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帶}}}띠 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巾|{{{#000,#fff 巾}}}]],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タ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お-びる, おび{{{#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ài{{{#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띠 대(帶)'''. '띠', '띠를 두르다', '데리다'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띠 || || {{{-1 '''음'''}}} ||대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dài || || {{{-1 '''[[광동어]]'''}}} ||daai^^3^^ || || {{{-1 '''[[객가어]]'''}}} ||tai || || {{{-1 '''[[민북어]]'''}}} ||duo̿i || || {{{-1 '''[[민동어]]'''}}} ||dái || || {{{-1 '''[[민남어]]'''}}} ||tòa, tè[*白 [[백독]]] / tài[*文 [[문독]]] || || {{{-1 '''[[오어]]'''}}} ||te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タイ || || {{{-1 '''훈독'''}}} ||お-びる, おび || ||<-3> || ||<-2> '''[[베트남어]]''' ||đái || [[유니코드]]에는 U+5E3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KPBLB(大心月中月)로 입력한다. 허리띠를 두르고 있는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자]]이다. 위 부분은 장식이 달린 허리띠의 모양을 본떴으며, 아래쪽은 말 그대로 수건, 헝겊 등을 본떠 만든 [[巾]](수건 건) 자이다. 원래는 '띠'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으나, 의미가 파생되어 '특정 지대', '띠를 두르다', 더 나아가 '데리다', '휴대하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총검|대검]](帶[[劍]]): 소총 앞에 꽂는 단검. 허리띠에 차는 방식으로 휴대한다. * [[대분수]](帶[[分]][[數]]) * [[인대]]([[靭]]帶) * [[십자인대]]([[十]][[字]][[靭]]帶) * 지대([[地]]帶) * 세대([[世]]帶)[* 世帶는 현실적으로 주거 및 생계를 같이하는 사람의 집단을 뜻하며, '가구(家口)'와 같은 뜻이다. 특정 연령대를 이야기하는 '세대'는 '世代'로 쓴다.] * 휴대([[携]]帶) * [[휴대전화]]([[携]]帶[[電]][[話]])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아네타이 토요네]]([[姉]]帯 [[豊]][[音]]) * [[오비시마 유카리]](帯[[島]] ユカリ) * [[이대은]]([[李]]帶[[溵]]) * [[쿠노 타테와키]]([[九]][[能]] 帯[[刀]]) === [[지명#s-2]] === * [[오비히로]](帯[[広]]) * [[니시오비히로역]]([[西]]帯[[広]][[駅]]) === [[창작물]] === === 기타 === * [[황금시간대]]([[黃]][[金]][[時]][[間]]帶) == 유의자 == * [[𦃝]](띠 계) * [[緄]](띠 곤, 오랑캐이름 혼) * [[䌟]](띠 벽) * [[𡻺]](띠 엽) * [[䋼]](띠 영) * [[𦆦]](띠 의) * [[䌵]](띠 촉) * [[緳]](띠 협)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