질 이) * [[𦏸]](제비나는모양 치) * [[扡]](끌 타)[* [[拖]](끌 타)의 [[동자#s-2]]] * [[𩵔]]^^[⿰魚也]^^(문절망둑 타) * [[牠]](뿔없는소 타) * [[彵]](편안하게걸을 타) * [[忚]](속일 혜/나) * [[𡖐]]^^[⿰多也]^^(다) * [[𬺼]]^^[⿰丁也]^^ * [[𬼨]]^^[⿰名也]^^ * [[𬼭]]^^[⿰亨也]^^ * [[𬼩]]^^[⿰幷也]^^ * [[𬼮]]^^[⿰⿱田廾也]^^ * [[𬼰]]^^[⿰底也]^^ * [[𬾍]]^^[⿰企也]^^ * [[𭆰]]^^[⿰⿳⺕冖又也]^^ * [[𭅤]]^^[⿰卑也]^^ * [[𬽓]]^^[⿰亭也]^^ * [[𭀍]]^^[⿰儞也]^^ * [[𪨥]]^^[⿰山也]^^ * [[𭕗]]^^[⿰尼也]^^ * [[𭇠]]^^[⿰吉也]^^ * [[𭕟]]^^[⿰尾也]^^ * [[𭔳]]^^[⿰㝵也]^^ * [[𭘬]]^^[⿰帝也]^^ * [[𭔞]]^^[⿰寧也]^^ * [[𭰿]]^^[⿰波也]^^ * [[𭞱]]^^[⿰惹也]^^ * [[𭢽]]^^[⿰摩也]^^ * [[𮏡]]^^[⿰苾也]^^ * [[𮟉]]^^[⿰達也]^^ * [[𥐨]]^^[⿰石也]^^ * [[𤱡]]^^[⿰⿱龴田也]^^ * [[𭻠]]^^[⿰畢也]^^ * [[𦍔]]^^[⿰羊也]^^ * [[𫂴]]^^[⿰米也]^^ * [[𮋭]]^^[⿰耳也]^^ * [[𮌊]]^^[⿰肉也]^^ * [[𨤤]]^^[⿰里也]^^ * [[𮜮]]^^[⿰身也]^^ * [[𮮶]]^^[⿰鼻也]^^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𧦭]]^^[⿰言他]^^(자랑할 이, 방탕할 탄)[* [[訑]](자랑할 이, 방탕할 탄)의 [[속자]]] * [[咃]](갖출 타) * [[怹]](그분 탄) * [[𫴞]]^^[⿰寧他]^^ * [[𢫌]]^^[⿰扌他]^^ * [[𭰃]]^^[⿰氵他]^^ * [[𭩬]]^^[⿰木他]^^ * [[𦭟]]^^[⿱艹他]^^ * [[𥅂]]^^[⿰目他]^^ * [[𤵩]]^^[⿸疒他]^^ * [[𰨢]]^^[⿰禾他]^^ * [[𱲬]]^^[⿱罒他]^^ * [[𮕴]]^^[⿰衤他]^^ * [[𥿞]]^^[⿰糸他]^^ * [[𮅅]]^^[⿱𥫗他]^^ * [[𱄕]]^^[⿰馬他]^^ * [[𱌝]]^^[⿰齒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