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include(틀:한문의 어조사)]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哉}}}어조사 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口|{{{#000,#fff 口}}}]],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サ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か, かな, 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ā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哉는 ''''어조사 재''''라는 [[한자]]로, [[어조사]]로 쓰인다. == 상세 == [[한문]]에서 [[어조사]]로 쓰인다. 㦲(U+39B2), 㢤(U+38A4)의 본자(本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𢦏(다칠 재)[* 才와 戈의 합자인 𢦒의 간략형.]이 결합한 형성자다. 한자에 戈가 있는데 무엇인가를 끊는다는 의미가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말(口)을 자르는 것이니 중간에 쉬도록 하는 어조사가 되었다는 설명도 존재한다. [[유니코드]]에는 U+54C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IR(十戈口)로 입력한다. 한문에서의 哉는 어떠한 상황이 결정지어졌다는 것을 감탄조로 말하는 종결사로서 ‘~도다, ~구나’ 정도로 해석된다. 혹은 보통 의문사 豈와 어울려 '~인가'의 뜻으로도 쓸 수 있다. == 용례 == 한문투의 용례가 많다. 개중에는 '쾌재'처럼 자주 쓰는 단어도 있다. === [[단어]] === * 快哉(쾌재) '쾌재를 부르다'의 그 '쾌재'. 일상 한자어 중에서는 사실상 유일한 용례다. * 善哉(선재) '좋다 좋구나'의 한문투. * 哀哉(애재) '슬프도다'의 의미. * 乎哉(호재) 감탄을 표시하는 말. ~런가, ~로다. * 殆哉(태재) 위태로운 일. * 壯哉(장재) 굉장하여 감탄하는 말. * 矣哉(의재) ~이런가. ~인가. * 孰哉(숙재) '누구이겠느냐'의 뜻. * 可然哉(가연재) '그렇게 하오리까'의 뜻. * 哉生明(재생명) 음력 초사흘을 이르는 말. * 哉生魄(재생백) 음력 열엿샛날을 이르는 말. * 殆哉殆哉(태재태재) 몹시 위태로움을 이름. * 哀呼激哉(애호격재) 슬플 때나 탄식할 때 쓰는 말. '아, 슬프도다' 정도의 의미. * 天圓子將焉用哉(천원자 장언용재) '언제 쓰자는 하눌타리냐'의 뜻. '''아끼다 [[똥|X]]된다'''는 뜻으로 생각하면 된다. * 狗咬之雉將焉用哉(구교지치 장언용재) '개가 먹던 꿩을 어디에 쓰랴'의 뜻. 이미 더럽혀진 것은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는다는 의미. * 餠哉餠哉厥盒尤嘉(병재병재 궐합우가) 餠固餠矣盒兮尤美(병고병의합혜우미)와 동일한 뜻으로 알려졌다. '떡도 떡이려니와 그릇이 더 좋다'는 뜻으로, 내용도 좋지만 형식은 더 좋음을 이름. === [[고사성어]]/[[숙어]] === * 焉哉乎也(언재호야) [[천자문]] 마지막에 나온다. [[焉]]([[어찌 언]]), 哉(어조사 재), [[乎]]([[어조사 호]]), [[也]]([[잇기 야]]/[[어조사 야]]) 이 네 글자는 한문에서 문법적 기능을 담당하는데, 가장 자주 쓰이는 어조사라는 뜻이다. * 時哉時哉(시재시재) 좋을 때를 만나 감탄하는 소리. * 嗚呼痛哉(오호통재) '아, 슬프고 원통하다'의 한문투. 국어사전에도 실려 있다. [[한자능력검정시험]] 3급에서는 哉가 들어간 한자어를 이것 하나만 제시해 놓고 있다. * 天何言哉(천하언재) 하늘은 아무 말도 않지만 도를 행한다는 의미. === [[인명]] === ==== [[한국]] ==== * [[김민재]]([[金]][[玟]]哉) * [[심재학]]([[沈]]哉[[學]]) ==== [[외국]] ==== [[일본]]에서는 타쿠야, 카즈야, 준야 등 や(야)가 들어가는 이름에 [[也]](어조사 야)와 더불어 哉를 많이 쓴다. * [[기무라 타쿠야]]([[木]][[村]] [[拓]]哉) * [[우부야시키 카가야]]([[産]][[屋]][[敷]] [[耀]]哉) * [[우치다 고사이]]([[内]][[田]] [[康]]哉) * [[이이다 텐야]]([[飯]][[田]] [[天]]哉) * [[코지마 카즈야]]([[児]][[嶋]] [[一]]哉) * [[키무라 마사야(INI)|키무라 마사야]]([[木]][[村]] [[柾]]哉): [[INI]]의 멤버 * [[테라다 타쿠야]]([[寺]][[田]] [[拓]]哉)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戴]](일 대) * [[胾]](고깃점 자) * [[裁]](마를 재) * [[載]](실을 재) * [[栽]](심을 재) * [[臷]](늙은이 질)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𪃘]](솔개 연)[* [[鳶]](솔개 연)의 [[동자#s-2]]] * [[渽]](강이름 재) * [[睵]](볼 재/채) * [[𦳦]]/[[𥯒]]/[[𣖋]](심을 재) * [[賳]](재물 재) * [[𠼷]] * [[𣈻]] * [[𦞁]] * [[𧛷]] * [[𦖱]] * [[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