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3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尖}}}뾰족할 첨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小|{{{#000,#fff 小}}}]],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セ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さき, するど-い, とが-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iā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尖은 ''''뾰족할 첨''''이라는 [[한자]]로, '뾰족하다', '첨단(尖端)' 등을 뜻한다. == 상세 == [[小]](작을 소)와 [[大]](큰 대)가 합쳐진 [[회의자]]로, 뿌리는 굵고 끝은 뾰족하다는 데서, '뾰족하다'라는 의미가 되었다. [[유니코드]]에는 U+5C16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FK(火大)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방첨주([[方]]尖[[柱]]) * 이첨판([[二]]尖[[瓣]]) * [[첨단]](尖[[端]]) * [[첨단공포증]](尖[[端]][[恐]][[怖]][[症]]) * 첨단산업(尖[[端]][[産]][[業]]) * 첨두(尖[[頭]]) * 첨두치(尖[[頭]][[値]]) * 첨예(尖[[銳]]) * 첨저선(尖[[底]][[船]]) * 첨저토기(尖[[底]][[土]][[器]]) * 첨점(尖[[點]]) * 첨체(尖[[體]]) * 첨탑(尖[[塔]]) === [[고사성어]]/[[숙어]] === * 석준장사권봉첨문장필([[石]][[蹲]][[壯]][[士]][[拳]][[峰]]尖[[文]][[章]][[筆]])[* 추구(推句)에 실린 글귀이다. '돌이 박혀 있는 것은 장사의 주먹이요, 봉오리의 뾰족함은 문장(文章)의 붓'이라는 뜻이다.] === [[인명]] === * [[카마키리 토가루]]([[鎌]][[切]] 尖) * [[토가나기 토가리]]([[咎]][[凪]] 尖[[離]]) === [[지명#s-2]] === * [[센카쿠 열도]](尖[[閣]][[列]][[島]]) * [[야우침몽구]]([[油]]尖[[旺]][[區]]) * [[침사추이]](尖[[沙]][[咀]]) * [[침사추이역]](尖[[沙]][[咀]][[站]]) === [[일본어]] === 일본어에서는 尖이 들어간 '''[[한자어]]'''를 표기할 때 대부분 尖 대신 [[先]](먼저 선)으로 표기한다. 예를 들면, '첨단'이라는 단어를 尖端이 아니라 先端으로 적는 것이다.[* 이 때문에 [[첨단공포증]]은 선단공포증으로 잘못 아는 사람도 많다.] 尖과 先 둘 다 [[음독#s-1]]이 セン이라서 한자를 바꿔도 발음은 변하지 않는다. 先으로 대체할 수 없는 경우는 지명 등의 고유명사나 종교 건축물의 일종인 尖塔([[첨탑]]) 정도밖에 없다. 이렇게 바꿔 사용하는 이유는 쇼와 31년(1956년)에 [[당용한자]]표 밖의 한자어가 포함된 단어를 사용할 때 발음이 같은 다른 한자로 바꾸어 사용하도록 고시했기 때문이다. [[https://www.bunka.go.jp/kokugo_nihongo/sisaku/joho/joho/kakuki/03/pdf/doon.pdf|관련 문화청 자료]] 그렇다고 현재 일본에서 尖이 쓰이지 않는 것은 아니며, [[센카쿠 열도]](尖閣列島)처럼 원래대로 尖을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상용한자]] 문서의 고시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듯 상용한자 외의 한자 사용이 금지되는 것은 아니며, 위의 문화청 자료 파일도 '사회에서 이렇게 사용하기를 희망한다'에 가까운 뉘앙스로 작성되어 있다. 참고로 상용한자 밖의 한자이나 인명용 한자에는 포함되어 있다. == 유의자 == * [[銳]](날카로울 예) == 상대자 == * [[鈍]](둔할 둔)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犬]](개 견) * [[尜]](팽이 가) * [[奀]](파리할 망) * [[夫]](사내 부) * [[美]](아름다울 미) * [[劣]](못할 렬) * [[省]](살필 성, 덜 생) * [[雀]](참새 작) == 여담 == * [[小]](작을 소)와 [[大]](큰 대)를 이용해 만든 한자로는 尖(뾰족할 첨) 외에도 [[夵]](위 크고 아래 작을 염), [[尜]](팽이 가), [[尛]](작을 마)가 있다. * 상반되는 뜻의 두 한자가 합쳐진 한자는 尖 말고도 [[卡]](지킬 가), [[夵]](위 크고 아래 작을 염)이 있다. 이 두 한자는 각각 [[上]](위 상)과 [[下]](아래 하), [[大]](큰 대)와 [[小]](작을 소)가 합쳐진 한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