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7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夏}}}여름 하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夊|{{{#000,#fff 夊}}}]],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7급 한자|{{{#000,#fff 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 (ゲ){{{#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なつ{{{#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ià{{{#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夏는 ''''여름 하''''라는 [[한자]]로, '[[여름]]'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여름 || || {{{-1 '''음'''}}} ||하 || ||<-3> || ||<|5>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xià || || {{{-1 '''[[광동어]]'''}}} ||haa^^6^^ || || {{{-1 '''[[객가어]]'''}}} ||ha || || {{{-1 '''[[민남어]]'''}}} ||hā || || {{{-1 '''[[오어]]'''}}} ||hhia (T3)[*文 [[문독]]] / hho (T3)[*白 [[백독]]] || ||<-3> || ||<|2> '''[[일본어]]''' || {{{-1 '''음독'''}}} ||カ, (ゲ) || || {{{-1 '''훈독'''}}} ||なつ || ||<-3> || ||<-2> '''[[베트남어]]''' ||hạ || [[유니코드]]에는 U+590F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ㄒㄧㄚˋ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MUHE(一山竹水)로 입력한다. 다음과 같은 이체자들이 있다. : 昰[* [[흥선대원군]]의 본명인 이하응의 하가 바로 이 한자를 쓴다.], 夓, 𠀼, 𠌘, 𠍺, 𡔰 등등. 일부 웹환경에서는 글자가 제대로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니 유의할 것.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A4%8F-oracl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A4%8F-bronz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A4%8F-bigseal.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px-%E5%A4%8F-seal.svg.png]] 夏는 머리혈(頁)과 느리게걸을 쇠(夊)부가 합쳐진 형상인데 원래는 머리를 두 손을 나타내는 [[臼]](절구 구)가 감싸는 형태였다.(夓) 이 원래 형태에 대한 해석으로는, 우두머리(頁)[* 관을 쓴 사람, 즉 우두머리라는 뜻이다.]가 무릎을 꿇고(夊) 두 손을 모아 비는(臼) 것으로 해석한다. 물론 여느 [[상형자]]들이 그렇듯이 정확한 해석은 사람마다 견해가 갈린다. 어떤 곳에서는 화려한 복식을 한 사람이 손발을 흔들어 춤을 추는 것을 형상화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후에 臼가 빠져 현재의 글자 형태로 정착 되었다. 원래 이 글자는 [[하나라|하(夏)나라]]를 가리키는 데에 쓰였고, 하나라 이외에도 중화(中華), 화하(華夏)을 일컫는 데 쓰였다. 그러나 이후에 '여름'이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본래 이 글자는 다음자(多音字)로, '하나라', '중화'의 의미를 지닐 땐 상성, '여름'이라는 뜻일 때는 거성으로 구별하여 읽으나, 현재 표준중국어에서는 濁上變去[* 성모가 전탁음(유성 파열음)인 상성의 성조가 거성으로 바뀜]로 인하여 성조 구분이 사라지고 전부 거성으로 읽는다. 한때 夏와 [[冬]](겨울 동)이 [[갑골문]]에서 발견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고대 중국에는 여름과 겨울이 없고 오직 봄과 가을 계절만 존재했다고 추측하기도 했으나 지금은 원형이 다 파악된 상태여서 설득력을 잃었다. 다만 여름과 겨울의 뜻은 후대에 추가된 것으로 보인다. == 용례 == === [[단어]] === * 계하([[季]]夏) * [[과하주]]([[過]]夏[[酒]]) * 만하([[晩]]夏) * 맹하([[孟]]夏) * [[동충하초]]([[冬]][[蟲]]夏[[草]]) * [[서하]]([[西]]夏) * [[서하문자]]([[西]]夏[[文]][[字]]) * [[염하]]([[炎]]夏) * [[입하]]([[立]]夏) * [[춘하추동]]([[春]]夏[[秋]][[冬]]) * [[하계]](夏[[季]]) * [[하복]](夏[[服]]) * 하안거(夏[[安]][[居]]) * 하야(夏[[夜]]) * 하우(夏[[雨]]) * 하절기(夏[[節]][[期]]) * [[하지]](夏[[至]]) * [[하지점]](夏[[至]][[點]]) === [[고사성어]]/[[숙어]] === * 성하지열([[盛]]夏[[之]][[熱]]) * 하로동선(夏[[爐]][[冬]][[扇]]) === [[인명]] === [[하(성씨)]] 참조. 일본에서는 인명으로 많이 쓴다. 훈독(なつ)이 여성스러워서인지 여성의 이름에 많이 쓰는 편. * [[게토 스구루]](夏[[油]] [[傑]]) * [[김주하]]([[金]][[柱]]夏) * [[김영하]]([[金]][[英]]夏) * [[김하은(아나운서)|김하은]]([[金]]夏[[恩]]) * [[나츠 드래그닐]](ナツ・ドラグニル) - 실제 '여름 하' 자를 쓰지는 않지만 이름의 유래가 이 한자인 것은 확실하다. * [[하연(가수)|김하연]]([[金]]夏[[衍]]) * [[나츠노]](夏[[野]]) * [[나츠메 나나]](夏[[目]] ナナ) * [[나츠메 마사코]] - 해당 문서의 두 항목 인물 모두 夏를 씀. * [[나쓰메 소세키]](夏[[目]] [[漱]][[石]]) * [[나츠야키 미야비]](夏[[焼]][[雅]]) * [[나츠키 리오]](夏[[樹]]リオ) * [[사나(TWICE)|미나토자키 사나]]([[湊]][[﨑]] [[紗]]夏) * [[박용하]]([[朴]][[容]]夏) * [[사이토 슈카]]([[斉]][[藤]] [[朱]]夏) * [[오하영]]([[吳]]夏[[榮]]) * [[이병하]]([[李]][[炳]]夏) * [[이시하라 카오리]]([[石]][[原]] 夏[[織]]) * [[이하영#s-3]]([[李]]夏[[榮]]) * [[이하응]]([[李]]昰[[應]]): 夏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昰를 쓴다. * [[정준하]]([[鄭]][[埻]]夏) * [[최규하]]([[崔]][[圭]]夏) - 제10대 [[대한민국 대통령]]. * [[히라지마 나츠미]]([[平]][[嶋]] 夏[[海]]) * [[후지요시 카린]]([[藤]][[吉]]夏[[鈴]]) === [[지명#s-2]] === * 린샤 시([[临]]夏[[市]]) - [[중국]]의 행정구역. * [[닝샤 후이족 자치구]] ([[宁]]夏[[回]][[族]][[自]][[治]][[区]]) - 중국의 성급 행정구 === [[창작물]] === * [[夏服]] * [[夏色えがおで1,2,Jump!]] * [[真夏の果実]] == 유의자 == * [[昰]](여름 하, 이 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憂]](근심 우) * [[頁]](머리 혈) * [[夐]](멀 형)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榎]](개오동나무 가) * [[𤧶]](옥 경) * [[𥧜]]^^[⿱穴夏]^^(품을 복) * [[𩡘]]^^[⿰香夏]^^(향기 복)[* [[馥]](향기 복)의 [[동자#s-2]]] * [[𣣺]]^^[⿰夏欠]^^(목쉴 사) * [[嗄]](잠길 사, 아 아, 먹을 하) * [[𢟜]]^^[⿱夏心]^^(근심 우)[* [[憂]](근심 우)의 [[동자#s-2]]] * [[𤹉]]^^[⿸疒夏]^^(문간방 하) * [[𧈄]]^^[⿺虎夏]^^/[[𠌘]]^^[⿰亻夏]^^(여름 하) * [[廈]]/[[厦]](큰집 하) * [[𦥍]]^^[⿰至夏]^^(경) * [[𥻴]]^^[⿺夏米]^^(화) * [[𡏘]]^^[⿰土夏]^^ * [[𡟺]] * [[𡺷]]^^[⿰山夏]^^ * [[𡙣]]^^[⿱大夏]^^ * [[𭔆]]^^[⿱宀夏]^^ * [[𭕥]]^^[⿸尸夏]^^ * [[𡕵]]^^[⿰夏兮]^^ * [[𭐲]]^^[⿰夏番]^^ * [[𭡲]]^^[⿰扌夏]^^ * [[𭱣]]^^[⿰氵夏]^^ * [[𤌤]]^^[⿰火夏]^^(하) * [[𦷜]] * [[𢥭]]^^[⿰意夏]^^ * [[𥔹]]^^[⿰石夏]^^ * [[𱵡]]^^[⿰示夏]^^ * [[𥜂]]^^[⿰⿱匕示夏]^^ * [[𥫏]]^^[⿺竟夏]^^ * [[𧏡]]^^[⿰虫夏]^^ * [[𱽅]]^^[⿰⿱舟𧾷夏]^^ * [[𲁲]]^^[⿰言夏]^^ * [[𮢩]]^^[⿰金夏]^^ * [[𪄂]]^^[⿰夏鳥]^^ * [[𮬆]]^^[⿰魚夏]^^ == 여담 == * 夏를 세 개 합치면 [[𡖃]]^^[⿱夏⿰夏夏]^^(여름 하)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