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帨}}}수건 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巾|{{{#000,#fff 巾}}}]],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특급 한자|{{{#000,#fff 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セ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88 shuì}}}}}}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帨는 ''''수건 세''''라는 [[한자]]로, '[[수건]]'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E2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LBCRU(中月金口山)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巾]](수건 건)과 음을 나타내는 [[兌]](바꿀 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세반(帨[[鞶]])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일본어]] === ==== [[훈독]] ==== ==== [[음독#s-1]] ==== === [[중국어]] === === 기타 === == 유의자 == * [[巾]](수건 건) * [[𢁪]](수건 결) * [[𢂶]](수건 경) * [[帓]](수건 말) * [[㡝]](수건 봉) * [[𢅮]](수건 섬) * [[𢄢]]/[[𢄣]](수건 세) * [[𢃰]](수건 시) * [[𢁱]](수건 요) * [[𢅟]](수건 의) * [[𢂕]](수건 취) * [[𢁻]](수건 포) * [[㠵]](수건 황)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𣇋]](저물 만) * [[說]](말씀 설, 달랠 세) * [[哾]](맛볼 설) * [[䬽]](강신제 세, 제사이름 유/휴/서/뢰) * [[稅]](세금 세) * [[𨁑]](세금 세, 가시밟을 열) * [[裞]](수의 세) * [[挩]](씻을 세, 칠 탈) * [[祱]](작은제사 세/서, 문제 뢰) * [[涗]](잿물 세) * [[蛻]](허물 세/태) * [[悅]](기쁠 열) * [[𧇓]](범잠잘 열) * [[䂱]](갈아없앨 예) * [[銳]](날카로울 예) * [[𠮄]](짧은모양 철) * [[侻]](가벼울 탈, 알맞을 태) * [[梲]](막대기 탈, 동자기둥 절) * [[脫]]/[[𨉋]](벗을 탈) * [[鮵]](작은가물치 탈) * [[𩊭]](기울 태) * [[㟋]](깊고펀펀한모양 태) * [[駾]](말빨리달릴 태) * [[綐]](명주 태) * [[㙂]](바꿀/기쁠 태, 담이무너질 현) * [[𥹲]](싸라기 태) * [[娧]](아름다울 태) * [[𩎰]](자루 혜) * [[𪡜]] * [[𨹪]] * [[𥆟]] * [[𥡉]] * [[𦩃]] * [[𨌔]] * [[𫎙]] == 여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