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劍}}}칼 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刀|{{{#000,#fff 刀}}}]], 1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ケ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つるぎ{{{#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i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칼 검(劍).''' [[도검|칼]], [[도검|검]], [[검술]]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劒(검)은 [[이체자]]이다. == 상세 == [[유니코드]]에선 U+528D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OLN(人人中弓)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刀]](칼 도)와 음을 나타내는 [[僉]](다 첨)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칼을 뜻하는 한자에는 이것과 [[刀]]가 있는데, 劍은 주로 날이 두개인 '''양날의 칼'''을 뜻하고, 刀는 주로 날이 하나인 '''외날의 칼'''을 뜻한다. 1813년에 박종경이 편찬하여 간행한 "융원필비"에 잘 나와 있다. 원래는 '''칼집이 있는 칼을 "검"'''이라고 부르고 '''칼집이 없는 칼을 "도"'''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러다가 차츰 칼집이 있는 칼인 "검"을 "도"라고도 부르기 시작하여 후대에 와서 이 책(융원필비)이 간행된 때에는 칼집이 있는 칼인 "검"을 "도"라고도 널리 불렀다. 한국의 훈으로는 똑같이 [[도검|칼]]이지만 일본의 훈독으로는 刀(かたな/[[카타나]]), 劍(つるぎ/[[츠루기]])로 차이가 있다. == 용례 == === [[단어]] === * '''[[검]](劍)''' * [[검객]](劍[[客]]) * [[검기]](劍[[器]]/劍[[技]]/劍[[氣]]) * [[검도]](劍[[道]]) * [[검룡]](劍[[龍]]) * [[검룡류]](劍[[龍]][[類]]) * [[검무]](劍[[舞]]) * [[검사]](劍[[士]]) * [[검술]](劍[[術]]) * [[격검]]([[擊]]劍) * [[단검]]([[短]]劍) * [[대검]]([[大]]劍/[[帶]]劍) * [[도검]]([[刀]]劍) * [[명검]]([[名]]劍) * [[목검]]([[木]]劍) * [[보검]]([[寶]]劍) * [[소검]]([[小]]劍) * [[수리검]]([[手]][[裏]]劍) *안검([[按]]劍) * [[용검]]([[龍]]劍) * [[장검]]([[長]]劍) * [[총검]]([[銃]]劍) === [[고사성어]]/[[숙어]] === * [[각주구검]]([[刻]][[舟]][[求]]劍) * [[견문발검]]([[見]][[蚊]][[拔]]劍) * [[구밀복검]]([[口]][[蜜]][[腹]]劍) === [[인명]] === * [[검모잠]](劍[[牟]][[岑]]) * [[견신검]]([[甄]][[神]]劍) * [[견양검]]([[甄]][[良]]劍) * [[견용검]]([[甄]][[龍]]劍) * [[무토 켄고]]([[無]][[桐]] 剣[[午]]) * [[미츠루기 레이지]]([[御]]剣 [[怜]][[侍]]) * [[미츠루기 신]]([[御]]剣 [[信]]) * [[바 켄세]]([[馬]] 剣[[星]]) * [[박보검]]([[朴]][[寶]]劍) * [[예젠잉]]([[葉]]劍[[英]]) * [[켄자키 츠루기]](剣[[先]] ツルギ) * [[코켄]]([[鋼]]剣) * [[쿠루야시키 켄파치]]([[刳]][[屋]][[敷]] 剣[[八]]) * [[타테 켄토]]([[楯]] 剣[[人]]) * [[일본의 성씨]]와 이름 [[츠루기]] (剣) - 성씨에서 가끔 鶴来를 쓰기도 한다. * [[츠루기 미스미]] (剣ミスミ), [[츠루기 젠지로]] (剣 ゼンジロウ), [[츠루기 쿄스케]] (剣城 京介), [[카미시로 츠루기]] (神代 剣), [[킨조 츠루기]] (金城剣)··· * [[일본의 성씨]] 켄모츠/켄모치 (剣持) * [[일본의 성씨]] [[켄자키]] (剣崎) * [[켄자키 마코토]] (剣崎 真琴), [[켄자키 카즈마]] (剣崎 一真) === [[지명#s-2]] === === [[창작물]] === * [[천총운검]] (天叢雲剣) * [[토츠카노츠루기]] (十束剣) * 魔剣使いの元少年兵は、元敵幹部のお姉さんと一緒に生きたい([[마검사인 전 소년병은, 전 적 간부 누나와 함께 살고 싶어]]) === 기타 === * [[조선제일검]]([[朝]][[鮮]][[第]][[一]]劍) === [[중국어]] === * 剑 [jiàn] * 명) 양날칼, 날붙이, 큰 칼 * 예시 * 手里剑 [shŏulĭjiàn] : 수리검 * 对剑 [duìjiàn] : 칼싸움 * 长剑 [chángjiàn] : 장검 * 花剑 [huājiàn] : 플뢰레 * 剑道 [jiàndào] : 검도 * 剑法 [jiànfǎ] : 검법 * 剑术 [jiànshù] : 검술 * 剑仙 [jiànxiān] : 검선 * 横磨剑 [héngmójiàn] : 정예부대 == 유의자 == * [[刀]](칼 도) * [[刃]](칼날 인)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儉]](검소할 검) * [[檢]](검사할 검) * [[驗]](시험 험) * [[險]](험할 험) [[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