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停}}}머무를 정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人|{{{#000,#fff 人}}}]],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テ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とど-まる, とど-める, と-まる, と-め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tí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停은 ''''머무를 정''''이라는 [[한자]]로, '머무르다', '멈추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05C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YRN(人卜口弓)으로 입력한다. 얼핏 보면 사람(人)이 정자(亭)에 머무른다는 의미로 봐서 [[회의자]]로 생각하기 쉬우나 뜻을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음을 나타내는 [[亭]](정자 정)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주로 비슷한 의미의 [[止]](그칠 지)와 [[留]](머무를 류)랑 같이 쓰인다. == 용례 == === [[단어]] === * 무정([[務]]停) * 정감(停[[減]]) * [[정거]](停[[車]]) * 급정거([[急]]停[[車]]) * [[정거장]](停[[車]][[場]]) * 가정거장([[假]]停[[車]][[場]]) * 급수정거장([[給]][[水]]停[[車]][[場]]) * 급탄정거장([[給]][[炭]]停[[車]][[場]]) * [[우주정거장]]([[宇]][[宙]]停[[車]][[場]]) * 정계(停[[啓]]) * [[정년]](停[[年]]) * 정류(停[[留]]) * [[정류소]](停[[留]][[所]]) * [[정류장]](停[[留]][[場]]) * 정망(停[[望]]) * 정봉(停[[捧]]) * 정송(停[[訟]]) * [[정전(동음이의어)#s-1.2|정전]](停[[戰]]) * 군사정전위원회([[軍]][[事]]停[[戰]][[委]][[員]][[會]]) * [[정전 협정]](停[[戰]] [[協]][[定]]) * 정전회담(停[[戰]][[會]][[談]]) * [[정전]](停[[電]]) * [[정지]](停[[止]]) * [[정지 문제]](停[[止]] [[問]][[題]]) * [[정직#s-2]](停[[職]]) * [[정차]](停[[車]]) * 정차등(停[[車]][[燈]]) * [[정체]](停[[滯]]) * 정침(停[[寢]]) * 정퇴(停[[退]]) * [[정학]](停[[學]]) * 정회(停[[會]]) * [[조정]]([[調]]停) === [[고사성어]]/[[숙어]] === * 마부정제([[馬]][[不]]停[[蹄]]) - 「달리는 말은 말굽을 멈추지 않는다.」는 뜻으로, 지난 성과에 안주하지 말고 더욱 발전하고 정진하자는 뜻[*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b860a6fd65574db1a7bbfbb90e1d8219|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십정([[十]]停): 신라 때 지방에 배치한 군대. * 거사물정([[居]][[斯]][[勿]]停) * 골내근정([[骨]][[乃]][[斤]]停) * 고량부리정([[古]][[良]][[夫]][[里]]停) * 남천정([[南]][[川]]停) * 미다부리정([[未]][[多]][[夫]][[里]]停) * 벌력천정([[伐]][[力]][[川]]停) * 삼량화정([[參]][[良]][[火]]停) * 소삼정([[召]][[參]]停) * 음리화정([[音]][[里]][[火]]停) * 이화혜정([[伊]][[火]][[兮]]停) * [[영구 정지|영정]]([[永]]停) == 유의자 == * [[稽]](머무를 계) * [[逗]]/[[投]](머무를 두) * [[留]]/[[遛]](머무를 류) * [[泊]](머무를 박) * [[䠧]](머무를 저) * [[駐]](머무를 주) * [[止]](그칠 지) * [[坁]](머무를 지) * [[遚]](머무를 추) * [[𠐌]]^^[⿰亻罷]^^(머무를 파) == 상대자 == * [[動]](움직일 동)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𦂃]](가죽띠 정) * [[𪑬]]^^[⿰黑亭]^^(구름의빛깔 정) * [[聤]](귀에진물흐를 정) * [[蝏]](긴맛 정) * [[嵉]](높은산 정) * [[碠]](돌정자 정) * [[𩤙]]^^[⿰馬亭]^^(멈추어설 정) * [[楟]](문배나무 정) * [[渟]](물괼 정) * [[𧶺]]^^[⿰貝亭]^^(벌레이름 정) * [[婷]](예쁠 정) * [[𩹇]]^^[⿰魚亭]^^(자가사리 정) * [[䁎]](자세히보는모양 정/쟁) * [[諪]](조정할 정) * [[揨]](찌를 정) * [[𦝞]]^^[⿰⺼亭]^^(포 정) * [[㷚]](정) * [[𤗞]]^^[⿰片亭]^^(정) * [[𨉬]]^^[⿰身亭]^^(정) * [[𪞨]]^^[⿰冫亭]^^ * [[𭁙]]^^[⿰半亭]^^ * [[𠷥]]^^[⿰口亭]^^ * [[𪣹]]^^[⿰土亭]^^ * [[𭘭]]^^[⿰巾亭]^^ * [[𨺱]]^^[⿰⻖亭]^^ * [[𢝜]]^^[⿰忄亭]^^ * [[𣂴]]^^[⿰斤亭]^^ * [[𱥄]]^^[⿰止亭]^^ * [[𤧟]] * [[𥠣]]^^[⿰禾亭]^^ * [[𥪜]] * [[𬑯]]^^[⿰矛亭]^^ * [[𥢿]]^^[⿰⿱禾𠮛亭]^^ * [[𰸥]]^^[⿰𧾷亭]^^ * [[𧷭]]^^[⿰⿱丷貝亭]^^ * [[𨪃]]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𠼵]]^^[⿰口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