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include(틀:다른 뜻1, other1=御을 간체자로 하는 한자, rd1=禦)]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御}}}거느릴 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彳|{{{#000,#fff 彳}}}]],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ギョ, ゴ{{{#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おん, {{{#c88 お, おさ-める, み}}}}}}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御는 ''''거느릴 어''''라는 [[한자]]로, '거느리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5FA1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人人一中(HOOML)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彳]](조금 걸을 척)과 소리를 나타내는 [[卸]](풀 사)[* 卸 또한 뜻을 나타내는 卩(병부 절), 止(그칠 지)와 소리를 나타내는 午(낮 오)가 합쳐진 형성자이다.]로 이루어진 [[형성자]]이다. 본래 뜻은 '(말이나 마차 등을) 거느리다', '운송하다' 이며 뜻이 파생되어 '(사람이나 조직 등을) 거느리다', '통솔하다'의 뜻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어명(御命), 어가(御駕), 어의(御醫) 등과 접두사로 '임금'과 관련된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체자로는 [[馭]](말 부릴 어), [[䢩]]가 있다. 일본에서는 止의 ㄴ을 두 획에 나누어 쓰므로 총 획수가 12획이다. 중국에서는 [[禦]](막을 어)의 간체자로 쓰이며, 일본어에서도 대체 한자로 쓰인다. == 용례 == === [[단어]] === * [[붕어(단어)|붕어]]([[崩]]御) * 어가(御[[駕]]): [[임금]]이 타는 [[수레]] * [[어명]](御[[命]]) * [[어보]](御[[寶]]) * [[암행어사|어사]](御[[史]]) * [[어용]](御[[用]]) * [[어의#s-2|어의]](御[[醫]]): [[왕실]]의 [[주치의]] * [[어의#s-1|어의]](御[[衣]]): 임금이 입던 옷 * 어전(御[[殿]]): 임금이 있는 곳 * [[어진]](御[[眞]]) * [[제어]]([[制]]御) * [[원자로#s-3|제어봉]]([[制]]御[[棒]]) * [[제어판]]([[制]]御[[板]]) === [[고사성어]]/[[숙어]] === * [[안자어]]([[晏]][[子]]御) === [[인명]] === * [[미도 마사타케]](御[[堂]] [[将]][[剛]]) * [[미사카 미코토]](御[[坂]] [[美]][[琴]]) * [[미소노 루리코]](御[[薗]] [[瑠]][[璃]][[子]]) * [[미슈쿠 히나코]](御[[宿]] [[雛]][[子]]) * [[미츠루기 레이지]](御[[剣]] [[怜]][[侍]]) * [[미츠루기 신]](御[[剣]] [[信]]) * [[미타라이 사토미]](御[[手]][[洗]] [[怜]][[美]]) * [[미후네 치하야]](御[[船]] [[千]][[早]]) * [[스와고료닌]]([[諏]][[訪]]御[[料]][[人]]) === [[지명#s-2]] === * [[고차쿠역]](御[[着]][[駅]]) * [[고키소역]](御[[器]][[所]][[駅]]) * [[신주쿠 교엔]]([[新]][[宿]]御[[苑]]) === [[창작물]] === * 어제백행원(御[[製]][[百]][[行]][[源]])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미캉코]](御巫) -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한자로는 '御巫'라고 표기하는데 이를 '미캉코'로 발음하는 구조]]. === [[일본어]] === '경어 접두사'라고 하여 명사 앞에 붙여서 존경, 공손의 의미를 더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 경우 お로 읽는 경우도 있고 ご로 읽는 경우도 있어서 헷갈리기 쉽다.[* 그 밖의 경우엔 대체로 ぎょ로 읽는다. [ruby(防,ruby=ぼう)][ruby(御,ruby=ぎょ)](방어, 단 이 때의 '어'는 禦의 대용이라 보는 편이 맞다.), [ruby(制,ruby=せい)][ruby(御,ruby=ぎょ)](제어), [ruby(御,ruby=ぎょ)][ruby(物,ruby=ぶつ)](어물) 등. [ruby(父,ruby=ちち)][ruby(御,ruby=ご)](엄친), [ruby(母,ruby=はは)][ruby(御,ruby=ご)](자당), [ruby(御,ruby=ご)][ruby(用,ruby=よう)](어용)처럼 ご로 읽는 경우도 있는데 매우 한정적이며 특히 御用(어용)의 경우 用(용무)에 경어 접두사가 붙은 단어로 해석하는 견해도 있다.] 게다가 신불, 천황, 귀인 등 신분이 높은 대상 앞에 붙었을 때는 み로도 읽는다! 훈독이 お이고 음독이 ご이기 때문에 중국에서 유래한 한자어(음독으로 읽는 단어)에는 ご를 붙이고, 순일본어(훈독으로 읽는 단어)에는 お를 붙인다는 게 기본 규칙이라고 보면 된다.[* 이를테면 '초대'는 한자어 [ruby(招,ruby=しょう)][ruby(待,ruby=たい)]와 순일본어 [ruby(招,ruby=まね)]き로 둘 다 쓸 수 있는데 御招待에서는 ご로 읽고 御招き에서는 お로 읽는다.] 그러나 분명 음독으로 읽는 한자어인데도 훈독이 따로 없이 일상적으로 쓰이는 단어(예: 전화(電話), 욕탕(風呂), 의사(医者) 등)에 붙었을 때도 お로 읽는 경우가 있고, 이것도 [ruby(御,ruby=おん)][ruby(中,ruby=ちゅう)], [ruby(御,ruby=おん)][ruby(社,ruby=しゃ)], [ruby(御,ruby=おん)][ruby(身,ruby=み)]처럼 おん으로 읽는 경우도 있어서 '''그냥 외우는 게 답이다'''. 반대로 훈독의 순일본어여도 ご로 읽는 건 ごゆっくり, ごもっとも 정도로 매우 드물다. 이 한자를 3번이나 연달아 쓴 御御御付(け)라는 단어가 있는데 [ruby(御,ruby=お)][ruby(御,ruby=み)][ruby(御,ruby=お)][ruby(付,ruby=つ)]け라고 읽으며 뜻은 [[미소시루]]를 의미한다. == 유의자 == * [[領]](거느릴 령) * [[率]](거느릴 솔) * [[統]](거느릴 통) * [[總]](거느릴 총)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柳]](버들 류) * [[抑]](누를 억) * [[仰]](우러를 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