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C22926> {{{#!wiki style="margin:5px" [[스핏츠|{{{#fff {{{-1 '''스핏츠의 정규 앨범'''}}}}}}]]}}} || || {{{#000,#fff ←}}} ||<|2><#C22926> {{{#fff {{{-1 '''2집'''}}}[br]{{{+1 ''' ''名前をつけてやる'' '''}}}[br]{{{-1 (1991)}}}}}} || {{{#000,#fff →}}} || || {{{#000,#fff {{{-1 '''1집'''}}}[br][[スピッツ|{{{#000,#fff {{{-1 ''' ''スピッツ '' '''}}}}}}]][br]{{{-1 (1991)}}}}}} || {{{#000,#fff {{{-2 3집}}}}}}[br][[惑星のかけら|{{{#000,#fff {{{-1 ''' ''惑星のかけら'' '''}}}}}}]][br]{{{#000,#fff {{{-2 (1992)}}}}}} || ||<-2><#C22926> '''{{{#fff {{{+1 名前をつけてやる}}}}}}'''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名前をつけてやる.jpg|width=100%]]}}} || || '''발매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8px]] [[1991년]] [[11월 25일]]|| || '''녹음일''' ||[[1991년]] [[6월 26일]] ~ [[1991년]] [[7월 25일]]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쟁글 팝]] || || '''재생 시간''' ||38:46 || || '''곡 수''' ||12곡 || || '''프로듀서''' ||[[스핏츠]][br]타카하시 노부히코|| || '''레이블''' ||폴리도르 || [목차][clearfix] == 개요 == >스핏츠는 일본국 최초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이며, 향후 10년 이상에 걸쳐 일본에 출현하는 이 앨범의 팔로워 중에서, 이 작품에 도달하는 존재는 전무하다. >---- >SNOOZER 편집장 타나카 소이치로, 2003년 일본의 록 밴드 [[스핏츠]]의 두 번째 정규 앨범. == 상세 == 전작으부터 8개월의 기간을 거쳐 발매됐다. 데뷔 앨범이 흥행에 크게 실패했기 때문에, 프리 프로덕션을 한 후에 레코딩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번에도 전작에 이어 [[오리콘 차트]]에서 100위권 밖을 기록하고 말았다. 기본적으로는 1집의 연장선상에 있는 앨범이다. 음악적으로는 기타 사운드가 메인이지만 어딘가 모르게 음울한 이미지가 있었던 전작에 비하면 멜로디가 전체적으로 다소 밝은 편이다. 또한 당시 쿠사노가 영향을 받았던 [[라이드]],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등의 [[슈게이징]]과 전작에서도 엿볼 수 있었던 [[쇼와 시대]] 가요곡 요소를 조합한 '라이드 가요'를 목표로 만들어졌다. 스핏츠의 다른 작품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분위기가 있는 앨범이다.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스핏츠의 '초기 명반'으로 꼽히는 앨범이다. 기본적으로는 전작의 연장 같은 심플한 어쿠스틱과 [[일렉트릭 기타]]를 균형 있게 살린 듣기 좋은 멜로디가 전개되고 있다. 스핏츠다운 팝적인 곡뿐만 아니라 슈게이징이나 [[펑크 록]]의 요소를 도입한 곡도 있어서 수록곡이 굉장히 다채롭다. '마녀여행을 떠나다(魔女旅に出る)'의 오케스트라 편곡을 담당한 하세가와 토모키와 전면 콜라보를 전개하는 형태로 차기작 미니앨범 '오로라가 되지 못한 사람을 위하여(オーロラになれなかった人のために)'가 제작됐다. [[SNOOZER 선정 150대 명반]]에서 22위에 선정됐으며, 뮤직 매거진이 선정한 '일본의 1990년대 100대 명반'에서 90위에 선정됐다. [[https://rateyourmusic.com/list/littlepupil/music-magazine-the-90s-japanese-music-album-best-100/2/|#]] == 트랙 리스트 == ||
{{{#fff '''트랙'''}}} || {{{#fff '''곡명'''}}} || {{{#fff '''작사'''}}} || {{{#fff '''작곡'''}}} || {{{#fff '''편곡'''}}} || {{{#fff '''재생 시간'''}}} || || 1 || ウサギのバイク ||<|12> [[쿠사노 마사무네]] ||<|3> [[쿠사노 마사무네]] ||<|12> [[스핏츠]] || 3:28 || || 2 || 日曜日 || 2:36 || || 3 || 名前をつけてやる || 3:44 || || 4 || 鈴虫を飼う || 미와 테츠야 || 4:48 || || 5 || ミーコとギター ||<|7> 쿠사노 마사무네 || 2:46 || || 6 || プール || 3:52 || || 7 || 胸に咲いた黄色い花 || 3:24 || || 8 || 待ちあわせ || 2:58 || || 9 || あわ || 4:31 || || 10 || 恋のうた || 2:40 || || 11 || 魔女旅に出る || 3:59 || === ウサギのバイク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WJGCHe_608)]}}} || [[아르페지오]]로 시작하는 인트로가 인상적인 오프닝 곡. 쿠사노가 "좋아하는 노래"라고 코멘트하고 있는 곡이다. === 日曜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55m-RxlrCw)]}}} || 인디 시절 펑크 록을 했던 스핏츠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곡. === 名前をつけてやる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kVQN_P8qQvg)]}}} || 앨범의 타이틀 곡. === 鈴虫を飼う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9d7XZUmsESM)]}}} || 스핏츠의 기타리스트 미와 테츠야가 작곡한 노래. 나른한 분위기가 돋보이는 노래다. === ミーコとギタ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lRrhfIRygoM)]}}} || 난해한 가사와 사이키델릭한 멜로디가 인상적인 노래다. === プール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5OC7inONDgg)]}}} || 이 앨범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노래 중 하나다. 또한 [[쿠사노 마사무네]]의 명가사 중 하나로 꼽힌다. [[슈게이징]]에 영향을 받은 노래이기도 하다. === 胸に咲いた黄色い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MOcRW6ZdU_Q)]}}} || 기타 리프는 [[XTC]]의 'Mayor of Simpleton'에 대한 오마주다. 스핏츠의 기타리스트 미와 테츠야는 XTC의 광팬이다. === 待ちあわせ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a3MBpSuub4)]}}} || '日曜日'과 함꼐 이 앨범의 펑크 록 넘버다. === あわ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m6GlsLtOZo)]}}} || 쇼와 시대 가요곡에 영향을 받은 노래다. === 恋のうた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vruRrnYe7k)]}}} || 스핏츠가 펑크 노선을 그만두고 지금과 같은 음악 스타일로 변화하는 계기가 된 곡이다. 그래서 스핏츠의 역사를 이야기한다면 빼놓을 수 없는 곡이다. 또한 스핏츠의 노래중에서 드물 정도로 직설적인 러브송이다. === 魔女旅に出る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OJJYfdxSeg)]}}} || 선행 싱글곡. 선행 싱글곡인 만큼 팝적인 곡이다. 작곡가 하세가와 토모키가 오케스트라 편곡을 했다. 제목에 [[마녀]](魔女)가 들어갔지만 가사 속에는 일절 등장하지 않는다. [[분류:스핏츠]][[분류:1991년 음반]][[분류:일본의 록 음반]][[분류:얼터너티브 록]][[분류:쟁글 팝]][[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