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工}}}장인 공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工,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7급 한자|{{{#000,#fff 준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ウ, 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たくみ}}}}}}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gō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工-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장인 공(工)'''. '[[장인]](匠人)', '도구', '만들다, 짓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장인 || || {{{-1 '''음'''}}} ||공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gōng || || {{{-1 '''[[광동어]]'''}}} ||gung^^1^^ || || {{{-1 '''[[객가어]]'''}}} ||kûng || || {{{-1 '''민북어'''}}} ||gó̤ng || || {{{-1 '''민동어'''}}} ||gŭng[*文 문독] / gĕ̤ng[*白 백독] || || {{{-1 '''[[민남어]]'''}}} ||kong[*文 문독] / kang, khang[*白 백독] || || {{{-1 '''[[오어]]'''}}} ||kon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コウ, ク || || {{{-1 '''훈독'''}}} ||''たくみ'' || ||<-3> || ||<-2> '''[[베트남어]]''' ||công || [[유니코드]]에는 5DE5에 배당되어 있다. || [[파일:工-oracle.svg.png]] || [[파일:工-bronze.svg.png]] || [[파일:工-bigseal.svg.png]] || [[파일:工-seal.svg.png]] || || 갑골문 || 금문 || 대전체[* 전서가 아닌 예서나 해서로 된 간판이나 서예 작품 등에서 工을 쓸 때 '工' 자 대신 이 형태로 쓰기도 하는데, 工의 이체자(異體字)이다.[[http://dict2.variants.moe.edu.tw/yitia/yda/yda01148.htm#bm_006|#]]] || 소전체 || 工 자는 글자의 모양이 매우 단순해 무엇을 그린 것인지 학자들마다 이설이 분분하다. 후한(後漢)의 문자학자 허신(許愼)은 그의 저서 《설문해자(說文解字)》에서 최초로 이 글자를 곱자의 상형으로 풀이했다[* 工, 巧飾也。 象人有規榘也。 與巫同意。 (工은 교묘히 꾸민다는 뜻이다. 사람이 곱자를 갖고 있는 걸 본떴다. 巫 자와 뜻이 같다.)].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는 '곱자'를 뜻하는 矩(곱자 구) 자가 工을 사람(夫)이 손에 들고 있는 모습이라는 걸 근거로 한다. 그러나 이후 갑골문자와 금문자가 발견되고 갑골문자의 형태가 곱자와는 거리가 멀어 새로운 설들이 나왔는데, 대표적으로 한자왕국이라는 책을 저술한 스웨덴의 문자학자 [[세실리아 링크비스트]]는 工 자를 달구[* 땅을 단단히 다지는 데 쓰는 기구.]의 상형으로 보았다. 한자 중에서 달구를 뜻하는 글자는 䂫(달구 항) 자가 있는데 紅(붉을 홍)과 絳(진홍빛 강)의 관계(거의 같은 의미와 工과 夅/䂫)를 생각해보면 일리가 있다. [[エ]]와도 닮았는데, 이는 エ가 工을 구성 요소로 갖는 [[江]](강 강)에서 유래했으니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 용례 == === [[단어]] === * [[가공]]([[加]]工) * [[공고]](工[[高]]) * [[공과대학]](工[[科]][[大]][[學]]) * [[공구]](工[[具]]) * [[공단]](工[[團]]) * [[공대생]](工[[大]][[生]]) * [[공방]](工[[房]]) * [[공부]](工[[夫]]) * [[공사]](工[[事]]) * [[공사장]](工[[事]][[場]]) * 공산품(工[[産]][[品]]) * [[공업]](工[[業]]) * [[경공업]]([[輕]]工[[業]]), [[수공업]]([[手]]工[[業]]), [[중공업]]([[重]]工[[業]]) * [[공예]](工[[藝]]) * [[공작]](工[[作]]) * [[공작원]](工[[作]][[員]]) * [[공장]](工[[場]]) * 공정(工[[程]]) * [[공학]](工[[學]]) * [[기공]]([[起]]工) * [[목공]]([[木]]工) * [[배관공]]([[配]][[管]]工) * [[뱃사공|사공]]([[沙]]工/[[砂]]工) * [[상공부]]([[商]]工[[部]]) * 시공([[施]]工) * 완공([[完]]工) * [[이공계]]([[理]]工[[系]]) * [[인공]]([[人]]工) * [[인공위성]]([[人]]工[[衛]][[星]]) * [[인공호흡]]([[人]]工[[呼]][[吸]]) * [[인공지능]]([[人]]工[[智]][[能]]) * 준공([[竣]]工) * [[중공업]]([[重]]工[[業]]) * 착공([[着]]工) * [[치과기공사]]([[齒]][[科]][[技]]工[[士]]) === [[고사성어]]/[[숙어]] === * [[사농공상]]([[士]][[農]]工[[商]]) === [[창작물]] === * [[家內手工業 (가내수공업)]] === 기타 === * [[공태기]](工[[怠]][[期]]) * [[공신]](工[[神]]) * 순공([[純]]工) * 열공([[熱]]工)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장인공부 강희자전 안에 48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안에 17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 부수 예 === ||추가 획||한자|| ||기본자||工|| ||2획||[[左]] [[巧]] [[巨]]|| ||3획||巩 [[巪]]|| ||4획||[[巫]]|| ||7획||[[差]]|| ||9획||巯|| ||10획||巰||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장인공부 * 중국: [ruby(工部, ruby=gōngbù)] * 일본: こう, たくみ, たくみへん * 미국: Radical work == 유의자 == * [[匠]](장인 장)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干]](방패 간) * [[巫]](무당 무) * [[士]](선비 사) * [[于]](어조사 우) * [[土]](흙 토) [[분류:준7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