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兪}}}대답할/인월도 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入|{{{#000,#fff 入}}}]],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ú{{{#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兪는 ''''대답할 유''''라는 [[한자]]로, '대답하다'를 뜻한다. 兪를 [[파자]]하면 人月刀(인월도)가 되기 때문에, 성씨의 일종인 유(兪)씨를 일컫기 위해 ''''인월도 유''''라고도 한다. == 상세 == 설문해자에서는 月(舟) + 亼 + 巜 가 합쳐 이루어진 [[회의자]]로 통나무의 속을 파내서 만든 뗏목이라는 뜻이라고 적었으나, [[서경]] 등을 비롯한 문자 매체에서는 대체로 "그렇다"고 말하는 모양을 뜻하는 감탄사로 쓰였다. [[유니코드]]는 516A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OMBV(人一月女)로 입력한다. [[이체자]]로는 俞가 있으며, 이는 [[간체자]]로 쓰이고 있다. == 자형 == || [[파일:兪-oracle.svg.png]] || [[파일:兪-bronze.svg.png]] || [[파일:兪-bigseal.svg.png]] ||[[파일:60px-兪-seal.svg.png]]|| ||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 용례 ==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167,927명, 전체 46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기계(杞溪), 무안(務安))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유(성씨)]] 문서 참조. 이름에 쓰는 경우는 성씨보다는 드물지만 다음처럼 아예 없지는 않다. * [[유리(소녀시대)|권유리]]([[權]]俞[[利]]) * [[안유진]]([[安]]兪[[眞]]): [[IVE]]의 멤버 * [[황보유의]]([[皇]][[甫]]兪[[義]]) === 한의학 === 혈자리 이름에 많이 쓰이며 이 때는 '수'로 읽는다. 즉 육달월변이 붙은 腧의 뜻이다. 이 '수'로 읽는 법은 아예 침구학 교과서에 대놓고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의서 번역 등에서는 '유'라고 되어 있는 경우가 가끔 보인다. == 유의자 == * [[答]](대답할 답) == 상대자 == * [[問]](물을 문) * [[訊]](물을 신) * [[諮]](물을 자) * [[詰]](물을 힐)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2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