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宋}}}성 송 / 송나라 송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宀|{{{#000,#fff 宀}}}]],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ソウ}}}}}}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ò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宋'''은 '''성 송''' 또는 '''송나라 송'''이라는 [[한자]]로, 국명과 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된다. * [[유니코드]]: U+5B8B * [[창힐수입법]]: JD(十木) * [[강희자전]]: 282페이지 12번째 글자[[http://www.kangxizidian.com/kangxi/0282.gif| ]] * [[교육용 한자]]: 미등재 * [[한자/인명용 한자표|인명용 한자]]: 등재 == 자원 == [[宀]]과 [[木]]의 합자. 각 부분은 [[지붕]]과 [[기둥]]을 뜻하며 이들이 합쳐져 [[집]]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지금은 [[가차]]되어 중국의 송 왕조나 한, 중의 성씨를 나타내는 한자로 사용되고 있다. == 출전 == ||<:>출전||<:>원문|| ||[[설문해자]]||居也。从宀从木。讀若送。蘇統切〖注〗臣鉉等曰:木者所以成室以居人也。|| ||청대[br]단옥재[br]설문해자주||(宋) 凥也。此義未見經傳。名子者不以國。而魯定公名宋。則必取其本義也。从宀木。讀若送。蘇綜切。九部。|| ||[[강희자전]]||《唐韻》《韻會》蘇統切《集韻》蘇綜切,音送。《說文》居也,从宀从木。《徐曰》木所以成室,以居人也。 又國名,微子所封地,卽閼伯之商丘。《左傳·昭十七年》宋,大辰之虛也。 又州名,隋置宋爲應天府,今河南歸德府是也。 又姓。|| == 용례 ==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송(성씨), 문단=s-2.1)]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683,494명, 전체 18위의 성씨(姓氏)다. 주요 본관으로는 [[여산 송씨|여산(礪山)]], [[은진 송씨|은진(恩津)]], [[청주 송씨|청주(淸州)]]등이 있다. === 국가명 === * [[송나라]] * '''[[북송]]''' - 5대 10국 분열기 이후 [[조광윤]]이 세운 나라. 가장 유명한, 대표적인 송나라일 것이다. * [[남송]] - 북송이 북송이라 불리는 이유(...). [[금나라]](여진족)에게 수도였던 카이펑이 함락되고 임안을 수도로 남하한 송나라. * [[춘추전국시대]]에 존재했던 [[송(춘추전국시대)]] * [[남북조시대]]에 존재했던 [[송(육조)]]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栄]](영화 영) [[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