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卓}}}높을 탁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十|{{{#000,#fff 十}}}]],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タク, {{{#c88 シツ}}}}}}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すぐ-れる, つくえ}}}}}}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huō{{{#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卓은 ''''높을 탁''''이라는 [[한자]]로, '높다', '[[탁자]](卓子)' 등을 뜻한다. == 상세 == 卓에서 [[桌]](탁자 탁)이 파생되었다. == 부수 == 卓 자체는 부수자가 아니지만, 이 글자의 [[이체자]]인 𠦝(龺; 朝 韓 乾 등의 변 부분)은 중국 한정으로 부수자이다. 다만, [[강희자전]]에서부터 부수로 분류되었던 건 아니고, 오늘날의 중국에서 [[간체자]] 체계에 맞게 부수를 대거 정리하면서 신설된 부수이다. == 용례 == === [[단어]] === * 2음절 * [[食]]卓([[식탁]]) * 卓[[子]]([[탁자]]) * 卓[[球]]([[탁구]]) * [[圓]]卓(원탁) * 卓[[上]](탁상) * [[敎]]卓(교탁) * 卓[[越]](탁월) * 卓[[效]](탁효) * [[茶]]卓(다탁) * 卓[[見]](탁견) * [[書]]卓(서탁) * 3음절 * [[食]]卓[[褓]](식탁보) * 卓[[球]][[部]](탁구부) * 卓[[越]][[性]](탁월성) * 卓[[球]][[館]](탁구관) * 卓[[越]][[風]](탁월풍) * 卓[[子]][[式]](탁자식) * 4음절 * [[圓]]卓[[會]][[議]](원탁회의) * 卓[[上]][[空]][[論]](탁상공론) * 卓[[上]][[時]][[計]](탁상시계) * [[應]][[接]]卓[[子]](응접탁자)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사람 이름이나 성씨에도 쓰인다. 성이 [[탁씨]]이고 이 글자를 쓰는 사람에 대한 자세한 건 [[탁씨|문서 참조]]. * [[고현탁]]([[高]][[賢]][[卓]]) * [[김탁구]]([[金]]卓[[求]]) * [[나원탁]]([[羅]][[元]]卓) * [[닝닝|닝이줘]]([[宁]][[艺]]卓) * [[동탁]]([[董]]卓) * [[둥팡줘]]([[董]][[方]]卓) * [[류중탁]]([[柳]][[重]]卓) * [[영탁|박영탁]]([[朴]][[永]]卓) * [[서문탁]]([[西]][[門]]卓) * [[소합탁]]([[蕭]][[合]]卓) * [[에가와 스구루]]([[江]][[川]] 卓) * [[왕쉬줘]]([[王]][[旭]]卓) * [[이타쿠라 스구루]]([[板]][[倉]] 卓) * [[채탁연]]([[蔡]]卓[[妍]]) === 기타 === * [[망탁조의]]([[莽]]卓[[操]][[懿]]) == 유의자 == * [[高]](높을 고) * [[隆]](높을 륭) * [[崇]], [[嵩]](높을 숭) * [[峨]](높을 아) * [[嵬]](높을 외) * [[尊]](높을 존) * [[峻]](높을 준) * [[亢]](높을 항) == 상대자 == * [[卑]](낮을 비) * [[低]](낮을 저)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車]](수레 거/차) * [[桌]](탁자 탁) * [[草]](풀 초) [[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