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塞}}}막힐 색, 변방 새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土|{{{#000,#fff 土}}}]], 1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サイ, ソ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ふさ-ぐ, ふさ-がる, {{{#c88 せ-く}}}}}}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āi, sài, s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막힐 색/변방 새(塞).''' '막히다', '변방'을 뜻하는 [[한자]]로서 두 개의 서로 다른 훈음이 모두 자주 쓰인다. == 상세 ==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막히다 ||변방 || || {{{-1 '''음'''}}} ||색 ||새 || ||<-4>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è[*文 [[문독]]] / sāi[*白 [[백독]]] ||sài || || {{{-1 '''[[광동어]]'''}}} ||sak^^1^^ ||coi^^3^^ || || {{{-1 '''[[객가어]]'''}}} ||set ||sai || || {{{-1 '''[[민북어]]'''}}} ||să̤ , cà̤ || || || {{{-1 '''[[민동어]]'''}}} ||sáik[*文] / sék[*白] ||sái || || {{{-1 '''[[민남어]]'''}}} ||sek[*文] / sat[*白] ||sài || || {{{-1 '''[[오어]]'''}}} ||seq (T4) ||se (T2) || ||<-4> || ||<|2> '''[[일본어]]''' || {{{-1 '''음독'''}}} ||ソク ||サイ || || {{{-1 '''훈독'''}}} ||ふさ-ぐ, ふさ-がる,[br]{{{#c88 せ-く, ふさ-げる}}} || || ||<-4> || ||<-2> '''[[베트남어]]''' ||tắc ||tái || [[유니코드]]에는 U+585E로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TCG(十廿金土)로 입력한다. 지금의 자형은 [[𡫳]]과 [[土]](흙 토)가 합한 글자다. 《설문해자》에서는 塞은 [[隔]]으로, 𡫳는 [[窒]]로, [[窒]]은 다시 塞으로 풀이해, 塞과 그 구성 요소인 𡫳이 호훈 관계로 나온다. 단옥재는 설문해자주에서 窒을 塞으로 풀이한 것은 잘못되었고 마땅히 𡫳으로 풀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𡫳은 채우다\[窒\], 塞은 막다\[隔\]를 뜻하는 별개의 글자이나 나중에 서로 혼용한 것이라고 보았다. 어쨌든 지금은 대개 𡫳와 塞을 같은 글자로 취급한다. 𡫳는 [[갑골문]]에서는 [[宀]](집 면), [[工]](장인 공), 工, 손을 나타내는 [[廾]](받들 공)이 합한 글자로 나오며, 전서에서 工과 工이 더 들어가 안쪽이 㠭(가지런할 전, [[展]]의 이전 형태)가 되었다. 이에서 집에 물건을 가지런히 '채운다', 또는 집을 물건으로 '막다'는 뜻이 나왔다.[* http://qiyuan.chaziwang.com/etymology-5212.html] 지금의 자형은 [[寒]](찰 한)과 [[冫]](얼음 빙)을 土로 바꾼 듯한 모양이라 자원을 이쪽에서 찾는 설명도 있지만[* http://www.hanj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295], 寒의 안쪽은 [[艸]](풀 초)가 두 번 들어간 것이라 이 글자와는 자원이 다르다. == 용례 == === [[단어]] === * 견새([[堅]]塞) * [[경색]]([[梗]]塞) * [[뇌경색]]([[腦]]梗[[塞]]) * [[심근경색]]([[心]][[筋]]梗[[塞]]) * 궁색([[窮]]塞) * [[어색]]([[語]]塞) * 옹색([[壅]]塞) * [[요새]]([[要]]塞) * 질색([[窒]]塞) * [[폐색]]([[閉]]塞) * [[장폐색]]([[腸]][[閉]]塞) * [[폐색 전선]]([[閉]]塞[[前]][[線]]) * [[폐색전증]]([[肺]]塞[[栓]][[症]]) === [[고사성어]]/[[숙어]] === * 발본색원([[拔]][[本]]塞[[源]]) * [[새옹지마]](塞[[翁]][[之]][[馬]]) === [[인명]] === * [[우스자와 사에]]([[臼]][[沢]] 塞) === [[지명]] === === 여담 === * 중국에서는 [se] 계열의 음을 대체로 塞로 적는다.[[https://zh.wikipedia.org/wiki/Wikipedia:%E5%A4%96%E8%AA%9E%E8%AD%AF%E9%9F%B3%E8%A1%A8/%E8%8B%B1%E8%AA%9E|#]] 한국의 유명한 인사 "[[안녕하세요]]"를 음차할 때 에도安宁哈'''塞'''哟[* 안닝하사이요]라 한다. * 중국어로 '시합, (게임, 스포츠 등의)경기'를 뜻하는 단어로 [[比]]赛[bǐsài]가 있는데, 한국어와 일본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단어이다. == 유의자 == * '''변방''' * [[邊]](가 변) * [[陲]](변방 수) * [[際]](즈음/가 제) * '''막다/막히다''' * [[拒]](막을 거) * [[錮]](막을 고) * [[杜]](막을 두) * [[防]](막을 방) * [[塞]](막을 색/막힐 색) * [[閼]](막을 알) * [[碍]]/[[礙]](막을 애) * [[禦]](막을 어) * [[壅]](막을 옹) * [[邕]](막힐 옹) * [[障]](막을 장) * [[沮]]/[[抵]](막을 저) * [[阻]](막힐 조) * [[窒]](막을 질) * [[滯]](막힐 체) * [[抗]](막을 항) == 상대자 == * '''변방''' * [[央]](가운데 앙) * [[中]](가운데 중)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褰]](걷어올릴 건) * [[謇]](떠듬거릴 건) * [[搴]](빼낼 건) * [[騫]](이지러질 건) * [[蹇]](절 건) * [[弿]](활 강할 건) * [[鶱]](훨훨 날 건) * [[賽]](굿할 새) * [[寨]](목책 채) * [[䗙]](지렁이 한) * [[寒]](찰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