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3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巖}}}바위 암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山|{{{#000,#fff 山}}}]], 2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ガ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いわ, {{{#c88 いわお, がけ, けわ-し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á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巖은 ''''바위 암''''이라는 [[한자]]로, '[[바위]]'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5DD6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URRK(山口口大)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山]](메 산)과 음을 나타내는 [[嚴]](엄할 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속자]]로는 [[岩]](U+5CA9)이 있다. [[간체자]]와 [[신자체]]로 쓰인다. 한국에서도 흔히 쓰인다. == 용례 == === [[단어]] === * [[암각화]](巖[[刻]][[畫]]) * [[암석]](巖[[石]]) * 암석권(巖[[石]][[圈]]) * 암벽(巖[[壁]]) * [[암염]](巖[[鹽]]) * [[용암]]([[鎔]]巖) * [[화성암]]([[火]][[成]]巖) * 화산암([[火]][[山]]巖) * [[현무암]]([[玄]][[武]]巖) * 안산암([[安]][[山]]巖) * 유문암([[流]][[紋]]巖) * 심성암([[深]][[成]]巖) * 반려암([[斑]][[糲]]巖) * 섬록암([[閃]][[綠]]巖) * [[화강암]]([[花]][[崗]]巖) * 관입암([[貫]][[入]]巖) * [[퇴적암]]([[堆]][[積]]巖) * 역암([[礫]]巖) * 사암([[沙]]巖) * 응회암([[凝]][[灰]]巖) * [[석회암]]([[石]][[灰]]巖) * [[변성암]]([[變]][[成]]巖) * [[포획암]]([[捕]][[獲]]巖) === [[인명]] === * [[간토 카이지]](巌[[徒]] [[海]][[慈]]) * [[니시나 이와오]]([[仁]][[科]] 巌) * [[이와이 슌지]](岩[[井]] [[俊]][[二]]) * [[이와토 스즈메]](岩[[戸]] [[鈴]][[芽]]) * [[이흔암]]([[伊]][[昕]]巖) * [[최불암]]([[崔]][[佛]]岩) * [[호설암]]([[胡]][[雪]]巖) * [[후타츠이와 마미조]]([[二]]ッ[[岩]] マミゾウ) === [[지명#s-2]] === * 공식적으로 '''[[정자(한자)|정자]]''' 巖을 쓰는 경우 * [[영암군]]([[靈]]巖[[郡]]) * 공식적으로 '''[[약자]]''' 岩을 쓰는 경우 * [[응암역]]([[鷹]]岩[[驛]]) * [[안암역]]([[安]]岩[[驛]]) * [[장암역]]([[長]]岩[[驛]]) * [[암사역]](岩[[寺]][[驛]]) * [[철암역]]([[鐵]]岩[[驛]]) * [[암사동]](岩[[寺]][[洞]]) * [[상암동(서울)]]([[上]]岩[[洞]]) * 공식적으로 '''[[이체자]]''' 嵒을 쓰는 경우 * [[차암동]]([[車]]嵒[[洞]]) * [[이와테현]](岩[[手]][[県]]) === [[중국어]] === * 岩 [yán] * 명사 * 암석 예) 岩石 [yánshí] : 암석 == 이체자 == 이체자가 꽤나 많은 편. * 喦(말 많을 녑, 바위 암 / U+55A6) * 嵒(바위 암 / U+5D52): [[癌]](암 암)에 사용되었다. * 嵓(바위 암 / U+5D53) * 巌(바위 암 / U+5DCC) * 巗(바위 암 / U+5DD7) == 여담 == 교육부 지정 1800자 만화에서 [[고우영]] 화백 작품(교육부지정 상용 한자 1800 6권) 중 바위 암이라는 글자를 빠르게 쓰는 대회를 하는 내용이 있었는데, 1등은 속자를 쓴 사람([[무대랑]])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