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包}}}쌀 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勹|{{{#000,#fff 勹}}}]],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巳]] 부분이 [[己]]의 형태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ホ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つつ-む, {{{#c88 くる-む}}}}}}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ā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包는 ''''쌀 포''''라는 한자로, '싸다(pack)', '감싸다', '용납하다'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선 U+5305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PRU(心口山)로 입력한다. [[勹]](쌀 포)와 [[巳]](뱀 사, 여기서는 뱃속의 아이)가 결합된 [[회의자]]로 뱃속의 아이를 감싸다는 뜻이다. 한자의 음부로 자주 쓰인다. 이 때 대부분의 한자의 음이 '포'이다. 대표적인 한자로 [[胞]](세포 포), [[抱]](안을 포), [[砲]](대포 포) 등이 있다. 특이하게도 [[雹]]([[우박]] 박)만은 '[[박]]'으로 읽는다. [[장기]]에서도 包가 존재한다. 전후좌우로 한 개의 말을 뛰어넘어 이동하는 특징을 보면 砲를 줄인 모양으로 보인다. [[샹치]]에선 砲와 炮를 쓴다. == 용례 == === [[단어]] === * '''[[포]](包)''' * [[공포]]([[空]]包/[[栱]]包/[[拱]]包) * 내포([[內]]包) * [[면포]]([[面]]包) * [[소롱포]]([[小]][[籠]]包) * [[소포]]([[小]]包) * [[육포]]([[肉]]包) * [[포경]](包[[莖]]) * 포괄(包[[括]]) * [[포괄보조금]](包[[括]][[補]][[助]][[金]]) * [[포대]](包[[袋]]) * 포섭(包[[攝]]) * 포섭검사(包[[攝]][[檢]][[査]]) * 포섭반응(包[[攝]][[反]][[應]]) * 포섭판단(包[[攝]][[判]][[斷]]) * 포용(包[[容]]) * [[포위]](包[[圍]]) * [[포장]](包[[藏]]/包[[裝]]) * [[포함]](包[[含]]/包[[涵]]) === [[고사성어]]/[[숙어]] === * 팔포대상([[八]]包[[大]][[商]]) * 포장화심(包[[藏]][[禍]][[心]]) === [[인명]] === * [[단치쿠 류호]]([[段]][[竹]] [[竜]]包) * [[스에카네 쇼타]]([[末]]包 [[昇]][[大]]) * [[스에카네 쿠미코]]([[末]]包 [[久]][[美]][[子]]) * [[신포시(申包翅)|신포시]]([[申]]包[[翅]]) * [[오오카네히라 나가메]]([[大]]包[[平]] ながめ) * [[포도을]](包[[道]][[乙]]) * [[포증]](包[[拯]]): 판관 포청천(包靑天)의 본명 === [[지명#s-2]] === *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포암길([[全]][[羅]][[北]][[道]] [[南]][[原]][[市]] [[水]][[旨]][[面]] 包[[岩]]-) === [[창작물]] === * [[바오(KOF)|바오]](包) - KOF 시리즈 === 기타 === * 포장(包[[將]]): [[장기]] 용어. === [[일본어]] === ==== [[훈독]] ==== * 包(つつ)む: 감싸다, 포장하다, 두르다, 포위하다. * 包(くる)む: 감싸다, 둘러싸다. * 包(くる)める: 뭉뚱그리다, 교묘히 속이다. 包む는 음식이나 물건 따위를 '포장'한다는 뜻이 있어서, 가게 같은 곳에 가서 '싸 주세요.'라고 부탁하고 싶다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包んでください'라고 하면 된다. === [[중국어]] === * [[멘보샤]]([[麵]]包[[蝦]]) * [[폭찹번|쭈빠빠오]]([[猪]][[扒]]包) == 유의자 == * [[裹]](쌀 과)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句]](글귀 구) * [[旬]](열흘 순)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