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保}}}지킬 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人|{{{#000,#fff 人}}}]],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ホ{{{#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たも-つ, {{{#c88 も-つ, やす-んじ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ǎ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保는 ''''지킬 보''''라는 [[한자]]로, '지키다'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지키다 || || {{{-1 '''음'''}}} ||보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bǎo || || {{{-1 '''[[광동어]]'''}}} ||bou^^2^^ || || {{{-1 '''[[객가어]]'''}}} ||pó || || {{{-1 '''[[민동어]]'''}}} ||bō̤ || || {{{-1 '''[[민남어]]'''}}} ||pó || || {{{-1 '''[[오어]]'''}}} ||pau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ホ || || {{{-1 '''훈독'''}}} ||たも-つ, {{{#c88 も-つ, やす-んじる}}} || ||<-3> || ||<-2> '''[[베트남어]]''' ||bảo || [[유니코드]]에는 U+4FD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RD(人口木)로 입력한다. [[人]](사람 인)과 [[子]](아들 자)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즉 사람이 아이를 데리고 있는 모습을 본뜬 글자이며, '돌보다', 나아가 '보전하다'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갑골문]]부터 등장하는 글자로, 원래는 사람(人) 뒤에 아이(子)가 딸려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었다. 그런데 [[금문]]으로 오면 사람 뒤에 아이가 있고, 아이의 뒤쪽 부분에도 ノ자 형태의 획이 더 추가된 형태가 나타나는가 한편, 아이의 위쪽에 王자 형태(즉 [[玉]])가 그려지기도 한다. ノ자에 대해서는 [[褓]](포대기 보)자와 연결지어, 아이를 감싸는 포대기라고 설명하는 학자들이 있다. 이후 [[전서]]에서는 ノ자가 子의 양옆에 하나씩 생겨 呆와 같은 형태가 되었고, 이 형태가 [[예서]]와 [[해서]]까지 이어져 현재의 자형이 되었다. 원래 마지막 두 획은 ホ와 같이 나머지 획과 따로 떨어져 있었으나, 예서 이후의 서체에서는 ホ자 형태와 木자 형태가 둘 다 나타난다. 현재 제작되는 폰트들도 ホ자 형태인 것과 木자 형태인 것이 있다. == 용례 == === [[단어]] === * [[보건]](保[[健]]) * [[보건실]](保[[健]][[室]]) * [[보건복지부]](保[[健]][[福]][[祉]][[部]]) * [[보수주의|보수]](保守) * [[보안]](保[[安]]) * [[국가보안법]]([[國]][[家]]保[[安]][[法]]) * [[보지(동음이의어)#s-2.1|보지]](保[[持]]) * [[보험]](保[[險]]) * [[고용보험]]([[雇]][[用]]保[[險]]) * [[국민건강보험]]([[國]][[民]][[健]][[康]]保[[險]]) * [[산재보험]]([[産]][[災]]保[[險]]) * [[장기요양보험]]([[長]][[期]][[療]][[養]]保[[險]]) * [[노인장기요양보험]]([[老]][[人]][[長]][[期]][[療]][[養]]保[[險]]) * [[보호]](保[[護]]) * [[보호관찰]](保[[護]][[觀]][[察]]) * [[보호자]](保[[護]][[者]]) * [[안보]]([[安]]保) === [[인명]] === * [[마츠다이라 카타모리]]([[松]][[平]] [[容]]保) * [[문보경]]([[文]]保[[景]]) * [[빈보다 모미지]]([[貧]]保[[田]] [[紅]][[葉]]) * [[사야시 리호]]([[鞘]][[師]] [[里]]保) * [[야마니시 타모츠]]([[山]][[西]] 保) * [[오보카타 하루코]]([[小]]保[[方]] [[晴]][[子]]) * [[오오누마 아키호]]([[大]][[沼]] [[晶]]保) * [[오오쿠보 루미]]([[大]][[久]] 保[[瑠]][[美]]) * [[완나이 키누호]]([[湾]][[内]] [[絹]]保) * [[욱보사]]([[郁]]保[[四]]) * [[치카조쿠 토모야스]]([[近]][[属]] [[友]]保) * [[쿠보 유리카]]([[久]]保 ユリカ) * [[타무라 호노]]([[田]][[村]] 保[[乃]]) * [[호시나 마사토시]](保[[科]] [[正]][[俊]]) * [[호시나 슈지]](保[[科]] [[柊]][[史]]) * [[호즈미 유우야]](保[[住]] [[有]][[哉]]) === [[지명#s-2]] === * [[보령시]](保[[寧]][[市]]) * [[보산역]](保[[山]][[驛]]) === [[창작물]] === * [[佐世保の時雨]]([[사세보의 시구레]]) * 過保護のカホコ([[과보호의 카호코]]) === 기타 === * [[공보의]]([[公]]保[[醫]]) * [[국보법]]([[國]]保[[法]]) * [[청보법]]([[靑]]保[[法]]) == 유의자 == * [[守]](지킬 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侃]](굳셀 간) * [[槑]](매화 매, 아무 모) * [[𤥯]](보배 보)[* [[寶]](보배 보)의 [[동자#s-2]]] * [[㙅]](작은성 보)[* [[堡]](작은성 보)의 [[동자#s-2]]] * [[𤞥]](지킬 보) * [[㳭]](침 연)[* [[涎]](침 연)의 [[동자#s-2]]] * [[俣]](갈래지을 오) * [[𨲃]](헝클어질 종) * [[𩛴]](배부를 포)[* [[飽]](배부를 포)의 [[동자#s-2]]] * [[𠳳]] * [[𪭷]] * [[𨹦]] * [[𪲖]] * [[𣍀]] * [[𣕷]] * [[𥆫]] * [[𫗷]]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䳰]]/[[𪃁]](능에 보) * [[葆]](더부룩할 보) * [[媬]](도울 보) * [[椺]](들보 보, 술잔 혁/격) * [[賲]](보유할 보) * [[湺]](사람이름 보) * [[煲]](삶을 보) * [[𩭼]](상투 보) * [[㷛]]/[[𤭭]](솥 보) * [[堡]]/[[堢]](작은성 보) * [[褓]]/[[緥]](포대기 보) * [[㨐]](가릴 부) * [[𢉣]](갈무리할 포) * [[褒]](기릴 포) * [[䭋]](배부를 포)[* [[飽]](배부를 포)의 [[동자#s-2]]] * [[𣯂]](포) * [[𠸒]] * [[𤦸]] * [[𧛱]] * [[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