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冊}}}책 책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冂|{{{#000,#fff 冂}}}]],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サツ, サ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ふみ}}}}}}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책 책(冊)'''. '[[책]]', '책봉하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책 || || {{{-1 '''음'''}}} ||책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cè || || {{{-1 '''[[광동어]]'''}}} ||caak^^3^^ || || {{{-1 '''[[객가어]]'''}}} ||chhak || || {{{-1 '''[[민동어]]'''}}} ||cháh || || {{{-1 '''[[민남어]]'''}}} ||chhek[*文 [[문독]]] / chheh[*白 [[백독]]] || || {{{-1 '''[[오어]]'''}}} ||tshaq (T4) || ||<-3> || ||<|2> '''[[일본어]]''' || {{{-1 '''음독'''}}} ||サツ, サク || || {{{-1 '''훈독'''}}} ||{{{#c88 ふみ}}} || ||<-3> || ||<-2> '''[[베트남어]]''' ||sách || [[유니코드]]에는 U+518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BT(月廿) 혹은 XBT(X月廿)로 입력한다. [[죽간]], 즉 대나무 여러 개를 묶은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册으로 쓰기도 하며, 간체자에서는 이 형태가 표준이다. 고서(古書)의 수량을 O권O책으로 나타내는데, 이 때 권([[卷]])은 내용상 구분되는 장([[章]])의 개념이고, 책(冊)은 종이를 [[제본]]하여 묶은 단위이다. == 용례 == === [[단어]] === * [[책]](冊) * [[공책]]([[空]]冊) * 별책([[別]]冊) * [[책상]](冊[[床]])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책부원구(冊[[府]][[元]][[龜]]) == 유의자 == * [[卷]](책 권) * [[本]](근본 본)[* '책'이라는 뜻도 있다. 특히 [[일본어]]에서 本을 '책'이라는 뜻으로 매우 자주 쓴다.] * [[書]](글 서) * [[篇]](책 편)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정자(한자)|정자]]''' 冊 * [[卌]](마흔 십) * '''[[간체자]]''' 册 * [[朋]](벗 붕) [[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