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掃}}}쓸 소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手|{{{#000,#fff 手}}}]], 8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1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준4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제5획이 정자와 다르게 좌우로 튀어나오지 않는다.]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ソウ{{{#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は-く, {{{#c88 はら-う}}}}}}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sǎo, sào{{{#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掃는 ''''쓸 소''''라는 [[한자]]로, '(빗자루로) 쓸다', '소탕(掃蕩)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쓸다 || || {{{-1 '''음'''}}} ||소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ǎo, sào[* '빗자루'라는 명사의 의미를 가진 일부 합성어에서만 4성으로 발음한다.] || || {{{-1 '''[[광동어]]'''}}} ||sou^^3^^ || || {{{-1 '''[[객가어]]'''}}} ||so || || {{{-1 '''[[민동어]]'''}}} ||suā[*文 [[문독]]] / sáu[*白 [[백독]]] || || {{{-1 '''[[민남어]]'''}}} ||sò[*文] / sàu[*白]|| || {{{-1 '''[[오어]]'''}}} ||sau (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ソウ || || {{{-1 '''훈독'''}}} ||は-く, ''はら-う'' || ||<-3> || ||<-2> '''[[베트남어]]''' ||tảo || [[유니코드]]에는 U+638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QSMB(手尸一月)로 입력한다. [[手]](손 수)와 [[帚]](비 추)가 합쳐진 [[회의자]]로, 손으로 빗자루를 들고 쓰는 모습에서 '쓸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특이하게도 이 글자는 다음자(多音字)이면서도, 두 발음 사이에 의미차이가 없다. 즉 [[중고음]] 상에서 [[사성|상성]](上聲)으로 발음하든 [[사성|거성]](去聲)으로 발음하든 똑같이 '쓸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에서는 '사라질 소'([[消]])와 의미가 유사하면서도 발음이 같아 두 개로 모두 쓰이는 한자어가 많다. '일소'(一掃/一消), '소거'(掃去/消去), '소멸'(掃滅/消滅) 등. 다만 '쓸 소'는 '쓸다'라는 의미 특성상 능동적으로 없애는 것에만 쓸 수 있고, 저절로 사라지는 것에는 쓸 수 없어서 의미 폭이 좀 더 좁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보통 '消'가 쓰인 한자어가 더 많이 쓰인다. [[일본어]]/[[중국어]]로 '消'는 개음 [j]가 남아있어 각각 しょう/xiāo이기에 掃와는 발음이 다르다. == 용례 == === [[단어]] === * [[소거]](掃[[去]]) * 소거법(掃[[去]][[法]]) * [[소제#s-1|소제]](掃[[除]]) : 한국어로는 '청소'를 더 자주 쓰지만 일본어에서는 掃除(そうじ)가 꽤 자주 쓰인다. 한국어 사전에도 일단 '소제'가 실려는 있다. * 소탕(掃[[蕩]]) * [[소해]](掃[[海]]) * 일소([[一]]掃) * [[청소]]([[淸]]掃) === [[고사성어]]/[[숙어]] === * 소지무여(掃[[地]][[無]][[餘]]) * 오경소지([[五]][[經]]掃[[地]]) * 영락소지([[零]][[落]]掃[[地]]) * [[쇄소건즐]]([[灑]]掃[[巾]][[櫛]])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이체자 == * 𢱥^^[⿰扌⿱帚又]^^(U+22C65) == 유의자 == * [[蕩]](쓸어버릴 탕)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歸]]/[[㱕]]/[[𨺔]]^^[⿰阜帚]^^/[[𨺜]]^^[⿰⻖帚]^^/[[𡚖]]^^[⿰⿱𠂤大帚]^^/[[𨓼]]^^[⿰⿱彡止帚]^^(돌아갈 귀) * [[婦]](며느리 부) * [[𪂋]]^^[⿰鳥帚]^^(뱁새 부) * [[𧌈]]^^[⿰虫帚]^^(쥐며느리 부) * [[𠴵]]^^[⿰口帚]^^(많은새의소리 소) * [[𨧪]]^^[⿰金帚]^^(쇳가루 소) * [[埽]](쓸 소) * [[㫶]](밝을 주) * [[鯞]](쏘가리 추) * [[㴆]](잠길 침)[* [[浸]](잠길 침)의 [[동자#s-2]]] * [[𥇳]]^^[⿰目帚]^^(귀) * [[㷌]](부) * [[𢅜]]^^[⿰帚帚]^^(사) * [[𡹙]]^^[⿰山帚]^^ * [[𢃞]]^^[⿰巾帚]^^ * [[𭘺]]^^[⿰益帚]^^ * [[𫃲]]^^[⿰糸帚]^^ * [[𬖥]]^^[⿰米帚]^^ * [[𱞨]]^^[⿰忄帚]^^ * [[𰯳]]^^[⿰臣帚]^^ * [[𱀠]]^^[⿰𠂤帚]^^ * [[𲉕]]^^[⿰⿱㠯廾帚]^^ == 여담 == * 掃(쓸 소)라는 한자는 '쓸다'의 뜻이므로 '청소'([[淸]]掃) 따위에 쓰이고, [[苦]](쓸 고)는 (맛이) '쓰다'의 뜻이며, [[費]](쓸 비)와 [[用]](쓸 용)은 '사용하다'의 뜻이다.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