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1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巴}}}꼬리 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己|{{{#000,#fff 己}}}]], 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ハ}}}}}}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ともえ}}}}}}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ā{{{#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巴는 ''''꼬리 파, 바랄 파''''로, '바라다', '달라붙다' '큰 뱀' 등 뜻이 있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꼬리, 바라다 || || {{{-1 '''음'''}}} ||파 || ||<-3> || ||<|10>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bā || || {{{-1 '''[[광동어]]'''}}} ||baa^^1^^ || || {{{-1 '''감어'''}}} ||ba1 || || {{{-1 '''[[객가어]]'''}}} ||pâ || || {{{-1 '''진어'''}}} ||ba1 || || {{{-1 '''[[민북어]]'''}}} ||bá || || {{{-1 '''[[민동어]]'''}}} ||bă || || {{{-1 '''[[민남어]]'''}}} ||pa || || {{{-1 '''[[오어]]'''}}} ||pa (T1)[*文 [[문독]]] / po (T1)[*白 [[백독]]] || || {{{-1 '''상어'''}}} ||ba1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ハ}}} || || {{{-1 '''훈독'''}}} ||{{{#c88 ともえ}}} || ||<-3> || ||<-2> '''[[베트남어]]''' ||ba || [[유니코드]]에는 U+5DF4에 배정되었고, [[주음부호]]로는 ㄅㄚ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AU(日山)로 입력한다. 중국에서는 芭(파초 파), 笆(가시대 파), 粑(구운 음식 파)의 [[이간자]](二簡字)로 채택했다가 폐지되었다. 巴, 芭, 笆, 粑가 bā로 동음관계라 巴로 합쳤었다. == 뜻 == 본래는 '큰 뱀'을 뜻하고 '바라다' 등 다른 뜻이 파생되었으나, 이런 뜻으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중국어에서 꼬리를 尾巴라고 쓰지만, 이마저도 巴를 생략하고 尾라고만 쓰는 경우가 허다하다. 우리말 훈음에서 '꼬리 파'라고 하지만, 尾巴란 단어에서 巴는 '꼬리'란 뜻이 있는 글자가 아니라 '~와 관련 있는 것'이란 뜻인 접미사로 쓰였을 뿐이다. 또다른 예로 입(口)을 뜻하는 嘴巴란 단어도 있는데, 여기서도 입을 뜻하는 嘴에 접미사로 巴를 붙였고, 말린 [[육포]]나 육포로 만든 음식을 가리키는 干巴에서도 건조되었다는 뜻인 [[干]]에 역시 巴를 접미사로 붙였다. 따라서 巴를 '꼬리'라는 뜻으로 볼 수는 없다. '바라다'의 뜻도 巴到라는 단어로 쓰이기는 하나 이 표현은 일상에서 거의 쓰이지 않으며 일반적인 경우 그냥 望을 쓴다. 한국어에서 巴를 쓰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우선 과거 중국에서 음차한 한자어인 [[구라파]](歐羅巴)나 [[임파선]](淋巴腺) 이 두 개가 어느 정도 쓰이는 편이다. 그러나 구라파를 아예 한 글자로 줄여서 歐라고 표기할 때 외에는 구라파 대신 유럽이라고 하는 게 보통이다 보니 구는 좀 쓰여도 파는 별로 안 쓰인다. 임파선도 림프선으로 대체되면서 점점 밀려나는 중. 음차가 아닌 용례로 쓰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유별나게 자주 쓰이는 용례가 하나 있다. 바로 [[삼파전]](三巴戰).[* [[派]] 자를 사용한다고 많이 착각하곤 한다.]이라고 쓴다. 한국에서 잘 쓰지도 않는 이 한자가 갑자기 이런 단어에 들어있는 것은 이 단어가 일본에서 왔기 때문이다. 그나마 일본과 중국에서는 한국에 비하면 자주 쓰이는 편인데, 일본은 巴가 [[토모에]]라는 여자 이름과 [[미츠도모에]](三つ巴)로 인지도가 있는 편이고, 중국에서는 앞서 말했듯이 중국어 단어에 잘 안쓰이는데 획이 단순해서인지 외국어 음차에 자주 쓰인다.[* [[브라질]](巴西), [[파키스탄]](巴基斯坦), [[파나마]](巴拿马), [[레바논]](黎巴嫩), [[스타벅스]](星巴克), [[버스]](巴士) 등등] == 기원 == 거대한 뱀의 모습을 본땄다. 따라서 상형자이고, 예서 때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춘다. == 용례 == === [[단어]] === * [[구라파]]([[歐]][[羅]]巴) * [[임파]]([[淋]]巴) * [[임파선]]([[淋]]巴[[腺]]) * [[임파선염]]([[淋]]巴[[腺]][[炎]]) * [[삼파전]]([[三]]巴[[戰]]) === [[인명]] === * [[유키시로 토모에]]([[雪]][[代]] 巴) * [[유파]]([[劉]]巴) * [[카리쥬쿠 토모에]]([[狩]][[宿]] 巴) * [[토모에 린타로]](巴 [[倫]][[太]][[郎]]) * [[토모에 케이]](巴 [[奎]][[依]]) * [[토키 쿠레하]]([[土]][[岐]] [[紅]]巴) * [[파달]](巴[[達]]) * [[파림 미약]](巴[[林]] [[湄]][[若]]) * [[혼고 유즈하]]([[本]][[郷]] [[柚]]巴) === [[지명#s-2]] === * [[파]](巴)나라 * 파산동(巴[[山]][[洞]]): 대구광역시 달서구 [[호산동]]의 과거 명칭. 破産이 연상된다는 민원이 빗발쳐 바꾸었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인근 성서공단에 있었던 [[삼성상용차]]가 실제로 망했다. * [[파촉]](巴[[蜀]]) * [[바중시]](巴中市) * [[바난구]](巴南区) == 유의자 == * '''꼬리''' * [[尾]](꼬리 미) * '''바라다''' * [[冀]](바랄 기) * [[望]](바랄 망) * [[欲]](바랄 욕, 하고자 할 욕) * [[慾]](욕심 욕) * [[願]](원할 원) * [[希]](바랄 희)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己]](몸 기) * [[芑]](흰차조 기) * [[巳]](뱀 사) * [[已]](이미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