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孰}}}누구 숙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子|{{{#000,#fff 子}}}]],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ジュク}}}}}}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いず-れ, たれ, つまび-ら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ú{{{#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孰은 ''''누구 숙''''이라는 [[한자]]로, '[[누구]]', '어느'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누구 || || {{{-1 '''음'''}}} ||숙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hú || || {{{-1 '''[[광동어]]'''}}} ||suk^^6^^ || || {{{-1 '''[[객가어]]'''}}} ||su̍k || || {{{-1 '''[[민북어]]'''}}} ||sŭ || || {{{-1 '''[[민동어]]'''}}} ||sṳ̆k || || {{{-1 '''[[민남어]]'''}}} ||sio̍k || || {{{-1 '''[[오어]]'''}}} ||zoq (T5) || ||<-3> || ||<|2> '''[[일본어]]''' || {{{-1 '''음독'''}}} ||''ジュク'' || || {{{-1 '''훈독'''}}} ||''いず-れ'' || ||<-3> || ||<-2> '''[[베트남어]]''' ||thục || 제물을 요리하는 모습을 본뜬 [[享]](누릴 향)과 사람의 모습을 본뜬 [[丮]](쥘 극)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丮이 [[丸]](알 환)으로 바뀌어서 지금의 꼴이 됐다. 설문해자에서는 [[𦎧]](익힐 순)의 소리를 딴 [[형성자]]라고 풀이했지만, 설문해자 외에는 𦎧에 들어가는 [[羊]](양 양)이 들어간 형태를 보기 어려워 착오로 보인다.[* [[https://n.sinaimg.cn/sinakd20220320s/390/w640h550/20220320/bc88-abd178df980c8da8f0f7e160f1ebcc98.jpg|《说文解字》541课:成语“是可忍,孰不可忍”中“孰”字何义? 삽입 자형 변천 그림]]] 원래는 '익히다'를 뜻했으나, 나중에는 '누구'의 뜻으로 가차되어 본 뜻을 나타내기 위해 [[火]](불 화)를 붙인 [[熟]](익을 숙)을 따로 만들었다. [[유니코드]]에는 U+5B70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DKNI(卜木大弓戈)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숙능(孰[[能]]) * 숙약(孰[[若]]) * 숙재(孰[[哉]]) * 숙지(孰[[知]]) === [[고사성어]]/[[숙어]] === * 미단숙영([[微]][[旦]]孰[[營]]) * 미지숙시([[未]][[知]]孰[[是]]) * 수원숙우([[誰]][[怨]]孰[[尤]]) * 숙능어지(孰[[能]][[禦]][[之]]) * 숙시숙비(孰[[是]]孰[[非]])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유의자 == * [[誰]](누구 수) * [[疇]](누구 주)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郭]](둘레/외성 곽) * [[𧰄]](누른빛 단) * [[𡦡]](담 도) * [[𨟞]](도읍 도)[* [[都]](도읍 도)의 [[동자#s-2]]] * [[𪏆]](누른빛 돈/단) * [[敦]](도타울 돈) * [[𤭞]](사발 돈) * [[𨿡]]/[[㝇]](메추라기 순) * [[鶉]](메추리 순) * [[㝄]](순수할 순)[* [[純]](순수할 순)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𢨊]](지경 역)[* [[域]](지경 역)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𠆔]](곁눈질할 예) * [[𤰎]](담 용)[* [[墉]](담 용)의 [[동자#s-2]]] * [[𠆞]](누린내 전) * [[嚲]](휘늘어질 타) * [[𣮢]](기) * [[𡦨]](담) * [[𢻓]](쟁) * [[𠆓]] * [[𡥹]] * [[𡦚]] * [[𡦟]] * [[𪧃]]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塾]]/[[𨶝]](글방 숙) * [[䃞]](돌이름 숙) * [[熟]](익을 숙) * [[𡙰]] * [[𪦝]] * [[𤍨]] * [[𤒙]] * [[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