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所}}}바 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戶|{{{#000,#fff 戶}}}]],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7급 한자|{{{#000,#fff 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戶]](지게 호) 자가 戸의 형태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ョ{{{#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ところ{{{#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uǒ{{{#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바 소(所). [[바]](일의 방법이나 방도[* "어찌할 '''바'''를 모르다.", "각자 맡은 '''바''' 책임을 다하라." 할 때의 그 '바'이다.] 또는 바라는 바)/[[것]], [[장소]]([[곳]]), [[기관]] 따위를 뜻하는 [[한자]]다. == 상세 == [[유니코드]]는 6240에 배당되었다. [[창힐수입법]]은 HSHML(竹尸竹一中). 뜻을 나타내는 [[斤]](도끼 근) 자와 소리를 나타내는 [[戶]](지게 호)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설문해자]]에 의하면 [[시경]]의 伐木所所와 같은 구절처럼 원래는 나무를 베는 소리를 나타내는 한자였다. 그러나 일찍이 가차되어 '곳', '장소'라는 뜻을 가지고, 나아가 한문에서 '~하는 바', '~하는 것'과 같이 명사구를 만드는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글자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구체적으로, 所 앞에 서술어가 올 때에는 '장소'의 뜻으로 쓰이고 所 뒤에 서술어가 올 때는 그 서술어구를 명사구로 만든다고 보면 되겠다. 이 글자는 분명 자원(字源)이 戶+斤이지만, [[금문]]과 간독문자에서는 戶 자의 첫 번째 가로획이 斤 자의 윗부분까지 침범하고 斤의 세로획이 갈고리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매우 많다. [[예서]]와 그 이후의 서체에서는 아예 戶 자와 斤 자의 첫 번째 획이 합쳐져 하나의 큰 가로획이 된 형태의 [[이체자]]를 많이 볼 수 있다. 유니코드에 등재된 것에는 㪽(U+3ABD), 𠩄(U+20A44), 𫝂(U+2B742)가 있으며, 특히 두 번째는 [[훈민정음]] 해례본과 언해본에서 쓰인 형태와 비슷하다. 이런 연유로, 해서체에서 戶 자가 들어간 글자를 户의 형태로 쓸 때도 所 자만은 예외적으로 戶의 형태로 쓰는 경향이 있다. 대표적으로 중국의 [[간체자]]가 있다. 따라서 중국 한자사전에서 所를 찾으려면 户 부수가 아니라 斤 부수에서 찾아야 한다. == 용례 == === [[단어]] === 한자 뜻처럼 [[장소]], [[소원]], [[소유]] 계열 단어들이 많다. * 개소([[開]]所/[[個]]所) * [[교도소]]([[矯]][[導]]所) * [[구치소]]([[拘]][[置]]所) * [[급소]]([[急]]所) * [[대피소]]([[待]][[避]]所) * [[매표소]]([[賣]][[票]]所) * [[발전소]]([[發]][[電]]所) * [[변소]]([[便]]所) * [[보건소]]([[保]][[健]]所) * [[보관소]]([[保]][[管]]所) * 빈소([[殯]]所) * 사무소([[事]][[務]]所) * [[동사무소]]([[洞]][[事]][[務]]所) * [[산소]]([[山]]所) * [[세탁소]]([[洗]][[濯]]所) * [[소견]](所[[見]]) * [[소관]](所[[管]]) * [[소득]](所[[得]]) * [[불로소득]]([[不]][[勞]]所[[得]]) * [[공제#s-1.1.2|소득공제]](所[[得]][[控]][[除]]) * [[양도소득세]]([[讓]][[渡]]所[[得]][[稅]]) * [[저소득층]]([[低]]所[[得]][[層]]) * [[소망]](所[[望]]) * [[소문]](所[[聞]]) * [[소속]](所[[屬]]) * 소신(所[[信]]) * [[소요]](所[[要]]) * [[소용]](所[[用]]) * [[소원]](所[[願]]) * [[소위]](所[[謂]]) * [[소유]](所[[有]]) * [[소유권]](所[[有]][[權]]) * 소임(所[[任]]) * [[소장]](所[[藏]]) * 소재(所[[在]]) * 소재지(所[[在]][[地]]) * 소정(所[[定]]) * [[소지]](所[[持]]) * 소치(所[[致]]) * 소행(所[[行]]) * [[수용소]]([[收]][[容]]所) * [[숙소]]([[宿]]所) * [[업소]]([[業]]所) * [[유흥업소]]([[遊]][[興]][[業]]所) * [[연구소]]([[硏]][[究]]所) * [[요소]]([[要]]所) * [[장소]]([[場]]所) * [[공공장소]]([[公]][[共]][[場]]所) * [[재판소]]([[裁]][[判]]所) *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 * [[조선소]]([[造]][[船]]所) * [[주소]]([[住]]所) * [[주유소]]([[注]][[油]]所) * [[초소]]([[哨]]所) * [[파출소]]([[派]][[出]]所) * 폐소([[閉]]所/[[廢]]所) * [[폐소공포증]]([[閉]]所[[恐]][[怖]][[症]]) * [[형무소]]([[刑]][[務]]所) * [[훈련소]]([[訓]][[鍊]]所) * [[휴게소]]([[休]][[憩]]所) === [[고사성어]]/[[숙어]] === * 각득기소([[各]][[得]][[其]]所) * 도소지양([[屠]]所[[之]][[羊]]) * [[무소불위]]([[無]]所[[不]][[爲]]) * 비이소사([[匪]][[夷]]所[[思]]) * 서시유소추([[西]][[施]][[有]]所[[醜]]) * 소원성취(所[[願]][[成]][[就]]) * 심중소회([[心]][[中]]所[[懷]]) * 십목소시([[十]][[目]]所[[視]]) * 적재적소([[適]][[材]][[適]]所) * 중소공지([[衆]]所[[共]][[知]]) === [[인명]] === * [[고쇼조노 쇼타]]([[御]]所[[園]] [[翔]][[太]]) * [[망소이]]([[亡]]所[[伊]]) * [[벳쇼 나가하루]]([[別]]所 [[長]][[治]]) * [[벳쇼 다케히코]]([[別]]所 [[毅]][[彦]]) * [[벳쇼 마코토]]([[別]]所 [[誠]][[人]]) * [[벳쇼 카즈요시]]([[別]]所 [[千]][[源]]) * [[야쿠쇼 코지]]([[役]]所 [[広]][[司]]) * [[우키쇼 히다카]]([[浮]]所 [[飛]][[貴]]) * [[타도코로 아즈사]]([[田]]所 あずさ) * [[토코로 메구미]](所 [[恵]][[美]]) === [[지명#s-2]] === * '''한국'''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소초면(所[[草]][[面]]) *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農]]所[[面]]) *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所[[陽]][[面]]) * [[전라북도]] [[정읍시]] 소성면(所[[聲]][[面]])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靑]]所[[面]]) *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所[[遠]][[面]]) *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大]]所[[面]]) * '''일본''' * [[토코로자와시]](所[[沢]][[市]]) * [[고세역]]([[御]]所[[駅]]) * [[킨테츠고세역]]([[近]][[鉄]][[御]]所[[駅]]) * [[고키소역]]([[御]][[器]]所[[駅]]) * [[니시벳쇼역]]([[西]][[別]]所[[駅]]) * [[덴샤지교쇼마에역]]([[電]][[車]][[事]][[業]]所[[前]][[駅]]) * [[벳쇼온센역]]([[別]]所[[温]][[泉]]) * [[사츠에이쇼마에역]]([[撮]][[影]]所[[前]]) * [[시쇼역]]([[四]]所[[駅]]) * [[신조하라역]]([[新]]所[[原]][[駅]]) * [[쇼코카이기쇼마에역]]([[商]][[工]][[会]][[議]]所[[前]][[駅]]) * [[주니쇼역]]([[十]][[二]]所[[駅]]) * [[제제역]]([[膳]]所[[駅]]) * [[케이한제제역]]([[京]][[阪]][[膳]]所[[駅]]) * [[차조역]]([[茶]]所[[駅]]) * [[쿠로베가와다이욘하츠덴쇼마에역]]([[黒]][[部]][[川]][[第]][[四]][[発]][[電]]所[[前]][[駅]]) * [[토코로자와역]](所[[沢]][[駅]]) * [[신토코로자와역]]([[新]]所[[沢]][[駅]]) * [[니시토코로자와역]]([[西]]所[[沢]][[駅]]) * [[히가시토코로자와역]]([[東]]所[[沢]][[駅]]) * [[히메지벳쇼역]]([[姫|ひめ]][[路|じ]][[別]]所[[駅]]) === [[창작물]] ===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バベル裁判所〜闇の法律知識〜]] === 기타 === * [[고소득층]]([[高]]所[[得]][[層]]) * [[교도소]]([[矯]]導[[所]]) * [[대피소]]([[待]][[避]]所) * [[동사무소]]([[洞]][[事]][[務]]所) * [[발전소]]([[發]][[電]]所) * [[소득세]](所[[得]][[稅]]) * [[소주성]](所[[主]][[成]]) * [[소득주도성장]](所[[得]]主[[導]]成[[長]]) * [[소취#s-5]](所[[就]]) * 완소남([[完]]所[[男]]): '완전 소중한 남자'의 준말 * [[저소득층]]([[低]]所[[得]][[層]]) * [[주유소]]([[注]][[油]]所) * [[헌법재판소]]([[憲]][[法]][[裁]][[判]]所) * [[都内某所]]([[토나이보쇼]]): 일본의 걸그룹 == 유의자 == * [[場]](마당 장) * [[處]](곳 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沂]](물 이름 기) * [[祈]](빌 기) * [[斷]](끊을 단) * [[析]](쪼갤 석) * [[新]](새 신) * [[忻]](기쁠 흔) * [[昕]](새벽 흔) * [[炘]](화끈거릴 흔) [[분류:7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