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坑}}}구덩이 갱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土|{{{#000,#fff 土}}}]],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あな}}}}}}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kē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구덩이 갱(坑)'''. '[[구덩이]]', '갱도'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구덩이 || || {{{-1 '''음'''}}} ||갱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kēng || || {{{-1 '''[[광동어]]'''}}} ||haang^^1^^ || || {{{-1 '''[[객가어]]'''}}} ||hâng || || {{{-1 '''[[민북어]]'''}}} ||káng || || {{{-1 '''[[민동어]]'''}}} ||kăng || || {{{-1 '''[[민남어]]'''}}} ||khiⁿ[* 타이베이 등], kheⁿ[* 가오슝 등] || || {{{-1 '''[[오어]]'''}}} ||khan (T1), khaan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コウ || || {{{-1 '''훈독'''}}} ||''あな'' || ||<-3> || ||<-2> '''[[베트남어]]''' ||khanh || [[유니코드]]에는 U+575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GYHN(土卜竹弓) 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土]](흙 토)와 소리를 나타내는 [[亢]](목 항)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갱도(坑[[道]]) * 갱유(坑[[儒]]) * [[무저갱]]([[無]][[底]]坑) * [[병마용갱]]([[兵]][[馬]][[俑]]坑) * 사갱([[斜]]坑) * 탁갱([[濁]]坑) === [[고사성어]]/[[숙어]] === * 갱유분서(坑[[儒]][[焚]][[書]]) * [[분서갱유]]([[焚]][[書]]坑[[儒]]) === [[인명]] === === [[지명#s-2]] === == 유의자 == * [[坎]](구덩이 감)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忼]](강개할 강) * [[粇]](겨 강) * [[犺]](고슴도치 강) * [[𪎵]](누른빛 강) * [[牨]](물소 강) * [[䡉]](바퀴 홈 강) * [[𡵻]](산 이름 강) * [[䴚]]/[[𨟼]](소금밭 강) * [[砊]](우렛소리 강) * [[㽘]](지경 강) * [[𨈢]](키가 클 강) * [[阬]](구덩이 갱) * [[秔]](메벼 갱) * [[妔]](미녀 갱) * [[䋁]](두레박줄 경) * [[髚]](높을 고) * [[䭺]](놀랄 앙) * [[䶳]](우러를 약) * [[𧲪]](담비 학) * [[杭]]/[[𣃚]](건널 항) * [[𪐦]](검은 모양 항) * [[抗]](겨룰 항) * [[沆]](넓을 항) * [[炕]](마를 항) * [[吭]](목 항) * [[肮]](목구멍 항) * [[航]](배 항) * [[骯]](살찔 항) * [[蚢]](쑥누에 항/조개 항) * [[鈧]](스칸듐 항) * [[𪗜]](씹을 항) * [[伉]](짝 항) * [[魧]]/[[貥]](큰 자개 항) * [[䟘]](펼 항) * [[𥄦]](담) * [[𧦑]](항) * [[𪕇]](항) [[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