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屆}}}이를 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尸|{{{#000,#fff 尸}}}]],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カ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とど-ける, とど-く{{{#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i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屆(이를 계)'''는 '이르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5C46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SUG(尸山土)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尸]](주검 시)와 음을 나타내는 글자 [[凷]](흙덩이 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한국에서는 잘 안 쓰이는 한자이다. 반면에 일본과 중국에서는 자주 쓰이며[* 일본어의 届く(とどく)는 '다다르다', 届ける(とどける)는 '신청하다'라는 뜻이며, 중국어의 届는 '때가 되다', '(서수로서의) 회(回), 차(次)'라는 뜻이다.], 凷를 由로 바꿔 届로 쓴다. == 용례 == === [[단어]] === * 선박입항계([[船]][[舶]][[入]][[港]]) * 숙박계([[宿]][[泊]]屆) * 계출([[屆]][[出]])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届け!シューティングスター☆]](닿아라! 슈팅 스타☆) * [[届かない星だとしても]](닿을 수 없는 별이라 해도) * [[届かなそうで届くもの]](닿지 않을 듯 닿는 것) * [[너에게 닿기를(만화)|君に届け]](너에게 닿기를)[* 직역하면 너에게 닿아라] === 기타 === == 유의자 == * [[到]](이를 도) * [[詣]](이를 예) * [[吊]](이를 적) * [[至]](이를 지) * [[着]](붙을 착) * [[致]](이를 치) * [[訖]](이를 흘)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𧆣]](단지 로) * [[㧂]](구멍 전) [[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