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初}}}처음 초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刀|{{{#000,#fff 刀}}}]],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ョ, {{{#c88 ソ}}}}}}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はじ-め, はじ-めて,[br]はつ, うい, そ-める, {{{#c88 うぶ}}}}}}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hū{{{#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初는 ''''처음 초''''라는 [[한자]]로, '[[처음]]'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21D에 배정되어 있다. [[창힐수입법]]은 LSH(中尸竹). [[衣]](옷 의)와 [[刀]](칼 도)가 합쳐진 [[회의자]]로, '''옷(衣)을 만들 때엔 칼(刀)로 자르는 것이 먼저다'''[* [[측정|옷을 입을 사람의 치수를 재는 것]]이 먼저인 현대의 시각에서는 낯설 수 있겠지만, 이 한자가 만들어질 당시에는 옷감을 먼저 자르고 옷을 입을 사람에게 맞추는 일이 그 뒤였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切]](끊을 절)과 함께 [[刀]]가 '방' 자리에 위치할 때 刂로 변하지 않는 한자이다. [[末]](끝 말)처럼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7526900|음만 따로 쓰인다.]] 뜻은 [[말]]과 정반대이다. == 용례 == * '초창기'는 初가 아니라 [[草]]([[풀 초]])를 쓴다.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 === [[단어]] === * '''[[초]](初)''' * 당초([[當]]初) - 파생어로 '애당초'가 있다. '애시당초'는 잘못된 표현이다. * 시초([[始]]初) * 연초([[年]]初) * 원초([[原]]初) * 원초적([[原]]初[[的]]) * 정초([[正]]初) * 초급(初[[級]]) * 초기(初[[期]]) * 초등(初[[等]]) * [[초등교사]](初[[等]][[敎]][[師]]), 초등적(初[[等]][[的]]), [[초등학교]](初[[等]][[學]][[校]]), [[초등학생]](初[[等]][[學]][[生]]), [[초등함수]](初[[等]][[函]][[數]]) * 초면(初[[面]]) * 초반(初[[盤]]) * [[초보]](初[[步]]) * 초보자(初[[步]][[者]]), [[초보운전]](初[[步]][[運]][[轉]]) * [[초복]](初[[伏]]) * 초본(初[[本]]) * 초생/초승(初[[生]]) - 똑같이 初生이라고 쓰는데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7608900|초생]]으로 읽는냐,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7619300|초승]]으로 읽느냐에 따라 뜻이 '''완전히 바뀐다.''' 그리고 이 초승에서 나온 것이 [[초승달]]이다. [[生]]을 승이라고 읽는 경우는 이외에도 [[이승]]과 [[저승]]이 있다. * 초심(初[[心]]) * 초유(初[[有]]) * 초창(初[[創]]) * [[초파일]](初[[八]][[日]]) - [[활음조 현상]]으로 인해 'ㄹ'이 탈락해 '초파일'이라고 발음한다. * [[최초]]([[最]]初) * [[세계 최초]]([[世]][[界]] [[最]]初) * 태초([[太]]初) === [[고사성어]]/[[숙어]] === * 금시초문([[今]][[始]]初[[聞]]) * 사십초말([[四]][[十]]初[[襪]]) * [[수구초심]]([[首]][[丘]]初[[心]]) * 자초지종([[自]]初[[至]][[終]]) * 초지일관(初[[志]][[一]][[貫]]) === [[인명]] === * [[백초월]]([[白]]初[[月]]) * [[일본의 성씨]]와 이름 [[하츠네]](初[[音]]/初[[根]]) * 실존인물 - [[하츠네 미노리]](初[[音]]みのり), * 가상인물 - [[미나세 하츠네]]([[皆]][[瀬]] 初[[音]]), [[스즈노키 하츠네]]([[鈴]]の[[木]] 初[[音]]), [[오토나시 하츠네]]([[音]][[無]] 初[[音]]), [[카시와기 하츠네]]([[柏]][[木]] 初[[音]]) * [[일본의 성씨]]와 이름 하츠세(初[[瀬]]) * 가상인물 - [[오카바시 하츠세]]([[岡]][[橋]] 初[[瀬]]), [[하츠세 이노]](初瀬 いの), [[하츠세 이즈나]](初[[瀬]] いづな), [[하츠세 카리라]](初[[瀬]] カリラ) * [[일본의 성씨]] [[우이하루]](初[[春]]) * [[우이하루 카자리]](初[[春]] [[飾]][[利]]) * [[카이타비 하츠야]]([[介]][[旅]] 初[[矢]]) * [[하츠세노 알파]](初[[瀬]][[野]] アルファ) * [[하츠시마 마고지로]](初[[島]] [[孫]][[次]][[郎]])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명륜초교길]]([[明]][[倫]]初[[校]]길) * [[하츠네 섬]](初[[音]][[島]]) === [[창작물]] === * [[イジワルしないで抱きしめてよ/初めてを経験中]](심술 부리지 말고 안아줘/처음을 경험 중) === 기타 === * [[초견살]](初[[見]][[殺]]) * [[초살#s-2]](初[[殺]]) * [[초통령]](初[[統]][[領]]) * [[하츠네 미쿠]](初[[音]] ミク) == 유의자 == * [[發]](필 발) * [[始]](비로소 시) == 반대자 == * [[高]](높을 고) * [[了]](마칠 료) * [[末]](끝 말) * [[終]](마칠 종) * [[竣]](마칠 준) * [[畢]](마칠 필)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魛]](웅어 도) * [[切]](끊을 절) [[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