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手}}}손 수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手,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7급 한자|{{{#000,#fff 준7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ュ{{{#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て, (た){{{#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ǒu{{{#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手-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손 수(手)'''. '[[손]]', '재주', '수단', '사람' 등의 뜻을 나타내는 [[한자]]이다. == 특징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손 || || {{{-1 '''음'''}}} ||수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hǒu || || {{{-1 '''[[광동어]]'''}}} ||sau^^2^^ || || {{{-1 '''[[객가어]]'''}}} ||sú || || {{{-1 '''[[민북어]]'''}}} ||siǔ || || {{{-1 '''[[민동어]]'''}}} ||chiū || || {{{-1 '''[[민남어]]'''}}} ||siú[*文 [[문독]]] / chhiú[*白 [[백독]]] || || {{{-1 '''[[오어]]'''}}} ||seu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シュ || || {{{-1 '''훈독'''}}} ||て, (た) || ||<-3> || ||<-2> '''[[베트남어]]''' ||thủ || [[손]]의 모양을 본떠 만든 [[상형자]]다. 手 부수의 제부수 한자이며, 부수로 쓰일 때는 주로 이체자 扌(624C, DM(木一)) 형태로 바뀌어 변으로 쓰인다. 扌를 크게 키우면 [[才]](재주 재)가 되는데 才 역시 手 부수의 제부수 한자이다. 扌 형태는 부수로 쓰이면서 변형된 것으로 才와는 자원이 다르지만 모양이 비슷하므로 '재방변'이라 부른다. 이와 비슷한 경우는 [[肉]](고기 육)이 부수로 쓰일 때 [[月]](달 월)처럼 변해서 '육달월'이라 부르는 ⺼이 있다. 手 자가 부수로 쓰인 한자들은 손기술, 재주, 솜씨, 행위, 수단, 방법 등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어]] 역시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손이라는 뜻의 명사로도 쓰이지만 손재주라는 뜻으로도 쓰이고 잡다, 쥐다 등의 손을 쓰는 동사로 쓰이거나 일부 [[양사(중국어)|양사]]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일본어]]에서는 주로 훈독하여 て로 읽는다. 다만 능력이 우수함[* 한국어의 고수에 대응한다.]을 뜻하는 上手는 じょう'''ず''', 능력이 뒤떨어짐을 나타내는 下手는 へ'''た'''로 읽는다. 장단음 구분을 하여 읽을 땐 대부분 짧게 읽으나, [[수건]](手巾)은 예외적으로 길게 읽는다. == 용례 ==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 [[단어]] === [[손]]의 의미도 있지만, 대체로 [[직업]]이나 [[역할]]을 의미하는 단어가 많다. 하지만 이 한자가 들어간 직업명이나 역할군들 대다수가 손을 사용해야 하므로[* 당장 ~수(手)로 끝나는 직업이나 역할군들 중에서 '''[[목수]]''', '''[[투수]]''', '''[[궁수]]''' 등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신체부위가 무엇인지 생각해보자.] [[손]]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 [[가수]]([[歌]]手) * 각수([[刻]]手) * [[강수]]([[強]]手) * [[거수]]([[擧]]手) * [[고수]]([[高]]手/[[鼓]]手) * [[공격수]]([[攻]][[擊]]手) * [[공수#s-1.6]]([[空]]手) * 공수표([[空]]手[[票]]) * [[공수#s-1.3]]([[拱]]手) * [[궁수]]([[弓]]手) * [[기수]]([[旗]]手) * 나팔수([[喇]][[叭]]手) * [[내야수]]([[內]][[野]]手) * [[단수]]([[單]]手) * [[목수]]([[木]]手) * [[묘수]]([[妙]]手) * [[무리수]]([[無]][[理]]手) * [[박수]]([[拍]]手) * [[불수감]]([[佛]]手[[柑]]) * [[백수]]([[白]]手) * [[복수]]([[福]]手) * [[사수]]([[射]]手) * 명사수([[名]][[射]]手) * 사수궁([[射]]手[[宮]]) * [[선수]]([[選]]手/[[先]]手) * 선수권([[選]]手[[權]]) * 선수촌([[選]]手[[村]]) * [[운동선수]]([[運]][[動]][[選]]手) * [[세수]]([[洗]]手) * 솔발수([[摔]][[鈸]]手) * [[수갑]](手[[匣]]) * [[수건]](手[[巾]]) * [[수공]](手[[工]]) * [[수공업]](手[[工]][[業]]) * [[가내수공업]]([[家]][[內]]手[[工]][[業]]) * [[수기]](手[[記]]) * [[수단]](手[[段]]) * [[수당]](手[[當]]) * [[수동]](手[[動]]) * [[수류탄]](手[[榴]][[彈]]) * [[수리검]](手[[裏]][[劍]]) * 수배(手[[配]]) * 수법(手[[法]]) * [[수비수]]([[守]][[備]]手) * 수속(手[[續]]) * 수속료(手[[續]][[料]]) * [[수수료]](手[[數]][[料]]) * 수순(手[[順]]) * [[수술]](手[[術]]) * 대수술([[大]]手[[術]]) * [[성형수술]]([[成]][[形]]手[[術]]) * 정형수술([[整]][[形]]手[[術]]) * [[수완]](手[[腕]]) * [[수어]](手[[語]]) * [[수제]](手[[製]]) * [[수족]](手[[足]]) * 수중(手[[中]]) * [[수첩]](手[[帖]]) * [[수표]](手[[票]]) * 가계수표([[家]][[計]]手[[票]]) * 당좌수표([[當]][[座]]手[[票]]) * 보증수표([[保]][[證]]手[[票]]) * 송금수표([[送]][[金]]手[[票]]) * 수하(手[[下]]) * [[실수]]([[失]]手) * [[악수]]([[握]]手/[[惡]]手) * [[우익수]]([[右]][[翼]]手) * [[입수]]([[入]]手) * 입수보행([[入]]手[[步]][[行]]) * [[적수]]([[赤]]手/[[敵]]手) * [[조수]]([[助]]手) * 조수석([[助]]手[[席]]) * 착수([[着]]手) * 타수([[打]]手) * [[투수]]([[投]]手) * [[포수]]([[捕]]手/[[砲]]手) * [[하수]]([[下]]手) * [[훈수]]([[訓]]手) * [[흉수]]([[凶]]手) * [[가라테]]([[空]]手) - 한자 표기에 대해서는 [[가라테]] 문서 참고. === [[고사성어]]/[[숙어]] === * [[상하기수]]([[上]][[下]][[其]]手) * [[속수무책]]([[束]]手[[無]][[策]]) * [[수불석권]](手[[不]][[釋]][[卷]]) * [[수수방관]]([[袖]]手[[傍]][[觀]]) === [[인명]] === * [[니주나나멘 센주무카데]]([[二]][[十]][[七]][[面]] [[千]]手[[百]][[足]]) * [[전설 시리즈#s-3.2.2|데부쿠로 호우키]](手[[袋]] [[鵬]][[喜]]) * [[데즈카 오사무]](手[[塚]] [[治]][[虫]]) * [[도키테 츠카사]]([[土]][[器]]手 [[司]]) * [[미타라이 사토미]]([[御]]手[[洗]] [[怜]][[美]]) * [[센쥬 하시라마]]([[千]]手 [[柱]][[間]]) * [[슈타라 센쥬마루]]([[修]][[多]][[羅]] [[千]]手[[丸]]) * [[오우미 슈리]]([[近]][[江]] 手[[裏]]) * [[이데가미 바쿠]]([[井]]手[[上]] [[漠]]) * [[쿠마데 쿠마스케]]([[熊]]手 [[熊]][[介]]) * [[키테 에이시로]]([[木]]手 [[永]][[四]][[郎]]) * [[테고시 유야]](手[[越]] [[祐]][[也]]) * [[테구라모리 마코토]](手[[倉]][[森]] 誠) * [[테시오 메구미]](手[[塩]] [[恵]][[未]]) * [[테오리 타다츠루]](手[[折]] [[正]][[弦]]) * [[토우테키 이테지로]]([[投]][[擲]] [[射]]手[[次]][[郎]]) * [[후루데 리카]]([[古]]手 [[梨]][[花]]) * [[히라테 유리나]]([[平]]手 [[友]][[梨]][[奈]]) === [[지명#s-2]] === * [[싯테역]]([[尻]]手[[駅]]): [[난부선]]의 역 * [[싯테역(폐역)|싯테역]]([[知]]手[[駅]]): [[카시마 임항선]]의 폐역 * [[이와테현]]([[岩]]手[[県]]) * [[야마노테선]]([[山]]手[[線]]) * [[오테마치역]]([[大]]手[[町]][[駅]]) * [[코테사시역]]([[小]]手[[指]][[駅]]) * [[테가라역]](手[[柄]][[駅]]) === [[창작물]] === * [[도천수관음가]]([[禱]][[千]]手[[觀]][[音]][[歌]]) * [[家內手工業 (가내수공업)]] * 手裏剣戦隊 ニンニンジャー([[수리검전대 닌닌저]]) === 기타 === * [[쌍꺼풀 수술|쌍수]]([[雙]]手): [[쌍꺼풀 수술]]의 준말 == 상대자 == * [[足]](발 족) * [[趾]](발 지)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毛]](터럭 모, 털 모) == 여담 == * ~~[[루이스 수아레스|수아레스]] (手牙레스)~~ - 많은 사건사고를 벌인 수아레스를 풍자할 때 쓰는 별명으로, 특히 일명 '[[신의 손|신의 '''손''']] 사건'에 대하여 많이 쓰인다. 여기에 또 다른 유명한 사건인 첼시와의 프리미어리그 경기에서 [[브라니슬라프 이바노비치]]의 '''팔'''을 '''어금니'''로 깨문, 소위 '핵이빨 사건'도 함께 풍자하고자 [[牙]](어금니 아) 또한 붙었다. * 手를 세 개 합치면 [[掱]](소매치기 수)가 된다.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준7급 한자]][[분류:손]][[분류:제부수 한자]][[분류:일본의 상용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