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其}}}그 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八|{{{#000,#fff 八}}}]],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キ}}}}}}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そ-の, それ}}}}}}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qí{{{#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파일:其획순.gif|width=200]] || || 其의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其는 ''''그 기''''라는 [[한자]]로, '그', '그것의' 등의 의미를 지닌다. 한문의 대표적인 허사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그 || || {{{-1 '''음'''}}} ||기 || ||<-3> || ||<|10>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qí || || {{{-1 '''[[광동어]]'''}}} ||kei^^4^^ || || {{{-1 '''감어'''}}} ||qi5 || || {{{-1 '''[[객가어]]'''}}} ||khì || || {{{-1 '''진어'''}}} ||ieh4 || || {{{-1 '''[[민북어]]'''}}} ||gǐ, kǐ || || {{{-1 '''[[민동어]]'''}}} ||gì || || {{{-1 '''[[민남어]]'''}}} ||kî || || {{{-1 '''[[오어]]'''}}} ||jji (T3) || || {{{-1 '''상어'''}}} ||ji2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キ}}} || || {{{-1 '''훈독'''}}} ||{{{#c88 そ-の, それ}}} || ||<-3> || ||<-2> '''[[베트남어]]''' ||kì || [[유니코드]]는 U+5176에 배당되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TMMC(廿一一金)로 입력한다. 이 글자는 [[箕]](키 기)의 본자이다. 여기서 [[키(농기구)|키]]는 곡식을 까부르는 도구를 말한다. 其 자는 원래 그물조직이 있는 바구니를 본뜬 상형자였다. 그러나 갑골문 때부터 이미 이 글자는 본래의 뜻을 잃고 허사(虛詞)로 쓰이고 있었다. 이 때문에 본래의 뜻을 표현하기 위해 위에 [[竹]](대 죽) 자를 넣어서 새로 만든 글자가 箕 자이다. [[갑골문]] 상에서 이 글자는 𠀠(廿·U 자 안에 X자)의 형태로 그려져 있다. [[금문]]에서는 밑에 八 자 형태의 받침대가 추가되며, [[전서]]를 지나 [[예서]]에 이르러 현재의 자형에 가까워진다. [[일본]]의 경우, 其 자는 상용한자 범위 밖에 있는 한자이며, 때문에 원칙적으로 상용독음도 없다. 그러나 중고등학교 국어 교육과정에 [[한문]] 읽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때 其 자는 その 혹은 それ라고 [[훈독(한문)|훈독]]한다. 현재는 その나 それ를 히라가나로 쓰지만, 20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일반적으로 其の(其ノ), 其れ(其レ)라고 썼고, 아예 가나 없이 其라고 쓰는 경우도 많았다. == 한문 용법 == 한문에서 이 글자는 빈번하게 등장하며 중요한 허사 중의 하나이다. * 한정사로서, '그', '그것의'의 의미로 쓰인다. 不知'''其'''數: '''그''' 수를 알 수 없다 鳥之將死, '''其'''鳴也哀: 새가 죽으려 할 때 '''그''' 울음소리는 슬프다. 北冥有魚, '''其'''名爲鯤: 북명(북쪽 바다)에 물고기가 있는데, '''그''' 이름은 곤(鯤)이다. * 의미상 '그', '그것'이라는 명사로 쓰이는 것도 가능하다. 所謂華山洞者, 以'''其'''乃華山之陽名之也: 화산동(華山洞)이라고 불리는 곳은 '''그곳이''' 화산(華山)의 남쪽에 있기 때문에 그리 이름붙인 것이다. 由也, 千乘之國, 可使治其賦也, 不知'''其'''仁也: 유(由)는 천 수레의 영토에서 그 군사를 다스리게 할 수 있으나, '''그가''' 어진지는 모르겠다. * 겸사로 쓰여, 동사의 목적어 겸 이어지는 절의 주어 역할도 한다. 영어의 his/her/its V-ing 문장구성과 유사한 면이 있다. 呼河伯婦來,視'''其'''好醜: 하백의 신부를 불러오라, 그녀가 어여쁜지 봐야겠다. * 다른 어기조사와 호응하여 문장에 어기를 더해 주는 역할도 한다. '''其'''信然邪? '''其'''夢邪? '''其'''傳之非其眞邪?: 정말인가? 꿈인가? 소식이 잘못된 것이 아닌가? 孝弟也者, '''其'''爲仁之本與: 효(孝)와 제(悌)는 인을 행하는 근본일 테다. 攻之不克, 圍之不繼, 吾'''其'''還也: 공격해도 이길 수 없고 포위해도 이어갈 수 없으니, 나는 돌아가는 것이 낫겠다. 그 외에도 나, 그대, 어찌, 아마도, 대체로, 일정한, 마땅히 등의 뜻을 가지고 있고 권유 및 명령의 강조 역할을 한다. == 용례 == === [[단어]] === * 각기([[各]]其) * 급기야([[及]]其[[也]]) * 기간(其[[間]]) * 기인(其[[人]]) - [[고려시대]]에 행해졌던 '기인 제도' 할 때의 '기인'이다. * 기타(其[[他]]) === [[인명]] === * [[강기영]]([[姜]]其[[永]]) * [[아기발도]]([[阿]]其[[拔]][[都]]) * 우다능기([[尤]][[多]][[凌]]其) * [[차이치창]]([[蔡]]其[[昌]]) * [[천치마이]]([[陳]]其[[邁]]) === 기타 === * 기역(其役) - [[ㄱ]]의 발음을 알려주는 음차 단어. [[훈몽자회]]에서 사용한다. == 유의자 == * [[厥]](그 궐)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共]](한가지 공) * [[甚]](심할 심) * [[真]](참 진)[* [[眞]](참 진)의 [[신자체]]이자 [[간체자]]]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棊]]/[[碁]](바둑 기) * [[基]](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