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匕}}}비수 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匕,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ヒ}}}}}}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さじ}}}}}}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ǐ{{{#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匕-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비수 비. 숟가락을 뜻하는 한자이다. [[설문해자]]에서는 본의는 '서로 더불어 견주어 펼쳐놓다(나란히 조밀하게 순서짓다)'는 뜻이고, 사람(人)을 뒤집은 형상을 따랐으며 지금은 밥 먹을 때는 사용하는 도구, 즉 숟가락의 뜻으로 쓰고 있다고 해설하였다.[*원문 相與比敘也。从反人。匕,亦所以用比取飯,一名柶。凡匕之屬皆从匕。卑履切] [[갑골문]]에서도 [[전서|소전]]과 마찬가지로 사람(人)을 좌우로 뒤집은 모양이라서 본의는 물론이고 숟가락이나 비수와도 연관성이 적다. 이를 두고 팔을 굽혀 엎드린 사람의 모습을 본떠 신분이 낮은 부녀를 뜻하는 것이 본의로 妣자의 원형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匕의 본의는 妣가 대체하고, 갑골문 중에 손잡이가 긴 칼과 손을 합쳐서 밥을 떠먹는 도구를 나타낸 글자(刀+又)를 잘못 대체하면서 '숟가락'의 뜻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다.[* 숟가락은 중국에서 기원전 5천년 경부터 존재했던 유서 깊은 식기류다.] [[유니코드]]는 U+531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UH(山竹)로 입력한다. 대만에서는 삐침 부분을 그냥 一로 쓴다. 가타카나 [[ヒ]] 하고 닮았다. [* 심지어 음독까지 ヒ다!] == 자형 == || [[파일:匕-oracle.svg.png]] || [[파일:匕-bronze.svg.png]] || [[파일:匕-bigseal.svg.png]] || [[파일:匕-seal.svg.png]] || ||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 소전체 || == 용례 == === [[단어]] === * [[비수]](匕[[首]]): '비수를 꽂다'의 그 비수이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비수비부 강희자전 안에 21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19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 부수 예 === ||추가 획||한자|| ||기본자||匕(비수 비)|| ||2획||[[化]](될 화)|| ||3획||[[北]](북녘 북)|| ||9획||匘(두뇌 뇌)[* [[腦]](골 뇌)의 [[이체자]].] 匙(숟가락 시)||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비수비부 * 중국: [ruby(匕部, ruby=bǐbù)] * 일본: ひ、さじ、さじのひ * 미국: Radical Spoon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1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