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承}}}이을 승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手|{{{#000,#fff 手}}}]],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うけたまわ-る, {{{#c88 う-け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hé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承은 ''''이을 승''''이라는 [[한자]]로, '잇다', '계승(繼承)하다', '받다', '받들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잇다 || || {{{-1 '''음'''}}} ||승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chéng || || {{{-1 '''[[광동어]]'''}}} ||sing^^4^^ || || {{{-1 '''[[객가어]]'''}}} ||sṳ̀n || || {{{-1 '''[[민북어]]'''}}} ||chěng || || {{{-1 '''[[민동어]]'''}}} ||sìng || || {{{-1 '''[[민남어]]'''}}} ||sêng[*文 [[문독]]] / sîn[*白 [[백독]]] || || {{{-1 '''[[오어]]'''}}} ||ze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ショウ || || {{{-1 '''훈독'''}}} ||うけたまわ-る, {{{#c88 う-ける}}} || ||<-3> || ||<-2> '''[[베트남어]]''' ||thặng, thừa || [[유니코드]]에는 U+627F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NQO(弓弓手人)로 입력한다. [[갑골문]]과 [[금문]]상에서 이 글자는 [[卩]](병부 절)과 [[廾]](받들 공)의 [[회의자]]로 묘사되고 있다. 무릎을 꿇은 사람을 두 손으로 받드는 모습으로 나타나며, '받들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 이후 의미가 파생되어 '이어받다'와 같은 뜻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소전]]에 이르러서는 이전의 자형에 [[手]](손 수)를 추가하여 뜻을 보강했으며, [[예서]] 때에 이르러 현재와 같은 자형을 가지게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계승([[繼]]承) * 승계(承[[繼]]) * 승낙(承[[諾]]) * 승인(承[[認]]) * [[승정원]](承[[政]][[院]]) === [[고사성어]]/[[숙어]] === * [[기승전결]]([[起]]承[[轉]][[結]]) === [[인명]] === * [[강승록]]([[姜]]承[[錄]]) * [[김승래]]([[金]]承[[來]]) * [[류보청]]([[劉]][[伯]]承) * [[웬디(Red Velvet)|손승완]]([[孫]]承[[完]]) * [[안승민]]([[安]]承[[民]]) * [[오승윤]]([[吳]]承[[允]]) * [[오승희]]([[吳]]承[[姬]]) * [[유승민]]([[劉]]承[[旼]]) * [[유승우(후한)|유승우]]([[劉]]承[[祐]]) * [[유승호]]([[兪]]承[[豪]]) * [[이승만]]([[李]]承[[晩]]) * [[차은담|이승주]]([[李]]承[[周]]) * [[이승엽]]([[李]]承[[燁]]) * [[이철승]]([[李]][[哲]]承) * [[정승하]]([[鄭]]承[[河]]) * [[WOODZ|조승연]]([[曺]]承[[衍]]) * [[주승진(약한영웅)|주승진]]([[朱]]承[[進]]) * [[최승준]]([[崔]]承[[浚]]) * [[쿠죠 죠타로]]([[空]][[条]] 承[[太]][[郎]]) * [[홍승민]]([[洪]]承[[旼]]) * [[홍승효]]([[洪]]承[[孝]]) === [[지명#s-2]] === * 승화(承[[化]]) === [[창작물]] === * [[承認欲Q]] * [[LOVE YOURSELF 承 'Her']] == 유의자 == * [[繼]](이을 계) * [[絡]](이을 락) * [[連]](이을 련, 잇닿을 련) * [[續]](이을 속) * [[胤]](이을 윤) * [[接]](이을 접) == 상대자 == * [[斷]](끊을 단) * [[絶]], [[切]], [[截]](끊을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