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年}}}해 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干|{{{#000,#fff 干}}}]],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8급 한자|{{{#000,#fff 8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ネ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とし, {{{#c88 とせ}}}}}}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niá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해 년(年).''' [[연도|해]], [[시대]], [[나이]]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해 || || {{{-1 '''음'''}}} ||년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nián || || {{{-1 '''[[광동어]]'''}}} ||nin^^4^^ || || {{{-1 '''[[객가어]]'''}}} ||ngièn || || {{{-1 '''[[민북어]]'''}}} ||nîng || || {{{-1 '''[[민동어]]'''}}} ||nièng || || {{{-1 '''[[민남어]]'''}}} ||liân[*文 [[문독]]] / nî[*白 [[백독]]] || || {{{-1 '''[[오어]]'''}}} ||nyi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ネン || || {{{-1 '''훈독'''}}} ||とし, {{{#c88 とせ}}} || ||<-3> || ||<-2> '''[[베트남어]]''' ||niên || [[유니코드]]에는 U+5E74에 배정되어 있다. || [[파일:年(갑골).svg|width=100]] || [[파일:年(금문).svg|width=100]] || [[파일:年(소전).svg|width=100]] || || [[갑골문]] || [[금문]] || [[소전]] || [[갑골문]]을 보면 [[禾]](벼 화)와 [[人]](사람 인)이 합쳐진 [[회의자]]다. 벼를 짊어진 사람을 통해 '한 해'의 수확과 마무리를 나타낸 글자이다. [[금문]]의 자형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갑골문과 똑같은 경우도 있지만 人의 중간에 점이나 짧은 가로획이 그어진 것도 있다. 이 때문에 [[소전]]에서는 人에 긴 가로획이 그어진 [[千]]으로 바뀌었고, 갑골문을 접하지 못한 [[허신]]은 [[설문해자]]에서 뜻을 나타내는 禾와 소리를 나타내는 千이 합쳐진 [[형성자]]로 해석하기도 했다. [[이체자]] [[秊]]( U+79CA, ⿱禾千)에 소전의 자형이 남아있다. 방패 간([[干]]) 부수에 속해 있으나 자형 때문에 그렇게 분류된 것일 뿐 방패와는 관련이 없다. 필순이 독특한데, 맨 위의 𠂉을 쓴 다음에 가운데에 있는 一을 쓰고 그 왼쪽 아래에 있는 丨을 쓰고 나서 맨 아래쪽 一을 쓰고 마지막으로 가로획들을 모두 꿰뚫는 세로획 丨을 써야 한다. 가운뎃부분을 쓸 때 一 아래쪽 丨을 먼저 쓰기 쉬운데, 틀린 필순이다. 《[[이아]](爾雅)》에 따르면 '해'의 뜻으로 "[[하나라]]에서는 [[歲]], [[상나라]]에서는 [[祀]], [[주나라]]에서는 年, 요순 시대에는 [[載]]를 썼다"고 한다. 또 [[당현종]] 천보(天寶) 3년(744) 1월에는 '년(年)'이라는 표현을 '재([[載]])'로 고친 적도 있다. 당현종이 죽고 [[당숙종]]이 즉위하자 건원(乾元) 원년(758)부터 다시 년으로 쓰도록 되돌렸다. 음이 '년'인 한자는 찾아보기 어려운데[* [[撚]](비빌 년), [[碾]](맷돌 년) 등이 있지만 잘 안 쓰인다.],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한자는 年이 유일하다. == 용례 == === [[단어]] === * [[갱년기]]([[更]]年[[期]]) * [[광년]]([[光]]年) * [[금년]]([[今]]年) * '''[[년]](年)''' * [[내년]]([[來]]年) * [[노년]]([[老]]年) * [[노년기]]([[老]]年[[期]]) * 다년생([[多]]年[[生]]) * [[동년배]]([[同]]年[[輩]]) * [[망년회]]([[忘]]年[[會]]) * 매년([[每]]年) * [[미성년자]]([[未]][[成]]年[[者]]) * 방년([[芳]]年) * [[생년월일]]([[生]]年[[月]][[日]]) * [[성년]]([[成]]年/[[盛]]年/[[聖]]年) * [[미성년]]([[未]][[成]]年) * [[소년]]([[少]]年) * 송년([[送]]年) * [[송년회]]([[送]]年[[會]]) * 신년([[新]]年/[[申]]年) * 여년([[餘]]年/[[驪]]年) * [[연가]](年[[暇]]) * 연간(年[[刊]]/年[[間]]) * [[연금]](年[[金]]) * [[공무원연금]]([[公]][[務]][[員]]年[[金]]) * [[국민연금]]([[國]][[民]]年[[金]]) * [[군인연금]]([[軍]][[人]]年[[金]]) * [[연대]](年[[代]]) * [[연도]](年[[度]]) * [[연령]](年[[齡]]) * 연령층(年[[齡]][[層]]) * [[연로]](年[[老]]) * 연륜(年[[輪]]) * [[연말]](年[[末]]) * [[연말연시]](年[[末]]年[[始]]) * [[연말정산]](年[[末]][[精]][[算]]) * 연배(年[[輩]]) * [[연봉]](年[[俸]]) * [[연세]](年[[歲]]) * [[연소]](年[[少]]) * [[연시]](年[[始]]) * [[연차]](年[[次]]) * [[연초]](年[[初]]) * [[연하장]](年[[賀]][[狀]]) * [[연호]](年[[號]]) * 예년([[例]]年) * [[왕년]]([[往]]年) * [[유년기]]([[幼]]年[[期]]) * [[윤년]]([[閏]]年) * [[작년]]([[昨]]年) * [[재작년]]([[再]][[昨]]年) * [[정년]]([[丁]]年/[[停]]年) * 주년([[周]]年/[[週]]年) * [[중년]]([[中]]年) * [[청년]]([[靑]]年) * [[청소년]]([[靑]][[少]]年) * [[풍년]]([[豊]]年) * 풍년거지([[豊]]年거지) * [[학년]]([[學]]年) * [[향년]]([[享]]年) * [[흉년]]([[凶]]年) * [[희년]]([[稀]]年) === [[고사성어]]/[[숙어]] === * [[권불십년]]([[權]][[不]][[十]]年) * 근하신년([[謹]][[賀]][[新]]年) * [[백년가약]]([[百]]年[[佳]][[約]]) * [[백년하청]]([[百]]年[[河]][[淸]]) * 백년해로([[百]]年[[偕]][[老]]) * 세세연년([[歲]][[歲]]年年) === [[인명]] === * [[고이만년]]([[古]][[爾]][[萬]]年) * [[김낙년]]([[金]][[洛]]年) * [[김성년]]([[金]][[聖]]年) * [[김태년]]([[金]][[太]]年) * [[노와 미토시]]([[能]][[輪]] [[美]]年) * [[박팽년]]([[朴]][[彭]]年) * [[시마부쿠로 미츠토시]]([[島]][[袋]] [[光]]年) * [[연갱요]](年[[羹]][[堯]]) * [[윤상년]]([[尹]][[相]]年) * [[이말년]]([[李]][[末]]年) * [[이조년]]([[李]][[兆]]年) * [[전년성]]([[田]]年[[成]]) * [[정연(통일신라)|정연]]([[鄭]]年) * [[주학년]]([[周]][[鶴]]年) * [[채송년]]([[蔡]][[松]]年) * [[칸베 토시오]]([[神]][[部]] 年[[男]]) === [[지명#s-2]] === === [[창작물]] === * [[기년편고]]([[紀]]年[[便]][[攷]]) * [[대사편년]]([[大]][[事]][[編]]年) === 기타 === * [[연상연하]](年[[上]]年[[下]]) * [[중탄소년단]]([[中]][[彈]][[少]]年[[團]]) * [[今年の漢字]]([[올해의 한자]]) * [[世界青年说]]: 중국의 예능 === [[중국]] 민간전승의 [[요괴]] === ([[https://en.wikipedia.org/wiki/Nian|위키백과 (영어)]]) 어원은 저 한자와 그 뜻이 맞다. [[한어 병음]] 발음은 니엔(Nián). 비교적 최근(20세기 초 즘)에 생겨난 요괴로, 설정상 매년 [[춘절]](음력 1월 1일, 즉 설날)마다 자신이 산다는 산 또는 바다 속에서 인간들이 사는 곳으로 내려와 사람과 가축들, 덤으로 곡식마저 탈탈 털어서 잡아먹는다고 한다. 생김새는 얼굴이 납작한 사자의 그것에 개를 닮은 몸과 도드라진 송곳니를 가졌다는 전승과, 코끼리보다 거대한 몸에 큰 두 뿔을 지니고 날카로운 이빨이 잔뜩 나 있다는 전승 등 다양하다. 중요한 점은 이 괴물의 약점은 크고 시끄러운 소리나 불꽃에 민감하다는 것과 빨간색을 극도로 무서워한다. 즉 붉게 차려입고 불꽃놀이를 잔뜩 함으로써 퇴치할 수 있다는 거다. 이런 전승 때문에 학자들은 매년 중국 춘절의 화려한 행사[* 이 시기 중국은 불꽃놀이 때문에 정말 미칠듯이 시끄럽고 온 거리가 붉게 물든다.]가 생겨난 이유 또는 구실이 아닐까 여기고 있다. 또한 남중국의 사자춤 전통은 이 니엔을 퇴치하는 데서 온 게 아닌가 여겨진다고도. == 유의자 == * [[歲]](해 세) * [[稔]](여물 임/념) - '여물다' 이외에 '해'라는 뜻이 있다.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乍]](잠깐 사) [[분류:8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