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4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戒}}}경계할 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戈|{{{#000,#fff 戈}}}]], 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カイ{{{#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いまし-める{{{#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iè{{{#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戒는 ''''경계할 계''''라는 [[한자]]로, '경계(警戒)하다', '주의하다'를 뜻한다. == 상세 == ||[[파일:gyeonggyehalgye.gif|width=100]]|| || 戒의 획순 || ||[[파일:gyeonggyehalgye2.gif]]|| || 戒의 자형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경계하다 || || {{{-1 '''음'''}}} ||계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jiè || || {{{-1 '''[[광동어]]'''}}} ||gaai^^3^^ || || {{{-1 '''[[객가어]]'''}}} ||kie || || {{{-1 '''[[민북어]]'''}}} ||ga̿i || || {{{-1 '''[[민동어]]'''}}} ||gái || || {{{-1 '''[[민남어]]'''}}} ||kài || || {{{-1 '''[[오어]]'''}}} ||jia (T2)[*文 [[문독]]] / ka (T2)[*白 [[백독]]] || ||<-3> || ||<|2> '''[[일본어]]''' || {{{-1 '''음독'''}}} ||カイ || || {{{-1 '''훈독'''}}} ||いまし-める || ||<-3> || ||<-2> '''[[베트남어]]''' ||giới || [[http://www.kangxizidian.com/kangxi/0412.gif|강희자전에는 412페이지에 수록되었다.]] [[戈]](창 과)와 [[卄]](스물 입)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여기서 卄은 양손의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즉 양손(卄)으로 창(戈)을 들고 경계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체자]]로는 誡(U+8AA1)가 있다. 이것은 [[계명#s-1|계명]](誡命)이라는 단어에만 사용된다. [[유니코드]]에는 U+6212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IT(戈廿)로, [[주음부호]]로는 ㄐㄧㄝˋ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경계#s-1|경계]]([[警]]戒) * 경계망([[警]]戒[[網]]) * 경계심([[警]]戒[[心]]) * [[계엄령]](戒[[嚴]][[令]]) * [[계영배]](戒[[盈]][[杯]])[* '꽉 차는 것을 경계하는 술잔'이라는 뜻으로, 실제로 술을 꽉 차도록 부으면 술이 새어나가는 구조로 만들어졌다. 욕심을 버리는 의미가 부여된다.] * [[세속오계]]([[世]][[俗]][[五]]戒) * [[수계]]([[受]]戒) * [[징계]]([[懲]]戒) * 훈계([[訓]]戒) === [[인명]] === * [[사쿠라이 카이]]([[櫻]][[井]] 戒) * [[스와바라 카이]]([[諏]][[訪]][[原]] 戒) * [[시바 핫카이]]([[柴]] [[八]]戒) * [[이마시노 미사키]](戒[[野]] ミサキ) * [[카이노 요시코]](戒[[能]] [[良]][[子]]) * [[카이도 이쿠미]](戒[[道]] [[幾]][[己]]) * [[핫카이 이노리]]([[八]]戒 [[猪]][[里]]) === [[지명#s-2]] === === [[창작물]] === * [[화왕계]]([[花]][[王]]戒) === [[일본어]] === ==== [[훈독]] ==== * 戒(いまし)める: 경고하다, 훈계하다, 미리 경계하다(잡도리하다) 戒める·警める·誡める 이렇게 쓰는 법이 세 가지이다. 한자는 왼쪽부터 '경계할 계', '깨우칠(경계할) 경', '경계할 계'로 결국 의미는 같다. 명사형은 戒め·警め·誡め가 되며 '훈계, 금제(禁制)'라는 뜻이다. ex) 同(おな)じ過(あやま)ちをした人(ひと)に戒めを言(い)われるなんてとんでもない: 똑같은 잘못을 한 사람에게 훈계를 듣다니 어이가 없다 ==== [[음독#s-1]] ==== カイ. * 戒厳(かいげん): 계엄 * 戒厳令(かいげんれい): [[계엄령]] * 戒名(かいみょう): 계명 * 戒律(かいりつ): 계율 * 訓戒(くんかい): 훈계 * 警戒(けいかい): 경계 * 警戒心(けいかいしん): 경계 * 懲戒(ちょうかい): 징계 * 十戒(じっかい): 십계 == 유의자 == * [[警]](경계할 경) * [[械]](경계할 계) * [[箴]](경계 잠)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戈]](창 과) * [[戊]](천간 무) * [[成]](이룰 성) * [[戍]](수자리 수) * [[戌]](개 술) * [[彧]](문채 욱) * [[戎]](병장기/오랑캐 융) * [[弋]](주살 익) * [[咸]](다 함) * [[或]](혹 혹)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𤈪]](불길세찰 개) * [[㑘]](착할 개) * [[祴]](풍류이름 개) * [[𢬿]](가질 계) * [[㳦]](강이름 계/개/해) * [[誡]](경계할 계) * [[械]](기계 계) * [[㖑]](꾸짖을 계, 성난소리 해) * [[悈]](신칙할 계) * [[𢧧]](싹날 극) * [[裓]](옷자락 극, 바닥벽돌 계) * [[𧇑]](사나울 포) * [[駴]](놀랄 해)[* [[駭]](놀랄 해)의 [[동자#s-2]]] * [[𢂵]] * [[𡯰]] * [[𤞫]] * [[𫒞]] * [[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