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by(怒槌, ruby=いかづち)]/분노의 망치'''[* 읽는 방법은 [[이카즈치]]. [[怒]]를 いか로, [[槌]]를 つち로 읽으며 탁음화되어 이카즈치라고 읽는다.] [include(틀:게키츄마이 그랜드슬램)] [목차] == 개요 == [include(틀:제4회 천하제일리겜축제 점포 예선 과제곡)] [youtube(whviN8hUP48)] 공식 PV 영상 [[세가]]의 아케이드 리듬게임 [[CHUNITHM]]의 수록곡으로, 작곡은 [[미츠요시 타케노부]](光吉猛修). 여러모로 CHUNITHM의 상징적인 곡이라 할 수 있는 곡. 200 BPM에 맞물려 사정없이 몰아치는 전개가 일품으로, 제목 그대로 '분노의 망치'가 내려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자켓의 캐릭터는 기신 토르(機神 トール). 또한 망치를 들고 서 있는 무장이 그려져 있다. 게임 내에 애니메이션 OST나 동방 어레인지 등이 수록되어서인지 CHUNITHM 오리지널 악곡 중에서는 가장 먼저 문서가 만들어졌다. 또한 '''게키츄마이 그랜드슬램 악곡들 중 하나'''이며, 그 중에서도 [[천하제일리겜축제]]에다 모바일 리듬게임 [[Arcaea]], PC 리듬게임 [[DJMAX RESPECT V]]에 콜라보로 수록된 악곡인지라 그 존재감은 단연 압도적이다. 작곡가 미츠요시 타케노부에게도 작곡 방향의 전환점이 된 곡인데, 이 곡을 기점으로 미츠요시 타케노부가 츄니즘 시리즈에서 보스곡 전담 작곡가로 자리매김을 했기 때문이다. [[業 -善なる神とこの世の悪について-|카르마]]와 [[The Metaverse -First story of the SeelischTact-|메타버스]], [[祈 -我ら神祖と共に歩む者なり-|이노리]], [[MALKUTH -The Last Ruler of Terrestrials-|말쿠트]]가 그 작품들. 물론 이 곡들이 모두 합작이긴 하지만, 이들 전부에 미츠요시의 손길이 닿아있다는 것은 그만큼 츄니즘 제작진 내에서의 그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게 해준다. 그야말로 [[데이토나 USA]]에 이어 츄니즘이 미츠요시 타케노부의 제2의 홈그라운드가 될 수 있게 해준 기념비적인 악곡. === 아티스트 코멘트 === ||본 곡의 특징은 뭐라고 해도 엄청 세밀한 멜로디, 그리고 중반에서 펼쳐지는 교회 음악 같은 장엄한 콰이어라고 생각합니다. 제 안애서도 이 두 개의 특색은 감화가 깊은데 당초, 근대 리듬게임 수록곡 제작이 처음인 저에게 있어서는 충분히 세밀하다고 생각해서 만든 멜로디에 아직 멀었다는 요구를 하는 채보 팀의 요망에 대해, 이젠 어떻게 돼도 난 몰라, 라며 가능한 세밀하고 잘게 잘랐습니다만 그렇군요, 여기까지 하지 않으면 안 되는 거였나라는 걸 깨닫게 해준 에피소드였습니다. 그런 저의 음악적 상식이 세워지고 무너지는 중, 유일하게 저 다운 부분이, 앞에서 말한 중반에 콰이어 파트입니다. 원래는 라이브로 녹음하고 싶었습니다만, 그 마음은 최종귀축 모두 목소리[* [[https://www.youtube.com/watch?v=LOU2rTef3YE|참고.]] 외에도 [[最終鬼畜妹フランドール・S]]의 아카펠라 리어레인지 버전인 最終鬼畜全部声을 의미하기도 한다.]로 풀었습니다. < [[미츠요시 타케노부]] >[* [[http://www1.otogesai.jp/qualifier_music#a01]]]|| == [[CHUNITHM]] == [include(틀:CHUNITHM의 15레벨)] |||||||||| [[CHUNITHM NEW]] 시리즈 난이도 체계 || || 곡명 |||||||||| 怒槌 || || 아티스트 |||||||||| 光吉猛修 || || BPM |||||||| 200 || ||<|2>난이도|| {{{#green BASIC}}} || {{{#orange ADVANCED}}} || {{{#red EXPERT}}} || {{{#8324ff MASTER}}} || || {{{#green 6}}} || {{{#orange 9+}}} || {{{#red 13+}}} {{{-2 {{{#888 (13.9)}}} }}} || '''{{{#8324ff 15}}}''' {{{-2 {{{#888 (15.1)}}} }}} || ||노트수|| {{{#green 700}}} || {{{#orange 1500}}} || {{{#red 2000}}} || '''{{{#8324ff 3000}}}''' || [youtube(6RU4UU7DA5Y)] BASIC 패턴부터 6레벨로, Godspeed가 투고한 Gate of Fate와 함께 '''베이직 레벨에서 최고 레벨'''을 꿰찼다. 패턴 자체는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어려워지는 특성을 보인다. 후반부의 12비트와 급변곡 슬라이드, 슬라이드 + 롱노트 조합만 조심하면 ALL JUSTICE도 가능하다. [youtube(g8XHej3ccME)] 문제는 ADVANCED부터 시작된다. 레벨 표기가 9+로, [[Contrapasso -inferno-]]와 함께 '''어드밴스드 레벨 최고 레벨'''이다! 채보 또한 그에 걸맞게 어렵게 나온다. 슬라이드 증식은 그렇다 쳐도 8비트 난사가 장난 아니게 어렵다. 특히 후반부 2중 8비트 난사는 그야말로 지옥. 중간중간의 3중노트 및 4중노트도 방심은 절대 금물. 그렇다고 슬라이드가 쉬운 것도 절대 아니다. [youtube(ySxv3F4t0J8)] EXPERT는 12레벨로 [[Garakuta Doll Play]]등과 함께 익스퍼트 레벨 최고 난이도였다.[* 이 기록은 이후 [[玩具狂奏曲 -終焉-]]에 의하여 EXPERT 12+이, [[混沌を越えし我らが神聖なる調律主を讃えよ]]이 나오면서 EXPERT 13이, 뉴니즘의 난이도 조정 이후 [[祈 -我ら神祖と共に歩む者なり-]]에 의하여 EXPERT 13+(14+) 순으로 최고난이도 자리가 넘어갔다.] CHUNITHM STAR에서 12+로 올랐다. 여기서는 처음부터 3중 에어노트가 등장하고 16비트 폭타도 여기서부터 신나게 작렬한다. 초중반부의 '''2중 슬라이드+2중 에어노트'''도 콤보 끊어먹기 딱 좋으며 16비트 폭타에서도 일렬로 배치된 노트가 가독성을 저해하여 마찬가지로 콤보를 잘 끊어먹는다. 그나마 3중 롱노트 + 3중 에어노트로 피는 채울 수 있지만, 직후의 [[사운드 볼텍스]]스러운(...) 슬라이드 작렬은 그냥 답이 없다(...). 후반부의 16비트 폭타도 단순해 보이지만 스코어링이 어려우며, 최후반부 '''에어 노트 작렬'''과 '''다중 슬라이드'''도 미친듯이 몰아친다. [youtube(P8KTKYUR5Hc)] MASTER 난이도는 최초로 '''13+ 레벨'''을 달성한 패턴이며, '''츄니즘 최종보스였던 패턴.''' 다른 13+들은 한가지 속성으로 한 부분동안 어렵게 밀어붙이는데, 이 패턴은 종합패턴이면서 모든 부분이 싹 다 어렵다. 츄니즘 지력의 극한을 시험하는 패턴. 이후 등장한 [[Contrapasso]] -inferno-, [[EZ2DJ]]에서의 이식곡 [[神威]], [[Schrecklicher Aufstand]] 등의 MASTER가 이 곡의 최고존엄 아성을 위협하는 정도의 난이도인 같은 13.9라는 평가를 받았으나 이 곡의 난이도에는 당시에는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라는 평이 많았고, 이후 CHUNITHM STAR에서 신설 '''레벨 14'''로 상승했으며, 이제는 위에 있는 세곡들은 한참 못미치는 규격이 다른 놈 취급 받는다. 14레벨로 승격된 후 당시에 존재했던 기존 14레벨 곡들 중 [[TiamaT:F minor]]랑 비교했을 때 S턱걸이 기준으로는 어느쪽이 더 어려운지 확실히 말하기 힘들지만, 대부분은 SS부터는 '''이카즈치가 더 어렵다는게 중론.''' 체력적인 성향도 있지만 배치가 정말 고루고루 어렵게 나와서 14레벨 승격에 이견을 표한 플레이어는 아무도 없다. 오히려 이견을 표하는 게 이상할 정도. 그 예로 NEW 당시에는 동급으로 측정되었던 수성심판이 15.2에 올라가긴 했지만 이카즈치보다 먼저 승격될 곡은 아니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CHUNITHM NEW에서는 레벨 체계가 확장이 되면서 자연스레 최고 레벨인 15레벨로 배정받았고 보면 상수도 15.1로 책정되었다. 이 곡이 나오고 많은 구 14.0 상수의 곡들이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츄니즘 초창기 특유의 무리수를 둔 이질적인 배치로 인해 최초의 보스곡이지만 해당 상수 내에서 스코어링 난이도에서 악명을 이어나가고 있었다. 거기다 개편된 레벨 체계 내 15.1에서도 SS 이상으로 보자면 이쪽이 가장 어렵다는 평.[* 숙성심판은 후살만 빼면 15 내에서는 별것도 아니라는 소리가 나올만큼 나머지 구간은 15에 한참 못미치며, 완구광주곡은 노트를 꼬아넣어서 그렇지 클리어 기준으로 보면 그나마 완구가 조금이나마 무난하다. 다만, 극 판정으로 보자면 오히려 완구광주곡이 훨씬 더 어렵다.] 츄니즘 초창기 보스곡임에도 현재까지 꾸준히 매우 어렵다는 평가가 계속 유지되는 등 여러모로 [[오버 테크놀로지|시대를 뛰어넘은 채보]]이다. [youtube(ZJukhuRfvHA)] 괴악한 난이도 탓에 AJ 인증은 나타났지만 영상은 올라올 기미가 보이지 않다가, 17년 1월 6일에 드디어 최초 AJ 영상이 업로드되었다. 이 유저도 어떤 부분이 가장 어려웠냐는 질문 댓글에 전 구간이 문제였다고 답한다. 2018년 3월에 13+ 이상 악곡들을 AJ 찍을 때마다 찰진 리액션을 보여주기로 유명한 さぶ라는 유저가 이 채보의 마지막 에어노트 구간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b4mMiVf4T-8|'''"トドメだ!"'''라고 외치며 AJ를 찍으면서 유명해졌고]] 이후 다른 유저도 저 구간에서 '토도메다'를 외치고 AJ를 찍으면서, 이카즈치 연관 검색어에 '토도메다'가 당당하게(...) 뜨게 되었으며 이 패턴에도 '토도메다 패턴'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덧붙여 유튜브에서 '토도메다'를 검색하면 1번 영상으로 저 AJ 영상이 뜨고 있다고(...).[* 훗날 사부는 2020년 1월에 이카즈치와 조율주의 마스터 패턴을 융합한 채보인 카르마 마스터를 AJ 찍을 때도 '토도메다'를 외치면서 AJ를 찍어내는 데 성공했다. 카르마 마무리가 이카즈치와 똑같기도 했고, 그 이카즈치 AJ 영상이 사부를 유명하게 만들어 주기도 했으며, 무엇보다 '''카르마가 사부의 마지막 AJ 달성곡이었기 때문에''' 그야말로 감정에 북받친 토도메다를 외치며 AJ를 찍었고 아예 [[https://www.youtube.com/watch?v=kLlpvVqT-gw|이렇게까지 특별판으로 영상을 만들었다(...).]]] 나온 지 7년 만인 2022년 6월 15일, 일본의 탑랭커 Nene.K가 [[https://mobile.twitter.com/OvIs_arles_/status/1537700622799372289|이론치를 달성했다.]] == [[maimai]] == [include(틀:maimai 시리즈의 14+레벨 수록곡)] ||<-8>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00810, #65192e, #200810)" '''{{{#!html 怒槌}}}'''}}} || ||<-8> [[파일:chunithmstar_jacket.jpg|width=40%]] || ||<-2> 아티스트 ||<-6> [[光吉猛修]] || ||<-2> 장르 ||<-6> オンゲキ&CHUNITHM || ||<-2> BPM ||<-6> 200 || ||<-2> 버전 ||<-6> [[maimai MiLK PLUS|MiLK PLUS]] || ||<-2> 최초 수록일 ||<-6> 2018/12/04 || ||<-8> '''[[maimai DX|{{{#ffcc21 m}}}{{{#3182ff a}}}{{{#54C320 i}}}{{{#ffcc21 m}}}{{{#fd006b a}}}{{{#d0f i}}} {{{#ffe302 D}}}{{{#a0b036 X}}}]] {{{#373a3c,#ddd 난이도 체계}}}''' || ||<-8> {{{#fff '''STANDARD'''}}} || ||<-2> 난이도 || BASIC || ADVANCED || EXPERT || MASTER || ||<-2> 레벨 || 7 || 9 || 13{{{-2 {{{#gray (13.3)}}}}}} || 14+{{{-2 {{{#gray (14.8)}}}}}} || ||<|5> 노트 수 || 총합[br](콤보 수) || '''400''' || '''487''' || '''797''' || '''1188''' || || TAP || 323 || 383 || 606 || 928 || || HOLD || 51 || 74 || 78 || 55 || || SLIDE || 12 || 20 || 93 || 158 || || BREAK || 14 || 10 || 20 || 47 || ||<-2> 보면제작 || - || - || Jack || 譜面ボーイズからの挑戦状 || 기어이 마이마이 시리즈에도 참전했다. 첫 수록작은 [[maimai MiLK PLUS]]. === MASTER === [youtube(fvh5tpgo9oI)] '''AP''' 스크린 캡쳐 영상. [youtube(uj_Z1PUKbAk)] '''이론치''' 플레이 영상.[* 플레이어는 yukine*DR.] 당연하다면 당연하겠지만 츄니즘에서부터 이미 보스곡으로서의 악명을 신나게 떨치고 온 만큼 MASTER 레벨을 당시 최고레벨이였던 13으로 배정받았으며, 이후 DX PLUS의 난이도 개편에서 14로 올랐고 Splash에서 14+로 승격되었다. 영상 기준 1분 5초부터 튀어나오는 한 손 고정 16비트 트릴, 구곡 특유의 손꼬임, 후반부의 이상한 배치의 16비트 폭타, 그리고 1188개라는 굉장히 많은 노트 수가 시너지를 일으켜 체력을 상당히 잡아먹으니 주의. === EXPERT === [youtube(13QE0P6PNHQ)] '''AP''' 스크린 캡쳐 영상. EXPERT 난이도 역시 무시할 수 없는 난이도를 선보이는데, 체력적인 성향도 꽤나 들어가있는데다 EXPERT에서 보기 힘든 배치의 트릴은 물론이고 상당히 까다로운 패턴들이 많이 등장하여 어지간한 MASTER 보면과 동급인 난이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DX 이전까지는 MASTER 해금이 꽤 어려운 편에 속했다. == [[온게키]] == [youtube(fQcl_WKiCtA)] 여기서마저 마스터 레벨이 14로, 온게키에서 레벨 표기가 가장 높은 곡 중 하나가 되었다.[* 단, 이 곡하고 조율주와 함께 추가된 '''14+'''가 두 곡이나 있어서, 최종보스까지는 아니다.] 포인트는 원조 수록작인 츄니즘에서의 '''그 DNA 교차 폭타를 Ctrl+CV해놓은 것.''' 다행히 색깔 배치는 빨-파-빨-파의 연속이니 좌우로 번갈아서 빨강 버튼하고 파랑 버튼만 때려주면 무난하게 넘길 수 있는 편이다.[* 정확히는 첫 순서는 파란색이 먼저, 다음 순서는 빨간색이 먼저다.] 그밖에도 초반부에 거의 [[크래킨 DJ]] 플레이하듯이(...) 레버를 컨트롤해야 하는 구간이 존재한다. == [[/타사 리듬 게임 수록|타사 리듬 게임 수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怒槌/타사 리듬 게임 수록)] == 怒槌 ~미츠요시 타케노부 수수께끼 1부~ == 2019년 4월 1일 [[만우절]]에 츄마이게키 세 게임에 기간한정으로 동시수록된 곡. 음악은 이카즈치의 [[아카펠라]] 버전이며, 가사가 있긴 있는데 '나조토키(謎解き)'라는 말이 가끔 나오는 것이 전부이다. 뜻은 '수수께끼 풀이'. 그 부제대로 수수께끼라는 컨텐츠와 연관되어 수록된 것이 특징으로, 도쿄대학 수수께끼 제작집단 [[https://anothervision.tokyo/|AnotherVision]]과의 협업으로 제작되었다. 마이마이의 BGA에도 'AnotherVision으로부터의 도전장'이라는 말이 나오고, 아예 온게키에는 상대 캐릭터로 AnotherVision 대표이자 '도쿄대 나조토레(수수께끼 트레이닝)' 등의 퀴즈북 저자로 유명한 [[https://www.college-uc.com/|마츠마루 료고]]가 등장한다. 채보에도 퀴즈 요소가 녹아있다보니 특수채보로 구분된다. 따라서 마이마이는 연회장, 츄니즘은 WORLD'S END, 온게키는 LUNATIC 난이도로만 수록되었다. [youtube(hxRXZWWbfzE)] 마이마이 宴 채보 영상 [youtube(wJ8RNmRlbNQ)] 츄니즘 謎 채보 영상 [youtube(-B80PjNLeeQ)] 온게키 LUNATIC 난이도 영상 === 수수께끼의 해석 === ==== maimai ==== >第一問 本物を順に読め >첫 번째 문제: 진짜를 순서대로 읽어라 BGA와 채보에서 쏟아지는 가짜 노트들을 걸러야 한다. 진짜 노트는 위 영상의 판정 이펙트로 확인할 수 있다. 진짜 노트가 떨어지는 위치의 글자를 순서대로 놓으면 わからない(몰라)가 된다. >第二問 正確になぞり出てくる金の文字を読め >두 번째 문제: 정확하게 겹쳐나오는 금색 글자를 읽어라 슬라이드를 Just 판정으로 처리해 나오는 노란 화살표와, BGA의 노란 색 획을 조합해 나오는 글자를 읽어야 한다. 정답은 トパゾライト([[t+pazolite]]). >第三問 同じ数字には同じ文字。 >세 번째 문제: 같은 숫자에는 같은 문자. >>④②⑤F②C⑦ >>G⑤②⑥⑦ >>G○○① >>MI③③ >①②③④②⑤⑥⑦②は何? >①②③④②⑤⑥⑦②는 무엇인가? maimai 시리즈의 판정 체계를 숫자로 가려놓았다. 번호순으로 각각 D, E, S, P, R, A, T로, ①②③④②⑤⑥⑦②는 Desperate(필사적인, 혹은 자포자기하는)가 된다. >第四問 囲われた文字を数字の順に読め >네 번째 문제: 둘러싸인 문자를 숫자의 순서에 따라 읽어라 슬라이드 경로로 감싸인 문자를 함께 싸인 숫자에 따라 읽으면 된다. 조합하면 せんたくき([[maimai 시리즈|세탁기]])가 된다. >最終問題 流れ星を読め >마지막 문제: 별똥별을 읽어라 >>  〇〇〇〇〇  [* わからない] >>   ☆☆☆☆☆☆[* トパゾライト (t+pazolite)] >>〇〇〇〇〇〇   [* Desperate = デスパレート] >> ☆☆☆☆☆   [* せんたくき] "별똥별"은 별모양 슬라이드로, 왼쪽에서 6번째 줄에 떨어진다. 위쪽부터 앞의 4문제의 답을 채워넣고 왼쪽에서 6번째줄을 세로로 읽으면 된다. 정답은なぞとき(수수께끼 풀이). ==== 온게키 ==== >첫 번째 문제 >>{{{#blue イーガル}}} >>{{{#green イーグル}}} >>{{{#red イーゴル}}} 선택지가 등장하기 전에 등장하는 롱잡 덩어리에서 빈 곳의 글자를 읽어야 한다. 정답은 '''{{{#green イーグル}}}'''(독수리) >두 번째 문제 >>←キ {{{#blue イエロー}}} >>ヨ→ {{{#green イーピン}}} >>←ザ {{{#red イロガミ}}} >>ヒ→ 50음도 상에서 해당 글자의 왼편/오른편의 글자를 조합하면 된다. 예를 들면, 첫 번째의 ←キ는 그 왼쪽의 イ가 되는 식. 정답은 '''{{{#red イロガミ}}}'''(색종이). >세 번째 문제 >>{{{#blue ゴンゴン}}} >>{{{#green コサイン}}} >>{{{#red コノハナ}}} 노트가 가타카나 형태로 내려오는 것을 읽으면 된다. 정답은'''{{{#red コノハナ}}}'''([[잎새코]]도 되고, 벚꽃 따위의 나무에 피는 꽃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네 번째 문제 >{{{#blue うで}}}{{{#red の}}} {{{#blue 팔}}}{{{#red 의}}} >{{{#blue 形}}}{{{#red は?}}} {{{#blue 모양}}}{{{#red 은?}}} > >{{{#red K}}} {{{#green V}}} {{{#blue X}}} 내려오는 대로 패턴을 처리하다가, 문제가 등장하기 직전의 팔 모양을 묻는 문제이다. 팔교차를 유도하는 패턴이라 정답은 '''{{{#blue X}}}'''. >마지막 문제 >さいしょよめ 맨 처음을 읽어라 >さいごよめ 맨 끝을 읽어라 maimai처럼 앞의 4문제의 정답을 늘어놓고, 각각의 맨 앞글자와 맨 끝글자를 읽으면 된다. >'''イ'''ーグ'''ル''' >'''イ'''ロガ'''ミ''' >'''コ'''ノハ'''ナ''' >'''エ'''ック'''ス'''[* X = エックス] >'''イイコエ ルミナス''' >정답: 목소리 좋은 루미너스 [[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분류:CHUNITHM의 수록곡]][[분류:maimai 시리즈의 수록곡]][[분류:온게키 시리즈/수록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