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庫}}}곳집 고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广|{{{#000,#fff 广}}}]],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 (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くら}}}}}}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k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창고 고(庫)'''. '창고', '곳집', '곳간'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창고 || || {{{-1 '''음'''}}} ||고 || ||<-3> || ||<|5>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kù || || {{{-1 '''[[광동어]]'''}}} ||fu^^3^^ || || {{{-1 '''[[객가어]]'''}}} ||khu || || {{{-1 '''[[민남어]]'''}}} ||khò͘ || || {{{-1 '''[[오어]]'''}}} ||khu(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コ, (ク) || || {{{-1 '''훈독'''}}} ||{{{#c88 くら}}} || ||<-3> || ||<-2> '''[[베트남어]]''' ||khố || [[유니코드]]에는 U+5EA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IJWJ(戈十田十)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广]](집 엄)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車]](수레 차/거) 자로 이루어진 [[형성자]]다. == 용례 == === [[단어]] === * 고봉(庫[[封]]) * 고사(庫[[舍]]/庫[[司]]/庫[[紗]]) * 고조(庫[[曹]]) * 곳간(庫[[間]])[* 한자어에 [[사이시옷]]이 적용되는 여섯 개뿐인 사례 중 하나다.] * 가각고([[架]][[閣]]庫) * 경고([[傾]]庫) * [[금고]]([[金]]庫) * 남고([[南]]庫) * 내고([[內]]庫) * [[냉장고]]([[冷]][[藏]]庫) * 도고([[都]]庫) * 무고([[武]]庫) * [[무기고]]([[武]][[器]]庫) * 민고([[民]]庫) * 별고([[別]]庫) * [[보고]]([[寶]]庫) * 봉고([[封]]庫) * 부고([[府]]庫) * 빙고([[氷]]庫) * [[사고]]([[四]]庫/[[史]]庫/[[私]]庫/[[司]]庫) * 수장고([[收]][[藏]]庫) * 양현고([[養]][[賢]]庫) * 육고([[肉]]庫) * 의영고([[義]][[盈]]庫) * 입고([[入]]庫) * [[재고]]([[在]]庫) * 재고량([[在]]庫[[量]]), [[재고자산]](在庫資産), 재고품([[在]]庫[[品]]) * [[차고]]([[車]]庫) * 찬고([[饌]]庫) * [[창고]]([[倉]]庫) * 화약고([[火]][[藥]]庫) === [[고사성어]]/[[숙어]] === * 구경고([[九]][[經]]庫) * 봉고파직([[封]]庫[[罷]][[職]]) * 창씨고씨([[倉]][[氏]]庫[[氏]]) === [[인명]] === * [[쿠지라나미 효고]]([[鯨]][[波]] [[兵]]庫) * [[포고리옹순]]([[布]]庫[[哩]][[雍]][[順]]) * [[효고 다이산쿄에이마루]]([[兵]]庫 [[第]][[三]][[協]][[栄]][[丸]]) === [[지명#s-2]] === * [[동빙고]]([[東]][[氷]]庫) * [[동빙고동]]([[東]][[氷]]庫[[洞]]) * [[무코역]]([[武]]庫[[駅]]) * [[서빙고]]([[西]][[氷]]庫) * [[서빙고동]]([[西]][[氷]]庫[[洞]]) * [[효고현]]([[兵]]庫[[県]]) === [[창작물]] === == 유의자 == * [[囷]](곳집 균) * [[廩]](곳집 름) * [[庾]](곳집 유) * [[倉]](곳집 창)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𢉦]](쌓을 군) * [[連]](이을 련) * [[瘒]](어리석을 온) * [[陣]](진칠 진) [[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