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4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復}}}회복할 복, 다시 부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彳|{{{#000,#fff 彳}}}]],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フ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かえ-す, かえ-る, また}}}}}}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f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復은 ''''회복할 복'''' 또는 ''''다시 부''''라는 [[한자]]로, '돌아오다', '다시', '회복(回復)하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5FA9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OOAE(竹人人日水)로 입력한다. [[파일:復 자형 변천과정.jpg]] [[갑골문]]부터 존재했던 한자로, 처음 만들어질 때는 [[彳]]([[조금 걸을 척]])이 없는 [[复]] 형태였다. 자형은 '마을 성곽의 모양'과 [[止]]([[그칠 지]])를 거꾸로 한 모양이 합쳐진 형태이다. 그리고 [[금문]]에서 [[彳]]이 추가되고 [[止]]가 [[夂]]([[뒤져 올 치]])로 모양이 잡혀가며 '''성문을 나와([[止]]) 다시 돌아가다'''라는 뜻을 나타내는 [[회의자]]가 되었다. 復이 다음자로 발음되는 언어는 한국어와 중국어 일부 방언밖에 없다. 대부분의 단어는 '돌아올 복'의 훈음으로 사용되고 '다시 부'로 사용될 때는 [[부활]]과 [[부흥]]을 제외하곤 거의 없다. == 용례 == === [[단어]] === * [[광복]]([[光]]復) * [[광복절]]([[光]]復[[節]]) * [[반복]]([[反]]復) * [[보복]]([[報]]復) * [[보복운전]]([[報]]復[[運]][[轉]]) * [[복각]](復[[刻]]) * 복간(復[[刊]]) * [[복고]](復[[古]]) * [[복고풍]](復[[古]][[風]]) * [[복구]](復[[舊]]) * [[복권(동음이의어)|복권]](復[[權]]) * [[복귀]](復[[歸]]) * [[복수]](復[[讐]]) * [[복습]](復[[習]]) * 복용(復[[用]])[* '거듭해서 씀'. '약을 먹음' 또는 '옷을 입음'이라는 뜻의 복용은 [[服]](옷 복)을 써서 服用으로 쓴다.] * [[복원]](復[[元]]/復[[原]]) * 복직(復[[職]]) * 복창(復[[唱]]) * 복항(復[[航]]) * [[부활]](復[[活]]) * [[부활절]](復[[活]][[節]]) * [[부흥]](復[[興]]) * [[수복]]([[收]]復) * [[회복]]([[回]]復) === [[고사성어]]/[[숙어]] === * 경복([[敬]]復) * 경복자([[敬]]復[[者]]) * 고일지복([[苦]][[逸]][[之]]復) * [[극기복례]]([[克]][[己]]復[[禮]]) * 극복([[克]]復) * 기복출사([[起]]復[[出]][[仕]]) * 기복행공([[起]]復[[行]][[公]]) * 능소부능대([[能]][[小]]復[[能]][[大]]) * 명예회복([[名]][[譽]][[回]]復) * 무부여망([[無]]復[[餘]][[望]]) * 배만복명([[排]][[滿]]復[[明]]) * 보복지리([[報]]復[[之]][[理]]) * 복계(復[[啓]]) * 복고사상(復[[古]][[思]][[想]]) * [[복명복창]](復[[命]]復[[唱]]) * [[사회부연]]([[死]][[灰]]復[[燃]]) * [[왕정복고]]([[王]][[政]]復[[古]]) * 일양내복([[一]][[陽]][[來]]復) * 종이부시([[終]][[而]]復[[始]]) * [[중언부언]]([[重]][[言]]復[[言]]) * 환후평복([[患]][[候]][[平]]復) * 회복공격([[回]]復[[攻]][[擊]]) === [[인명]] === * [[경복흥]]([[慶]]復[[興]]) * [[민복기]]([[閔]]復[[基]]) * [[이인복]]([[李]][[仁]]復) * [[판푸]]([[潘]]復) === [[지명#s-2]] === * [[광복역]]([[光]]復[[驛]]) === [[창작물]] === * [[왕복서간往復書簡:십오 년 뒤의 보충수업]] * [[復活LOVE]]([[부활LOVE]]) * [[幻想系世界修復少女]]([[환상계세계수복소녀]]) * [[ぼくらの報復政策]]([[우리들의 보복 정책]])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마법 카드]] [[비스테드#복낙인|復烙印(복낙인)]] == 유의자 == * [[更]](다시 갱) * [[再]](다시 재) * [[歸]](돌아갈 귀) * [[還]](돌아올 환) * [[回]](돌아올 회) * [[返]](돌아올 반) * [[覆]](다시 복) == 상대자 == * [[落]](떨어질 락) * [[零]](떨어질 령) * [[隕]](떨어질 운) * [[墜]](떨어질 추) * [[墮]](떨어질 타)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䧗]](산무너질 벽) * [[複]](겹칠 복) * [[稪]](곡식이름 복) * [[椱]](말코 복/부) * [[𩜲]](먹을 복) * [[𥪚]]^^[⿰立复]^^(바르지아니할 복) * [[𩋟]]^^[⿰革复]^^(바퀴살/전동 복) * [[輹]](바퀴통 복) * [[腹]](배 복) * [[蝮]](살무사 복) * [[鍑]](솥 복) * [[𦩟]]^^[⿰舟复]^^(옷 복)[* [[服]](옷 복)의 [[동자#s-2]]] * [[㙏]](움 복) * [[㬼]](있을 복) * [[鰒]](전복 복) * [[馥]]/[[𪐒]]^^[⿰⿱黍日复]^^(향기 복) * [[䪖]](가죽옷 부, 멍에싸개 박) * [[緮]](비단 부) * [[愎]](강퍅할 퍅) * [[䮡]](살찔 필, 얼룩말 박) * [[𦎭]]^^[⿰羊复]^^(복) * [[𣸪]]^^[⿰氵复]^^ * [[𡞪]]^^[⿰女复]^^ * [[𤟱]] * [[𭡪]]^^[⿰扌复]^^ * [[𤋟]]^^[⿰火复]^^ * [[𣦇]]^^[⿰止复]^^ * [[𭞿]]^^[⿰忽复]^^ * [[𤳺]]^^[⿰番复]^^ * [[𮍼]]^^[⿰舌复]^^ * [[𮠸]]^^[⿰酉复]^^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履]](밟을 리) * [[蕧]](금불초 복) * [[𥳇]]^^[⿱𥫗復]^^(대나무열매 복) * [[㠅]](덮을 복) * [[澓]](돌아흐를 복) * [[䨱]](물흘릴 복) * [[癁]](병 복) * [[𡐣]]^^[⿰土復]^^(움 복)[* [[㙏]](움 복)의 [[동자#s-2]]] * [[𥨍]]^^[⿱穴復]^^(움집 복) * [[覆]](덮을 부, 다시 복) * [[𠣾]]^^[⿹勹復]^^(포개질 부, 겹칠 복) * [[𡑉]]^^[⿱土復]^^ * [[𭙷]]^^[⿸广復]^^ * [[𰊯]]^^[⿱復土]^^ * [[𭸬]]^^[⿰犭復]^^ * [[𮖵]]^^[⿰衤復]^^ * [[𮇼]]^^[⿰米復]^^ * [[𫓍]]^^[⿰金復]^^ * [[𮬑]]^^[⿸魚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