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2_rb_05.jpg]] [목차] == 개요 == ||<-5>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 [[리플렉 비트 시리즈]] 결승 신곡''' || || [[KAC 2013]] ||<|3> → || [[The 4th KAC]] ||<|3> → || [[The 5th KAC]] || ||<|2> - ||<|2> '''伐折羅-vajra-''' ||<|2> [[Rebellio]] || [youtube(UOu6XyqFoLQ)]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은 DJ TOTTO VS 兎々로 셀프 합작 명의를 사용한 [[DJ TOTTO]]. [[The 4th KAC]]의 리플렉 비트 부문 결승곡으로 처음 발표되었다. 제목은 [[바즈라]]라고 읽으며 [[금강저]] 또는 금강역사[* 불교의 호법신인 십이신장 중 하나로, [[십이지]]에서는 [[개띠]]에 해당한다.]를 뜻한다.[* 원래는 [[산스크리트]]로 '[[번개]]'라는 뜻인데 이후 [[다이아몬드]]를 뜻하는 말로 확대되었다.] 앞의 한자는 바즈라의 음역으로, 일본어 발음은 바사라(ばさら)이다. 이름 정렬에서도 이걸 기준으로 찾으면 된다. == [[리플렉 비트 시리즈]] == ||<-5> '''{{{#ffffff [[리플렉 비트 시리즈]]의 역대 보스곡}}}''' || || [[리플렉 비트 그루빈|'''{{{#f80092,#ff0698 리플렉 비트 그루빈}}}''']] ||<|2> → ||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f80092,#ff0698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 ||<|2> → || [[리플렉 비트 볼짜|'''{{{#white 리플렉 비트 VOL}}}{{{#fd6000,#ff6201 ZZ}}}{{{#white A}}}''']] || || [[onslaught]] || '''伐折羅-vajra-''' || [[Rebellio]] || ||<-4> [[리플렉 비트 시리즈|리플렉 비트]] 난이도 체계 || || [[BPM]] ||<-3> 난이도 || ||<|2> 173 || {{{#green,#7fff7f BASIC}}} || {{{#orange,#ffa500 MEDIUM}}} || {{{#red,#ff0000 HARD}}} || || {{{#green,#7fff7f 8}}} || {{{#orange,#ffa500 11}}} || {{{#red,#ff0000 15}}} || || 스킬 레이트 || {{{#green,#7fff7f 34}}} || {{{#orange,#ffa500 53}}} || {{{#red,#ff0000 88}}} || || 오브젝트 || {{{#green,#7fff7f 352}}} || {{{#orange,#ffa500 666}}} || {{{#red,#ff0000 999}}} || || MAX COMBO || {{{#green,#7fff7f 425}}} || {{{#orange,#ffa500 746}}} || {{{#red,#ff0000 1243}}} || || JUST REFLEC || {{{#green,#7fff7f 13}}} || {{{#orange,#ffa500 19}}} || {{{#red,#ff0000 29}}} || || 수록버전 ||<-3> [[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 || || [[리플렉 비트 플러스|Rb+]] 수록 팩 ||<-3> 미수록 || ||<-4>{{{#green,#7fff7f BASIC}}} : 오브젝트 19 증가 (리플레시아)[br]{{{#red,#ff0000 HARD}}} : 난이도 1 증가 (볼짜) || [youtube(tF3ZViD3C1M)] HARD 패턴 '''[[엑설런트|{{{#FF0000 100%}}}]]'''영상. 플레이어는 イレイナ. [[볼짜2]]에서부터 통상해금되었다. 난이도 배치가 [[CLAMARE]]와 똑같다. 6레벨 베이직은 2번째, 9레벨 미디엄은 3번째[* 중간에 난이도 조정을 받은 [[量子の海のリントヴルム]]을 제외하면 2번째]가 된다. 특히 미디엄 채보는 [[Stand Alone Beat Masta]](556)를 '''[[무려]] 110개 차이로''' 밀어내고 [[리플렉 비트 시리즈/기네스|노트 수 1위를 달성]]. [[Rebellio|그러나 1년 후 2위로 밀려나게 되는데...]] HARD 보면은 '''[[PARANOiA Revolution|리플렉 비트의 모든 것을 담았다]]'''라는 DJ TOTTO의 발언대로 다양한 종류의 어려운 패턴으로 구성되어있어 난이도 최상위권을 마크한다. 노트 수 999개라는 엄청난 물량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점. . 초반에는 롱노트를 잡은 채로 트릴과 동시치기를 처리하는 패턴으로 시작해서, [[\[E\]]] SPECIAL의 최후반부에 나오는 4개짜리 커다란 계단 두줄과 [[海神|해신]]에서나 볼 수 있었을 법한 난해한 박자를 바탕으로 2연타와 버티컬 계단, 그리고 2-1트릴, 꼬인 체인 트릴, 탑 노트 견제 등이 섞인 폭타가 쏟아지는데, 이 트릴 배치가 상당히 손이 꼬이기 쉬운 배치로 되어있어 처리하기 쉽지않다. 중반부에는 [[HAERETICUS|동시치기나 롱노트, 탑노트가 섞여 있는 12비트 폭타와 3체인의 꼬인 트릴]]이나 [[DEADLOCK(BEMANI 시리즈)|체인 몇개로 쪼개진 불규칙적인 트릴이]] 떨어지는데 BPM이 그렇게 빠른 편은 아니라서 다른 부분에 비해서는 그나마 칠만하다만 어디까지나 상급자 기준. 그래도 다른 구간에 비하면 무난한 편이기 때문에 클리어 등을 위해서는 이 부분을 침착하게 쳐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후반부 롱잡의 경우 기존의 롱잡 패턴이 떠오를지도 모르겠지만 그것과는 다르게 여기에서는 롱노트와 이어진 체인이 없다. 대신 여기에서의 롱노트는 일반노트든 탑노트든 항상 동시치기가 같이 존재하므로 그 점을 유의해서 치자. 또한 롱잡은 아니지만 롱노트가 끝난 직후 나오는 3연타도 있으니 조심하자. 최후반부는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탑노트를 활용한 상하 트릴부터 시작해서 버티컬을 활용한 복잡한 트릴 배치가 나오는데 이 부분은 검중약으로 안미츠로 처리할 수 있다. 뒤에는 [[STULTI]]에서나 보던 그 데님 배치가 폭타 사이에 껴서 나온다. 데님 사이사이에 끼어있는 일반노트 때문에 손배치를 미리 짜기도 난감한 부분이다. 모든 패턴이 상당히 난해하고 어렵기 때문에 [[onslaught]], [[Hollywood Galaxy]] SPECIAL보다 약간 어렵다고 평가되고, [[CLAMARE]]와는 최소 대등하거나 그 이상이라고 평가되는 12레벨 최상급의 곡이다. [[CLAMARE]]가 빠른 BPM과 무식한 폭타로 승부했다면, 이 곡의 경우 정직하게 테크닉만으로 승부한 케이스. [[코나미 아케이드 챔피언쉽/The 5th|The 5th KAC]]에서 [[Rebellio]]가 '''13레벨'''을 달고 나오기 전까진 CLAMARE와 2대장 체제 혹은 onslaught나 Hollywood Galaxy를 포함해 소위 12 4강보면이라고 불렸다. MEDIUM 보면은 하드보면을 대폭 약화한 보면인데, 이는 역으로 설명하면 롱노트 장난과 개박이 열화되어 나온다. 그나마 그것마저 전부 [[트릴]]로 나온 게 다행이지만..., 트릴에 강하다면 [[CLAMARE|미디엄]] [[量子の海のリントヴルム|9]][[RAIN|레벨]] 중에서는 이 곡이 제일 쉬울 것이다. BASIC 보면조차도 개박이 어느 정도 존재한다! 물론 정박도 많이 들어가있으나, 중간에 엇박과 섞여나오니 뻘그렛을 뽑아내게 될 채보. 탑노트 또한 적절하게 활용했기 때문에 BASIC 6렙 주제에 MEDIUM 6~7렙과 비교되는 채보이기도 하다. [[리플렉 비트 볼짜]]의 [[클래스 체크 모드]] 極의 최종 스테이지에 배정되었다. [[리플렉 비트 VOLZZA 2|VOLZZA 2]]에서 스킬 레이트가 도입되면서 난이도에 맞게 HARD패턴의 스킬 레이트는 88로 배정되었다. [[리플렉 비트 유구의 리플레시아]]에서는 [[The 6th KAC]]에서 sir•o•n.이 선곡하여 같은 플레이어가 선곡한 [[X-TREME 6]]과 MEN-2U가 선곡한 [[Rebellio]]와 함께 2017년 2월 2일 부활곡으로 선정되었다. 리플렉 비트 시리즈의 결승 악곡 중 최초로 엑설런트가 뜬 패턴이다. 최초 등장일로부터 2,195일이 걸렸다. === 아티스트 코멘트 === ||어이 거기! 자작이라고 하지 마!! 그렇게 되어서, 이번엔 바로 그 토토씨와 슈퍼 꿈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The 4th KAC 리플렉 부문의 결승전 과제곡을 쓰게 되었습니다. 최고를 가리기에 어울리는 곡이라는 컨셉에 맞게 HARD 채보는 이제까지 없을 정도로 '이래도 할 수 있겠나' 싶을 정도로 리플렉의 상급 테크닉을 가득 채워넣었습니다. 어떤 의미로 리플렉 플레이어를 향한 도전이라고도 할 수 있는 곡이지만 거꾸로 어떻게 공략당할지도 매우 기대가 됩니다! 강자들이여, 지금 이곳에 모여라 <兎々> || == [[사운드 볼텍스]] == ||<-2> '''[[POLICY BREAK]][br]([[리플렉 비트 시리즈|REFLEC BEAT]])''' || || 1 || [[VALLIS-NERIA]] || || 5 || [[Playing With Fire]] || || 8 || [[Sakura Mirage]] || || 11 || [[打打打打打打打打打打]] || || 12 || [[鬼天]] || || 18 || [[伐折羅-vajra-]] || || 27 || [[Rebellio]] || 2016년 2월 25일 [[POLICY BREAK]]를 통해 수록되었다. 이 후 2019년 9월 12일 통상 PCB 해금으로 전환되었다. * [[사운드 볼텍스/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4> [[사운드 볼텍스]] 난이도 체계 || || 난이도 || NOVICE || ADVANCED || EXHAUST || || 자켓 ||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2_rb_05.jpg|width=150]] ||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2_rb_05.jpg|width=150]] || [[파일:external/p.eagate.573.jp/201502_rb_05.jpg|width=150]] || || 레벨 || 07 || 13 || 18 || || 체인 수 || 0701 || 1246 || 2354 || || 일러스트 담당 ||<-3> 07 || || [[사운드 볼텍스/이펙터|이펙터]] ||<-3> [[PHQUASE|PHQUASE VS 深瀬]][* 深瀬는 각각 후카, 세로 읽을 수 있다. 아마도 작곡가 명의인 DJ TOTTO VS 兎々(토토)를 패러디한 듯. 또한 PHQUASE라는 명의 자체도 본명에서 유래한 것이므로 어쩌면 진짜로 본명의 한자 표기가 저거일 수도 있다.] || || 수록 시기 ||<-3> __[[POLICY BREAK|{{{#black POLICY BREAK}}}]]__ || || [[BPM]] ||<-3> 173 || [youtube(SInMuvGEPFI, width=420, height=680)] EXH 손배치 포함 PERFECT 영상 EXH 패턴은 손이 꼬이기 쉬우며 초견살이 심한 편이다. 중반부의 노브 꼬임 낚시에 주의가 필요하며, 트릴도 상당량 섞여있는 편이라 니어 말림이 쉽게 발생할 수 있으니 노래를 숙지하는 편이 좋다. 특히 후반부의 햄버거 패턴[* FX노트와 BX노트가 번갈아가면서 나오는데 잘 보면 햄버거처럼 보인다.]이 클리어와 스코어링 양쪽에 있어서 발목을 잡는 주 요인이니 숙지하고 플레이 할 것을 권장한다. 전반적은 난이도는 [[LegenD.]], [[IKAROS DYNAMITE!!!!]]등과 비슷한 18레벨 중상위권. NOV, ADV 패턴은 각각 7, 13레벨로, 이식곡 중에서는 최초로 NOV 7, ADV 13레벨로 등장했다. == [[beatmania IIDX]] == [include(틀:드셔주세요! BISTROVER)] || 장르명 ||<-4> KUDOS CORE || [[BPM]] || 173 || || 전광판 표기 ||<-6><#454545> '''{{{#FF5A00 VAJRA}}}''' || ||<-7> [[beatmania IIDX]] [[beatmania IIDX/난이도 체계|난이도 체계]] || || ||<-2> {{{#blue 노멀}}} ||<-2> {{{#orange 하이퍼}}} ||<-2> {{{#red 어나더}}} || || 싱글 플레이 || {{{#blue 6}}} || {{{#blue 585}}} || {{{#orange 10}}} || {{{#orange 1085}}} || {{{#red 12}}} || {{{#red 1877}}} || || [[더블 플레이]] || {{{#blue 6}}} || {{{#blue 610}}} || {{{#orange 10}}} || {{{#orange 1075}}} || {{{#red 12}}} || {{{#red 1829}}} || * [[beatmania IIDX/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 [[아케이드]] 수록 : [[beatmania IIDX 28 BISTROVER|28 BISTROVER]] ~ [[드셔주세요! BISTROVER]] North America 지역 해금곡으로 이식되었다. === 싱글 플레이 ===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하드 게이지/지력 A)] [include(틀:beatmania IIDX/비공식 난이도표/싱글/12레벨 노말 게이지/지력 A)] [youtube(C6T9uKW8fBk)] SPA 영상 === 더블 플레이 === [youtube(95mL851IPGI)] DPA 영상 == [[DanceDanceRevolution]] == ||<-12><#0ff,navy> [[DanceDanceRevolution/난이도 체계|{{{#373a3c,#ddd DanceDanceRevolution 난이도 체계}}}]] || ||<|3> '''싱글 플레이''' |||| BEGINNER |||| BASIC |||| DIFFICULT |||| EXPERT ||<-3> CHALLENGE || |||| 3 |||| 7 |||| 12 |||| 16 ||<-3> 18 || || 89 || 7 || 234 || 10 || 374 || 13 || 630 || 9 || '''891''' || 9 || 0 || ||<|2> '''[[더블 플레이]]''' ||||<|2> - |||| 7 |||| 12 |||| 16 ||<-3> 18 || || 235 || 10 || 366 || 9 || 605 || 13 || 818 || 7 || 0 || || BPM ||<-11> 87~173 || || 아케이드 버전 분류 ||<-11> [[DanceDanceRevolution A3]] || * [[DanceDanceRevolution/수록곡|곡 목록으로 돌아가기]] [youtube(DuFMVyOTCQ4)] ESP+EDP 영상 [youtube(JHMgtpuE1KE)] CSP 핸드클랩 [youtube(KlgSkOIhPL8)] CDP 핸드클랩 싱글 챌린지 난이도는 18레벨 최다 노트수를 갱신하였다. [[분류:리플렉 비트 그루빈 어퍼의 수록곡]][[분류:사운드 볼텍스 III 그래비티 워즈의 수록곡]][[분류:beatmania IIDX 28 BISTROVER의 수록곡]][[분류:DanceDanceRevolution A3의 수록곡]] [[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