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嫪}}}사모할 로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女|{{{#000,#fff 女}}}]], 11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4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ロウ}}}}}}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c88 lào}}}}}}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모할 로(嫪).''' '사모하다', '시기하다'의 뜻이 있는 [[한자]]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AE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SMH(女尸一竹)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女]](계집 녀)와 음을 나타내는 [[翏]](높이 날 료)가 결합한 [[형성자]]다. 이 글자는 [[노애]](嫪毐)의 이름에 들어가며, 성이 嫪인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고, 嫪가 성적으로 방탕하여 여러 여자와 관계하는 남자를 뜻하여 노애가 그런 남자기에 이름에 嫪가 들어갔다는 설도 있다. == 용례 == === [[인명]] === * [[노애]](嫪[[毐]]) === [[창작물]] === * [[피아노(노래)|피아노]]([[彼]][[願]]嫪) == 유의자 == * [[戀]](그릴 련) * [[慕]](그릴 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㺒]](교활할 교) * [[嘐]](깨물 교, 클 효) * [[轇]](시끄러울 교) * [[璆]](옥경쇠 구) * [[摎]](묶을 규) * [[樛]](휠 규) * [[𩌭]](가죽질길 락) * [[䵏]](누른빛 로) * [[豂]](골깊을 료) * [[𦗖]](귀울 료) * [[蹘]](달릴 료) * [[賿]](돈 료) * [[𪖷]](들창코 료) * [[醪]](막걸리 료) * [[蟉]](머리흔들 료) * [[熮]](불타는모양 료/류) * [[膠]](아교 교) * [[髎]](엉덩이뼈 료) * [[嵺]](우뚝솟을 교, 쓸쓸할 료) * [[憀]](의뢰할 료) * [[謬]](그르칠 류) * [[鏐]](금 류) * [[漻]](맑고깊은모양 류) * [[䚧]](뿔굽을 류) * [[𠗽]](얼어곱을 류) * [[𪅡]](종달새 류) * [[疁]](화전 류) * [[磟]](농구이름 륙) * [[穋]](올벼 륙) * [[繆]](얽을 무, 어그러질 류) * [[㬔]](어길 호) * [[𢄪]] * [[𥉾]] == 여담 == * 어떤 부모가 자식 이름에 嫪를 쓰려다 [[인명용 한자]]가 아니라며 거부당하자, 이는 [[행복추구권]]을 침해한다며 [[헌법소원심판]]을 제기했으나 합헌 6, 위헌 3으로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6080418225897870&outlink=1&ref=https%3A%2F%2Fsearch.naver.com|합헌 판결이 나왔다.]] 이 일이 2016년의 일인데, 2023년 현재에도 嫪는 인명용 한자에 포함되지 않았다(...). 참고로 사건번호는 2015헌마964, 사건명은 '호적법 제49조 제3항 등 위헌확인 (자녀의 이름에 사용할 수 있는 한자 제한 규정)'이다. [[분류:급수 미배정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